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조절충(樽俎折衝) 樽:술통 준. 俎:도마 조. 折:꺾을 절. 衝:충돌할 충. [유사어] 준조지사(樽俎之師). [출전]《晏子春秋》〈內篇〉 ‘술자리[樽俎(間)]에서 유연한 담소(談笑)로 적의 창끝을 꺾어 막는다[折衝]는 뜻으로, 외교를 비롯하여 그 밖의 교섭에서 유리하게 담판하거나 흥정함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제(齊)나라 장공(莊公)이 신하인 최저에게 시해되자 동생이 뒤를 잇고 경공(景公)이라 일컬었다. 경공은 최저를 좌상(左相)에 임명하고 그를 반대하는 자는 죽이기로 맹세까지 했다. 이어 모든 신하가 맹세했다. 그러나 단 한 사람, 안영(晏子)만은 맹세하지 않고 하늘을 우러러보며 탄식했다고 한다.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위하는 사람이라면 좋으련만.’ 이윽고 최저가 살해되자 경공은 안영을 상국(相國)에 임명했다. 안영은 온후박식(溫厚博識)한 인물로서 ‘한 벌의 호구(여우 겨드랑이의 흰 털가죽으로 만든 갖옷)를 30년이나 입었을정도로 검소한 청백리이기도 했다. 한 번은 경공이 큰 식읍(食邑)을 하사하려 하자 그는 이렇게 말하며 사양했다고 한다. “욕심이 충족되면 망할 날이 가까워지나이다.” 당시 중국에는 대국만 해도 12개국이나 있었고 소국까지 세면 100개국이 넘었다. 안영은 이들 나라를 상대로 빈틈없이 외교 수완을 발휘하여 제나라의 지위를 반석 위에 올려놓았다. 안영의 외교 수완에 대해 그의 언행을 수록한《안자 춘추(晏子春秋)》는 이렇게 쓰고 있다. “술통과 도마 사이[樽俎間:술자리]를 나가지 아니하고 1000리(里) 밖에서 절충한다 함은, 그것은 안자를 두고 하는 말이다.” [주] 준조 사이 : ‘술통과 도마 사이’란 뜻으로, 술자리(연회석)를 가리키는 말.
Board 고사성어 2024.01.04 風文 R 585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아침저녁으로는 제법 쌀쌀하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계절이 바뀌는 건 우리 몸이 먼저 느낀다. 피부가 건조해지고 얼굴이 땅기는 것도 그 신호 중의 하나이다.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고…. 내가 느끼는 가을이다. ‘당기다’와 ‘땅기다’‘댕기다’는 헷갈리기 쉽다. 흔히 “얼굴이 당겨요” “피부가 당겨요”와 같이 말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이럴 때는 ‘땅기다’가 맞다. ‘땅기다’는 ‘몹시 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다’는 뜻으로 “바람이 부니 얼굴이 땅겨요” “수술한 부위가 몹시 땅겨요” “상처가 땅겨서 아파요”와 같이 쓴다. 그 외의 것들은 대부분 ‘당기다’라고 생각하면 쉽다. ‘당기다’는 ‘마음이 끌리다, 입맛이 돋우어지다, 힘을 주어 가까이 오게 하다, 시간을 앞으로 옮기다’ 등 다양한 뜻이 있다. “호기심이 당겨요” “입맛이 당기니 살을 뺄 수가 없네요” “방아쇠를 당겼다” “결혼 날짜를 당겼다”와 같이 쓴다. 흔히 ‘당기다’를 강조한 표현이 ‘땅기다’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는 잘못이다. ‘댕기다’는 불과 관련하여 쓰인다. ‘불이 옮아 붙다. 불을 옮아 붙게 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담배에 불을 붙일 때에는 ‘담배에 불을 댕기다’라고 하는 것이 맞다. 이와 같이 평음과 경음 사이에서 헷갈리기 쉬운 말 중에 ‘달리다’와 ‘딸리다’가 있다. ‘달리다’는 재물이나 기술, 힘 따위가 모자랄 때 쓰는 말인데 이를 ‘딸리다’로 쓰는 경우가 많다. ‘기운이 딸리다’가 아니라 ‘기운이 달리다’, ‘일손이 딸리다’가 아니라 ‘일손이 달리다’가 맞다. ‘딸리다’는 ‘어떤 것에 매이거나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화장실이 딸려 있는 방’ ‘식구가 다섯이나 딸려 있다’와 같이 쓴다. “딸린 식구가 많으니 힘이 달리네요”라고 기억하면 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Board 말글 2024.01.04 風文 R 3414
‘폭팔’과 ‘망말’ 방송이나 신문에서 ‘폭팔’과 ‘망말’이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다. “○○, 카리스마 폭팔”과 “망말…주변국 반발”처럼 ‘폭팔’과 ‘망말’을 빈번하게 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폭팔’과 ‘망말’은 각각 한자어인 ‘폭발(暴發)’과 ‘망발(妄發)’의 잘못이다. 폭발은 ‘감정, 힘, 열기 따위가 일시에 세찬 기세로 나옴’을, 망발은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 먼저 ‘폭발(暴發)’은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ㅍ’과 ‘ㅂ’으로 모두 순음(입술소리)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ㅍ’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ㅍ’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폭빨]이 아닌 [폭팔]로 발음하게 되었다. 또한 거기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발음에 따라 ‘폭팔’로 적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망발(妄發)’ 또한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ㅁ’과 ‘ㅂ’으로 모두 순음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ㅁ’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ㅁ’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망:말]로 발음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고유어 ‘막말’ 및 한자어 ‘망언(妄言)’도 얼마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함부로 하는 말’을 뜻하는 고유어 ‘막말([망말]로 소리 남)’ 및 ‘이치나 사리에 맞지 아니하고 망령되게 하는 말’을 뜻하는 ‘망언(妄言, [망:언])’과 크게 혼동을 일으켜 이런 잘못이 일어났다. ‘폭팔’과 ‘망말’은 모두 한자어 ‘폭발’과 ‘망발’의 잘못된 발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는 어휘 지식이 크게 부족한 사람들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잘못이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Board 말글 2024.01.04 風文 R 3712
죽마고우(竹馬故友) 竹:대나무 죽. 馬:말 마. 故:예/연고 고. 友:벗 우. [동의어] 죽마지우(竹馬之友), 죽마구우(竹馬舊友). [유사어] 기죽지교(騎竹之交), 죽마지호(竹馬之好). [출전]《世說新語》〈品藻篇〉,《晉書》〈殷浩專〉 어릴 때 같이 죽마(대말)를 타고 놀던 벗이란 뜻. 곧 ① 어렸을 때의 벗. 소꼽동무. ②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③ 어렸을 때부터의 오랜 친구. 진(晉:東晉)나라 12대 황제인 간문제(簡文帝:371~372) 때의 일이다. 촉(蜀)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桓溫)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간문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殷浩)라는 은사(隱士)를 건무장군(建武將軍) 양주자사(揚州刺史)에 임명했다. 그는 환온의 어릴 때 친구로서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인재였다. 은호가 벼슬길에 나아가는 그날부터 두 사람은 정적이 되어 반목(反目)했다. 왕희지(王羲之)가 화해시키려고 했으나 은호가 듣지 않았다. 그 무렵,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하나인 후조(後趙)의 왕 석계룡(石季龍)이 죽고 호족(胡族)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자 진나라에서는 이 기회에 중원 땅을 회복하기 위해 은호를 중원장군에 임명했다. 은호는 군사를 이끌고 출병했으나 도중에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결국 대패하고 돌아왔다. 환온은 기다렸다는 듯이 은호를 규탄하는 상소(上疏)를 올려 그를 변방으로 귀양 보내고 말았다. 그리고 환온은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은호는 나와 ‘어릴 때 같이 죽마를 타고 놀던 친구[竹馬故友]’였지만 내가 죽마를 버리면 은호가 늘 가져가곤 했지. 그러니 그가 내 밑에서 머리를 숙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환온이 끝까지 용서해 주지 않음으로 해서 은호는 결국 변방의 귀양지에서 생애를 마쳤다고 한다.
Board 고사성어 2024.01.03 風文 R 573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Board 말글 2024.01.03 風文 R 2636
내일러 요즘 사람들은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여행을 즐긴다. 걷기 여행, 자전거 여행, 자동차 여행, 기차 여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최근 들어 기차 여행을 즐기는 젊은 사람이 부쩍 늘었는데 이들을 가리켜 ‘내일러’라 한다. ‘내일러’는 ‘내일로’를 이용하여 기차 여행을 하는 젊은 사람을 가리킨다. ‘내일로’는 한국철도공사에서 2007년부터 만 28세 이하의 젊은 사람에게 판매하기 시작한 패스형 기차 여행 상품이다. 고속열차(KTX)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열차를 일정 기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티켓인데, 5일권과 7일권이 각각 56,500원과 62,700원으로 아주 저렴하다. 이로 인해 젊은 사람도 경제적 부담 없이 맘껏 기차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내일로’의 이름 짓기 방식이 특이하다. ‘내일로’는 ‘기차’를 뜻하는 영어 ‘레일(rail)’에, ‘길’의 뜻을 더하는 한자어계 접미사 ‘-로(路)’를 결합하여 만든 말인데, 소리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레일’을 우리말의 ‘내일(다가올 앞날)’과 바꿔치기하였다. 독창적인 이름 짓기 방식이라 할 만하다. 그리하여 ‘내일로’는 ‘앞으로’를 뜻하는 말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내일러’ 또한 아주 특이하게 만들어진 말이다. 이 말은 ‘내일로’에, ‘어떤 일에 관계하는 사람’을 뜻하는 영어의 접미사 ‘-er’를 결합하여 만든 말이다. 그러나 ‘내일로’에 영어의 접미사 ‘-er’를 결합하여 새말을 만드는 것은 독창적이라기보다 그 도를 크게 넘은 일로 봐야 한다. 우리말에서 ‘-er’와 같은 영어의 접미사를 가져다가 새말을 만드는 것은 극히 부자연스럽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귀차니스트’의 ‘-ist’도 마찬가지이다. 정말이지 우리의 영어 사랑이 넘쳐도 너무 넘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Board 말글 2024.01.03 風文 R 2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