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 바람의종 |
공지 | 한문 읽기 입문 | 바람의종 |
공지 | 漢詩基礎 | 바람의종 |
767 | 시인옥설(권5 번역) 시론 | 바람의종 |
766 | 시론 13 : 네 가지 안함 四不 | 바람의종 |
765 | 마음아 너는어이 - 서경덕 | 바람의종 |
764 |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산은 옛산이로되 - 황진이 | 바람의종 |
763 | 말은 가자 울고 - 서경덕 | 바람의종 |
762 | 뫼는 높으나 높고 - 허강 | 바람의종 |
761 | 시론 - 네 가지 떠남이라 (四離) | 바람의종 |
760 |
警世 - 釋懶翁 (경세 - 석나옹)
![]() |
바람의종 |
759 | 미나리 한 펄기를 - 유희춘 | 바람의종 |
758 | 바람도 쉬어 넘는 - 유희춘 | 바람의종 |
757 | 바람 불어 쓰러진 - 유희춘 | 바람의종 |
756 | 바람 불어 쓰러진 뫼 보여 - 유희춘 | 바람의종 |
755 | 바람 불으소서 - 유희춘 | 바람의종 |
754 | 부채 보낸 뜻을 - 유희춘 | 바람의종 |
753 | 사람이 죽어지면 - 유희춘 | 바람의종 |
752 | 사랑 모여 불이 되어 - 유희춘 | 바람의종 |
751 | 사랑사랑 긴긴 사랑 - 유희춘 | 바람의종 |
750 | 사랑을 낱낱이 모아 - 유희춘 | 바람의종 |
749 | 시론: 初學蹊徑(처음 배우는 사람의 지름길이다.) | 바람의종 |
748 | 시론: 學古 | 바람의종 |
747 | 시론: 不露斧鑿이라 | 바람의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