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이 묻어나는 편지 - MBC 예술단 엮음 둘 - 생활속에 피어나는 웃음안개 사우나 고스톱 이종환씨, 지금부터 형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저도 코가 좀 크걸랑요. 하지만 형님께 비하겠습니까. 이해해 주십시오. 오늘 소개 드리는 글은 자랑스러운 제 친구들에 관한 겁니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저와 제 친구들은 논두렁 정기가 아닌 산좋고 물좋은 소백산 정기를 받고 단양이라는 곳에서 태어났습니다. 이렇게 정기가 좋으니 인생이 얼마나 잘 풀렸냐구요? 아닙니다. 그냥 정기만 좋았습니다. 그런데 형님, 혹시 백수 생활 해보셨습니까? 없으시면 다음에 한 번, 오래는 마시고 일정기간 해보는 것도 꼭 낭비만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한 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 15년 전, 그러니까 저와 제 친구들이 국방의 의무를 마치고 사회 초년생으로 출발하기 직전, 일부는 취업을 하고, 대부분은 '단백련(단양 백수 연합회)'의 일원으로 있을 때의 사건입니다. 등장인물은 전투지원 중대 출신의 저, 수색대 출신의 장씨, 경비대 출신의 엄씨, 그리고 오늘의 주인공 특공대 출신의 지씨. 모두 4명입니다. 사건이 있던 전날 평상시와 다름없이 백수들이 뭐 할 일이 있겠습니까? 고돌이나 잡으면서 소주잔도 기울이면서 이렇게 취업이 안되는 것은 문교부 정책이 잘못돼서 그렇다는 둥 말도 안되는 핑계를 대면서 시간을 죽였습니다. 결국 그날 밤도 늦게 잤으니 다음날은 늦잠을 자고 11시에 다시 모였습니다. 그리곤 할 일도 없으니 사우나나 가자고 장씨가 제의를 했습니다. 백수들을 모두 아무 이의없이 목욕탕으로 갔습니다. 가보니 여름이라 그런지 다른 손님은 아무도 없고 그저 우리들 세상이었습니다. 샤워를 하고 있는데 장씨가 또 제의를 하더군요. "야, 우리 아무도 없는데 사우나에 들어가서 고스톱이나 치자." 사우나에 들어가서 고스톱을 치자니, 거기가 어딥니까. 거기가 어딘데, 거기서 그걸 치자는 겁니까. 그런데, 하나같이 좋은 생각이라고 하면서 동의를 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무식이 종점도 없는 고열'사우나 고스톱 경기'가 시작됐습니다. 형님, 사우나 안에서 고스톱 쳐본 적 있으십니까? 아주 절묘합니다. 없으시면 다음에 형님하고 맹씨하고 지금 밖에 있는 PD선생님하고 한번 도전을 해보십시오. 최유라씨는 미련이 많이 남겠지만, 아직 우리나라에 남녀 혼탕이 없잖습니까. 억울하지만 좀 참아주십시오. 게임의 조건은 체력으로 못 버티고 사우나 밖으로 나가는 사람이 해장국과 저녁때 소주를 사는 것이었습니다. 처음 15분 동안은 정말 재미있게 쳤습니다. "야, 대한민국에 사우나 안에서 고스톱 친 사람 있으면 나와보라고 그래." 요렇게 객기를 부렸습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있는 거라곤 시청앞 분수대밖에 없는 놈들이 사우나 안에서 땀 삐질삐질 흘리며 신문지 깔고 고스톱 치는 모습을요. 정말 가관이었습니다. 형님,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못한 상황에서 돈을 따면 어떻게 보관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우선 지폐를 따면 앞가슴에 한 장 붙입니다. 또 따면 배에다 붙입니다. 많이 따면 어떻게 되냐구요? 어떻하긴 어떻합니까. 분수대에도 붙여야죠. 동전은 이마에다 붙이면 확실합니다. 절대 안 떨어집니다. 그러나 20분이 지나자 온몸에 열은 올라가죠, 화투는 땀에 젖어 잘 쳐지지도 않죠. 그래서 다시 합의를 봤습니다. 고스톱은 3명이 치니까 광을 팔거나 죽은 사람은 나가서 찬바람을 마시고 들어오기 말입니다. 그런데 재수없는 놈은 되는 게 없었습니다. 다들 교대로 나갔다 오는데 오늘의 주인공인 지씨만 사우나 제일 안쪽에 앉아서 계속 나가질 못한 겁니다. 왜냐구요? 지씨는 용감하게도 계속해서 1등을 하고 있었습니다. 3점, 5점, 나가리, 또 3점. 이런 식으로 점수가 나니 죽을 수도 광을 팔 수도 없었습니다. 지씨의 얼굴은 사색이 되어갔습니다. 호흡은 점점 거칠어지고, 땀은 비오듯하고 온몸에 붙어 있던 돈들도 다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오로지 악으로 버티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다른 친구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잃은 놈들은 따겠다고 그냥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때, 구세주가 한 분 나타나셨습니다. 다름아닌 목욕탕 주인아저씨였습니다. 보통때 같으면 20분이나 30분 만에 나오는 놈들이 1시간이 돼도 안 나오니까 궁금해서 들어온 겁니다. 그랬는데, 탕 안에 아무도 없으니까 이상할 거 아닙니까? 사우나를 보니 사경을 헤매는 놈들이 몸에다 돈을 붙이고 고스톱을 치고 있으니 정말이지 백수 같은 놈들이라고 욕을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끌려나온 우리들은 바로 탕바닥에 댓자로 뻗어버렸습니다. 그렇지만 그 다음날 저녁 우리들은 또 모였습니다. 인원 점검을 해보니 특공대 출신의 지씨가 안 나온 겁니다. 전화를 했더니 병원에 입원했다고 하더라구요. "짜식 특공대 출신이 그 정도 체력밖에 안돼!" 청취자 분들은 이렇게 얘기하시겠죠. 하지만 우리의 지씨는 그 정도밖엔 안됩니다. 우리 동네 특공대 출신이거든요. 마지막으로 형님, 명퇴 조퇴 황퇴가 횡횡하는 요즘 백수 여러분들께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참고 기다리면 분명히 좋은 날들이 있을 것이라는 말씀 부탁드립니다.
Board 삶 속 글 2023.02.27 風文 R 654
살신성인(殺身成仁) 殺:죽일 살. 身:몸 신. 成:이룰 성. 仁:어질 인. [출전]《論語》〈衛靈公篇〉 몸을 죽여 어진 일을 이룬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 또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버린다는 말.이 말은 춘추 시대, 인(仁)을 이상의 도덕으로 삼는 공자(孔子)의 언행을 수록한《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은 [志士仁人(지사인인)] 삶을 구하여 ‘인’을 저버리지 않으며 [無求生以害仁(무구생이해인)] 스스로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 [有殺身以成仁(유살신이성인)] 공자 사상의 중심을 이루는 ‘인’의 도는 제자인 증자(曾子)가《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서 지적했듯이 ‘충(忠)과 서(恕)’에 귀착한다. 부자(夫子:공자에 대한 경칭)의 도는 ‘충’‘서’일 뿐. [夫子之道 忠恕而已矣(부자지도 충서이이의)] ‘충’이란 자기 자신의 최선을 다하는 정신이고, ‘서’란 ‘충’의 정신을 타인에게 미치게 하는 마음이다. 증자는 공자의 ‘인’이 곧 이 ‘충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주] 증자: 춘추 시대 의 유학자(儒學者). 이름은 삼(參), 자(字)는 자여(子與). 높이어 증자(曾子)라고 함. 공자의 제자 중에서 가장 나이가 어렸으나 효성이 지극하고 행동거지(行動擧止)가 온후 독실(溫厚篤實)해서 죽을 때까지 몸에 작은 상처 하나 남기지 않았다고 함. 공자의 덕행과 학설을 정통으로 주술(祖述)하여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孔汲)에게 전했음. 맹자는 자사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 알려짐.《효경(孝經)》의 저자라고 알려짐.(B.C. 505~436).
Board 고사성어 2023.02.27 風文 R 1111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특성화고 3학년 소희는 콜센터로 현장실습을 나가 인터넷 해지를 원하는 고객을 ‘방어(방해? 저지?)’하는 부서에서 일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영화는 청소년 노동자의 죽음이 누구의 책임인지 탐색해 올라간다. 하지만 모든 걸 숫자로 치환하는 세상에서는 누구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숫자가 책임자다. 사회를 ‘돌아가게 하고’ 사람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숫자다. 이제 우리는 사랑에 가슴 두근거리지 않는다. 성과지표 합격률 취업률 가입률 지지율 인상률 연봉 같은 것들에 가슴이 뛴다. 영화의 매력은 제목에서 나온다. 피해자를 내세우고 ‘그다음 피해자는 누구냐?’며 다그치는 제목이라면 ‘소희 다음’ 정도면 될 텐데. 이상하다, ‘다음 소희’라니. 흔히 ‘다음’ 뒤에 오는 명사는 ‘다음 기회, 다음 정류장, 다음 사람, 다음 생’처럼 일반명사들이다. ‘다음 기회’는 지금과 다른 계기를 맞이할 듯하고, ‘다음 정류장’에서는 다른 풍경이 펼쳐지겠지. ‘다음 피해자’라면 다른 인물이 다른 사건을 비극적으로 만날 것이다. 그런데 ‘다음’ 뒤에 ‘소희’라는 고유명사를 박아 넣었다. 이렇게 되니 빈틈이 생기지 않는다. 개별성이 사라졌다. 회로 변경의 가능성을 끊고 마개를 닫아버렸다. ‘당신 = 다음 소희’. ‘소희 다음’은 당신이 아닐 수도 있지만, ‘다음 소희’는 반드시 당신이라고 들린다. 당신이나 나나 모두 소희다. 버둥거려봤자 소용없다. 다음도 소희, 그다음도 다시 소희. 무한 반복하고 무한 회귀하는 소희. 구제불능 사회의 절망감을 이렇게 간단하면서도 새로운 문법으로 표현하다니.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게으른 사람에겐 돈이 따르지 않고 변명하는 사람에겐 발전이 따르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에겐 희망이 따르지 않고 간사한 사람에겐 친구가 따르지 않는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겐 사랑이 따르지 않고 비교하는 사람에겐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먹을 것이 없어 굶는 사람도 딱하지만 먹을 것을 앞에 두고도 이가 없어 못 먹는 사람은 더 딱하다. 짝 없이 혼자 사는 사람도 딱하지만, 짝을 두고도 정 없이 사는 사람은 더 딱하다. 땅은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채송화씨를 뿌리면 채송화를 피우고 나팔꽃 씨를 뿌리면 나팔꽃을 피운다, 정성은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나쁜 일에 정성을 들이면 나쁜 결과가 나타나고, 좋은 일에 정성을 들이면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 잘 자라지 않는 나무는 뿌리가 약하기 때문이고 잘 날지 못하는 새는 날개가 약하기 때문이다. 행동이 거친 사람은 마음이 삐툴어졌기 때문이고 불평이 많은 사람은 마음이 좁기 때문이다, 더하기와 빼기 하나에 하나를 더하면 둘이 된다는 건 세상 사람들이 다 알지만, 좋은 생각에 좋은 생각을 더 하면 복이 된다는 건 몇 사람이나 알까? 둘에서 하는를 빼면 하나가 된다는 건 세상 사람들이 다 알지만, 사랑에서 희망을 빼면 이기가 된다는 건 몇 사람이나 알까? 세월이 더하기를 할수록 삶은 자꾸 빼기를 하고 욕심이 더하기를 할수록 행복은 자꾸 빼기를 한다, 똑똑한 사람은 더하기만 잘 하는 것이 아니고 빼기도 잘 하는 사람이다. 훌륭한 사람은 벌기만 잘 하는 것이 아니고 나누어 주기도 한다. ㅡ 좋은글 ㅡ
Board 추천글 2023.02.22 風文 R 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