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학려(風聲鶴唳) 風:바람 풍. 聲:소리 성. 鶴:학 학. /:학울 려. [출전] ≪晉書≫ ≪謝玄載記≫ 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의 비유. 동진(東晉:317~420)의 9대 효무제(孝武帝) 때인 태원(太元) 8년(383)의 일이다.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전진(前秦)의 3대 임금인 부견(?堅:338~385)이 10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오자, 효무제는 재상 사안(謝安)의 동생인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 사석(謝石)과 조카인 전봉도독(前鋒都督) 사현(謝玄)에게 8만의 군사를 주고 나가 싸우게 했다. 우선 참모인 '유로지'가 5000의 군사로 적의 선봉을 격파하여 서전을 장식했다. 이 때 중군을 이끌고 비수 강변에 진을 치고 있던 부견은 휘하 제장(諸將)에게 이렇게 명했다. “전군을 약간 후퇴시켰다가 적이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돌아서서 반격하라.” 그러나 이는 부견의 오산이었다. 일단 후퇴 길에 오른 전진군(前秦軍)은 반격은커녕 멈춰 설 수도 없었다. 무사히 강을 건넌 동진군은 사정없이 전진군을 들이쳤다. 대혼란에 빠진 전진군은 서로 밟고 밟혀 죽는 군사가 들을 덮고 강을 메웠다. 겨우 목숨을 건진 군사들은 겁을 먹은 나머지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風聲鶴唳]’ 소리만 들어도 동진의 추격군이 온 줄 알고 도망가기 바빴다고 한다. [주] 부견 : 전진(前秦)의 3대 임금. 이름은 문옥(文玉), 자는 영고(永固). 시호(諡號)는 세조(世祖). 저족출신. 2대 임금을 시해하고 즉위한 후 농경(農耕)을 장려하고 법제(法制)를 정비.확립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씀. 376년 화북(華北:황하 중.하류 지방)을 평정하고 전진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음. 국력이 신장되자 천하 통일의 야망을 품고 383년 동진을 쳤으나 비수의 싸움에서 대패함. 나라가 분열된 가운데 385년 스스로 목숨을 끊음. (338~385, 재위 357~385).
Board 고사성어 2024.07.02 風文 R 346
‘핵융합’을 어떻게 읽어야 하나 북한이 지난 1월 6일 실시한 4차 핵실험이 북한이 주장하는 수소탄 핵실험이었는지, 아니면 단순한 핵실험이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 최근 미국 CNN 방송이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수소탄 핵실험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해 수소폭탄에 대한 관심이 또다시 증폭되고 있다. 원자폭탄이 ‘핵분열’ 원리를 이용하는 데 반해 수소폭탄은 ‘핵융합’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소의 원자핵이 서로 융합해 헬륨의 원자핵을 만들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살상·파괴용으로 이용하는 폭탄이 바로 수소폭탄이다. 수소폭탄은 보통 원자폭탄의 수십∼수백 배의 위력을 갖는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핵융합’을 발음할 때 주의할 것이 있다. 글자 그대로 [해귱합]이라고 발음하면 안 되고 ‘ㄴ’ 음을 첨가해 [행늉합]이라고 발음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핵융합’이 ‘핵’과 ‘융합’의 합성어이기 때문인데, 표준발음법에 보면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고 되어 있다. 우리가 ‘식용-유’를 글자 그대로 [시굥유]로 발음하지 않고 ‘ㄴ’ 음을 첨가해 [시굥뉴]로 발음하고, ‘색-연필’을 [새견필]이 아닌 [생년필]로 발음하는 이유도 바로 이 규정 때문이다. 핵과 관련된 합성어 중에서 뒤 단어가 ‘이, 야, 여, 요, 유’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많은데, 모두 ‘ㄴ’ 음을 첨가해 발음해야 한다. ‘핵-연료’는 [해결료]가 아닌 [행녈료]로 읽어야 하고 ‘핵-유전자’는 [해규전자]가 아닌 [행뉴전자]로 발음해야 한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Board 말글 2024.07.02 風文 R 961
청소년들의 경어법 얼마 전에 종방한 한 인기 드라마에서 한바탕 싸운 부부가 서로 존댓말을 쓰기로 약속하는 장면이 있었다. 내용상 익살스러운 설정이었지만 이 드라마 속 작은 일화는 경어법의 본질이 상호 간의 배려와 존중에 있음을 보여 준다. 1910년대 소설 ‘무정’의 주인공인 경성학교 영어 교사 이형식은 학생들에게 “시간이 늦어 미안하외다” “김 군, 읽어 보시오”처럼 학생들에게 하오체로 말한다. 교사의 권위보다는 성숙한 학생을 존중하는 마음이 앞서고 있다. 필자의 은사님은 1950년대만 해도 대학에서 선배가 후배를 ‘학형’이라고 부르고 말도 높였다고 하시면서, 후배에게 반말을 하는 우리의 수직적인 말 문화를 지적하기도 하셨다. 이미 중학생이 되는 순간 아이들은 선배에게 존댓말을 쓰고, 선배는 후배에게 반말을 한다. 주고받는 말에서 엄격한 상하 관계가 세워지고 마는 것이다. 거의 동년배라고 할 아이들이 “야, 너 이리 와” “예, 무슨 일이세요?”처럼 말하는 것은 아무래도 부자연스럽다. 그래서 존댓말과 반말을 주고받는 청소년들의 불평등한 언어문화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된다. 조사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에 따르면 우리말 경어법이 불평등한 인간관계를 반영한다는 비판적인 견해들도 적지 않다. 경어법은 우리말의 미덕이지만, 권위와 복종이 아니라 상호 존중의 수단일 때 진정한 가치가 있다. 밝고 아름다운 청소년 시기, “언니, 안녕히 가세요”보다는 “언니, 잘 가” 하는 말이 어울려 보인다.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평등한 말 문화를 만들어 가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허철구 창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Board 말글 2024.07.02 風文 R 924
대인배?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에게는 ‘대인배 김 선생’이란 별명이 있다. ‘대인배’는 2000년대 중반에 새로 만들어진 말인데 최근에는 신문이나 방송에서도 심심찮게 쓰인다. 새로 나온 국어사전에는 ‘도량이 넓고 관대한 사람을 소인배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로 등재돼 있다. ‘소인’은 마음 씀씀이가 좁고 간사한 사람을 이르는 말로, 그 반대말은 ‘군자(君子)’다. 군자는 덕성과 학식이 매우 높은 인격자로, 유학에서는 성인(聖人)에 버금가는 경지에 오른 사람을 이른다. 그러니 보통 사람들보다 좀 더 너그러운 태도를 지닌 사람을 소인이 아니라고 해서 군자라고 부르기도 적절치 않다. 사람을 ‘소인’과 ‘군자’로만 표현하려 하니 난처해지는 고민이 소인배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대인배’라는 말을 만들어낸 배경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말이 만들어진 과정이 독특하다. 본래 ‘소인배’는 ‘소인(小人)’에 ‘-배’가 붙어서 된 말이다. 접미사 ‘-배(輩)’는 대개 부정적인 일을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런 일을 하는 사람들의 무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폭력배’는 걸핏하면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 ‘불량배’는 행실이나 성품이 나쁜 사람들의 무리를 가리킨다. ‘소인배’는 물론 소인들의 무리다. 그런데 ‘대인배’에는 부정적인 의미는 물론이고 무리나 집단의 뜻이 전혀 없다. 무리보다는 김연아 선수 같은 특정인을 긍정적인 의미로 가리킬 때 쓴다. 한마디로 우리말 어법에 맞지 않는 조어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대인배’라는 말을 탐탁지 않아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다른 말로 대신할 수 없는 의미를 담고 있기에 점점 쓰임이 늘고 있기도 하다. 잘못된 조어법에도 이 말이 끈질기게 살아남아 생명력을 얻을지, 아니면 유행어로 한때 잠깐 쓰이다 사라지고 말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Board 말글 2024.07.02 風文 R 980
포호빙하(暴虎馮河) 暴:사나울 폭(관용)/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동의어]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참조] 전전긍긍(戰戰兢兢). [출전] ≪論語≫ 〈述而篇〉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 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공자의 3000여 제자 중 특히 안회(顔回)는 학재(學才)가 뛰어나고 덕행이 높아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라고 한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했지만 이를 전혀 괴로워하지 않았으며 또한 32세의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노하거나 실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 안회에게 어느 날,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왕후(王侯)에게 등용되면 포부를 펴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이를 가슴 깊이 간직해 두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지.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이는 나와 너 두 사람 정도일 것이다.” 이 때 곁에서 듣고 있던 자로(子路)가 은근히 샘이 나서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도를 행하는 것은 그렇다 치고 만약 대군을 이끌고 전쟁에 임할 때 선생님은 누구와 함께 가시겠습니까?” 무용(武勇)에 관한 한 자신 있는 자로는 ‘그야 물론 너지’라는 말이 떨어지기를 기대했으나 공자는 굳은 얼굴로 이렇게 대답했다.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거나 황하를 걸어서 건너는 것[暴虎馮河]과 같은 헛된 죽음을 후회하지 않을 자와는, 나는 행동을 같이하지 않을 것이다.”
Board 고사성어 2024.07.01 風文 R 349
‘아짜방’인가 ‘아자방’인가 지난 11일 지리산 칠불사 아자방 구들 보수공사 과정에서 복원 이전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아궁이가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이 아자방 구들은 한 번 불을 지피면 온돌과 벽면에 100일 동안 온기가 지속된다고 하기 때문에 관심이 더욱 증폭됐다. 그런데 ‘아자방’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가. 표기대로 [아자방]이라고 발음해야 하는가, 아니면 [아짜방]이라고 발음해야 하는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짜방]으로 발음해야 한다. 아자방은 한자 ‘아(亞)’자 모양으로 방고래를 만들고 구들을 놓은 방으로, 가운데 한자가 글자 ‘자(字)’이다. 아자방은 바닥층과 침상으로 되어 있는데, 침상이 '다'자형(字形)으로 양쪽에 있고 방바닥이 십자형(十字形)으로 되어 있어 마치 그 모양이 ‘아(亞)’자를 닮았다고 해서 ‘아자방’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그런데 뒤에 글자 ‘자(字)’가 오는 단어들은 ‘한자(漢字)’[한:짜], ‘문자(文字)’[문짜]의 경우처럼 ‘자’를 된소리로 발음한다. 이는 한자어의 발음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조건, 즉 ‘ㄹ’ 받침 뒤에 ‘ㄷ, ㅅ, ㅈ’의 소리가 연결되는 경우 이외의 예외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자어의 된소리 발음은 이처럼 수의적(隨意的)으로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수의적인 된소리 발음 용례들에는 가점(加點)[가쩜], 기법(技法)[기뻡], 시비조(是非調)[시:비쪼], 유권자(有權者)[유:꿘자] 등이 있다. 같은 이유로 왕릉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봉분 앞에 ‘丁’ 자 모양으로 지은 집인 ‘정자각(丁字閣)’은 [정자각]이 아닌 [정짜각]이라고 읽어야 한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Board 말글 2024.07.01 風文 R 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