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오설(視吾舌) 視:볼 시. 吾:나 오. 舌:혀 설. [동의어] 상존오설(尙存吾舌). [참조] 계구우후(鷄口牛後), 고침안면(高枕安眠). [출전]《史記》〈張儀列傳〉 ‘내 혀를 보아라’는 뜻. 곧 혀만 있으면 천하도 움직일 수 있다는 뜻으로 한 말. 전국 시대, 위(魏)나라에 장의(張儀)라는 한 가난한 사람이 있었다. 언변과 완력과 재능이 뛰어난 그는 권모 술수에 능한 귀곡자(鬼谷子)에게 배웠다. 따라서 합종책(合從策)을 성공시켜 6국이 재상을 겸임한 소진(蘇秦)과는 동문이 된다. 장의는 수업(修業)을 마치자 자기를 써 줄 사람을 찾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다가 초(楚)나라 재상 소양(昭陽)의 식객이 되었다. 어느 날, 소양은 초왕(楚王)이 하사한 ‘화씨지벽(和氏之壁)’이라는 진귀한 구슬을 부하들에게 피로(披露)하는 잔치를 베풀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그 연석에서 구슬이 감쪽같이 없어졌다. 모두가 장의를 범인으로 지목했다. ‘가난뱅이인 장의가 훔친 게 틀림없다’고 그래서 수십 대의 매질까지 당했으나 장의는 끝내 부인했다. 마침내 그가 실신하자 소양은 할 수 없이 방면했다. 장의가 초주검이 되어 집에 돌아오자 아내는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어쩌다가 그래, 이런 변을 당했어요?” 그러자 장의는 느닷없이 혀를 쑥 내밀며 보인 다음 이렇게 물었다. “‘내 혀를 봐요[視吾舌].’ 아직 있소, 없소?” 이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아내는 어이없다는 듯이 웃으며 대답했다. “혀야 있지요.” “그럼 됐소.” 몸은 가령 절름발이가 되더라도 상관없으나 혀만은 상(傷)해선 안된다. 혀가 건재해야 살아갈 수 있고 천하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장의는 그 후 혀 하나로 진나라의 재상이 되어 연횡책(連衡策)으로 일찍이 소진이 이룩한 합종책을 깨는 데 성공했다. [주] 합종책 : 전국시대, 강국인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한 6국 동맹책. 귀곡자 : 전국시대의 종횡가(縱橫家:모사). 성명/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제반 지식에 통달했다고 함. 그가 숨어살던 귀곡(산서성 내)이란 지명을 따서 호를 삼고 종횡설의 법(法)을 적은《귀곡자(鬼谷子)》3권을 지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음. 연횡책 : 6국이 개별적으로 진나라를 상국으로 섬기게 하는 정책.
Board 고사성어 2023.05.22 風文 R 987
단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결혼할 사람이 있었다. 다섯살 무렵. 아버지와 옆 마을 아저씨는 자식들이 크면 결혼시키자는 약조를 맺었다. 풉, 가난뱅이들의 정략결혼이라니. 이듬해 겨울, 어머니는 그 아이가 많이 아파 단골무당을 불러 굿을 한다고 하니 같이 가자고 했다. 단칸방 귀퉁이에 앉아 두려운 눈으로 무당의 푸닥거리를 보았다. 며칠 후 그 아이는 죽었다. 애초에 ‘단골’이란 말은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자주 부르는 ‘무당’을 뜻했다. 지금은 자주 가는 가게라는 뜻으로 일반화되었다. 손님도 주인을 보고 단골이라 하고, 주인도 손님한테 단골이라 한다. 서로가 서로를 단골이라 부르니 재미있다. 어디서든 ‘갑을’을 따지는 사회에서 이런 말이 또 있을까. ‘단골’은 사랑과 닮았다. 그냥, 좋다. 왜냐고 물으면 달리 답을 찾을 수 없을 때, 그게 단골이다. 더 맛있는 집이 널려 있건만, ‘왠지 모르게’ 그 집이 편하고 맛있고 먼저 떠오르고 다시 가고(보고) 싶어진다. 횟수는 안 중요하다. 뜨문뜨문 가도 애틋하다. 규격화된 맛과 정해진 응대 절차를 따르는 체인점이 단골이 되기는 쉽지 않다. ‘맛집’이나 ‘핫 플레이스’와도 다르다. 그 장소에 내가 포함되어 있다는 느낌, 그 공간의 역사에 나도 동참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단골의 심리적 조건이다. 울적하게 앉아 맥주 몇병을 세워두고 있는 나에게 단골집 주인이 “오늘은 비참하게 앉아 있네”라 한다. “그렇게 보여요?” 하며 같이 웃는다. 얼굴이 불콰하도록 먹고 나서려는데, 그냥 가라며 등을 떠민다. 내 삶은 단조롭긴 하지만, 행복하다. 무도한 시대를 버티는 아지트, 단골.
Board 말글 2023.05.22 風文 R 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