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다’, 약속하는 말 인간만이 ‘약속’을 한다. 생각해 보라. 가만히 있어도 시간은 무심히 흐르고 세상은 돌아가고 어떤 일이든 벌어진다. 그런데도 굳이 인간은 수시로 약속을 하고 다짐을 한다. 약속은 인간이 말을 통해 자신과 자신이 하게 될 행위를 단단하게 결속시키는 것이다. 자신과 세계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말하는 동물’로서 인간의 본성에 다다른다. 문제는 약속을 무엇으로 보증하냐는 것이다. 약속은 그만큼 불이행의 가능성, 거짓 약속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약속을 어길 수도 있다는 점에서 모든 약속은 윤리적이며 정치적이다. “오늘부터 술을 끊겠어”라는 약속을 할라치면 “그 말을 어떻게 믿어?”라는 핀잔을 듣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걸다’라는 낱말이 등장한다. 화투를 치더라도 뭘 걸지 않으면 ‘놀이’이지 ‘노름’이 아니듯. 애초에 ‘걸다’는 튀어나온 곳에 어떤 물건을 달려 있게 하는 행동을 뜻한다. 벽에 못을 박아 놓으면 옷이든 모자든 쉽게 걸어 둘 수 있다. 안 보이는 곳에 숨기기보다는 드러내고 도드라지게 한다. 쓸모가 많은지 다양한 상황에 쓰인다. 전화를 걸고, 시동을 걸고, 말을 걸고, 시비를 걸고, 기대도 건다. 약속은 자신을 거는 것. 내뱉자마자 사라지는 말에 책임을 지겠다고 스스로 자신의 목에 족쇄를 채우는 일. 아무리 사소한 약속이더라도 그 말을 하는 순간 자신을 ‘다 걸기’(올인) 하는 것이다. 양심을 걸고, 명예를 걸고, 이름을 걸고, 직을 걸고 뭔가를 약속하는 장면은 얼마나 숭고하고 인간다운가. 부조리한 자들일수록 입만 살아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고 자리를 걸며 거짓 약속을 한다. 그들은 약속의 윤리성을 짓밟고, 세계를 타락시키며, (힘이 아닌) 말의 지배를 받아들이기로 한 인간 문명 자체를 파괴하는 자들이다. ‘존버’와 신문 쌍스러워 보이겠지만,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보자. 당신은 신문에 ‘존나’라는 단어를 써도 된다고 보는가? 알다시피 ‘존나’는 거친 욕을 살짝 달리 발음한 것이다. ‘졸라’, ‘조낸’으로 바꿔 쓰기도 한다. 양의 차이는 있지만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즐겨 쓴다. 그래도 신문에 욕을 쓰는 건 무리겠지? 그렇다면 ‘존버’는 어떤가? ‘존나 버티기’의 준말인데, ‘끝까지 버티기’ 정도로 ‘예쁘게’ 의역한다. ‘존버 정신’이나 ‘존버 장인’이란 말로 확대되기도 했다. 생긴 걸 품평하는 ‘존잘(잘생겼다)’, ‘존예(예쁘다)’, ‘존멋(멋있다)’은 ‘존버’와 사촌지간이다. 말은 사전적인 뜻만을 전달하지 않는다. 모종의 감정이 들러붙는다. ‘존버’는 욕이기보다는 효율과 성과, 불합리, 과로를 강요하는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의 자구책 또는 삶의 지혜 같은 것이다(그게 ‘버티기’라니). 역설적이게도 긍정적인 느낌의 ‘끈기’나 ‘인내’와 비슷한 뜻이 되었다. ‘존나’라는 욕설이 섞인 ‘존버’는 이미 신문 여기저기에 쓰이고 있다. 아직 조심스러운지, 제한적이긴 하다. 외부 기명칼럼, 인터뷰, 문화면, 주식면 등에 주로 노출되는데, 대부분 따옴표를 쳐서 쓴다. 예컨대, “경력도 쌓고 퇴직금도 받으려면 ‘존버’해야죠” “(주식이) 언제 회복될지 감도 안 잡힌다. ‘존버는 승리한다’만 믿고 가야 하나” 식이다. 사람들은 일일이 어원을 따져가며 말을 쓰지 않는다. 당대의 상황을 생동감 넘치고 현장감 있게 담을 수만 있다면, 그 말이 하위문화나 비(B)급 언어이면 어떤가. 가끔 더 좋을 때도 있다. 입말과 글말의 문턱이 사라져 가는 조건에서 시대를 기록하는 기자들의 고민은 더 깊어지겠군. 존버할 건 존버하되, 유연하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Board 말글 2023.10.13 風文 R 3164
요동지시(遼東之豕) 遼:먼/나라 이름 요. 東:동녘 동. 之:갈 지(…의). 豕:돼지 시. [준말] 요시(遼豕). [동의어] 요동시(遼東豕). [출전]《文選》〈朱浮書〉,《後漢書》〈朱浮專〉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오만한 탓에 하찮은 공을 득의 양양하여 자랑함의 비유. 후한(後漢) 건국 직후, 어양태수(漁陽太守) 팽총(彭寵)이 논공 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꾀하자 대장군(大將軍) 주부(朱浮)는 그의 비리를 꾸짖는 글을 보냈다. “그대는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옛날에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白頭] 새끼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河東)까지 가 보니 그곳 돼지는 모두 대가리가 희므로 크게 부끄러워 얼른 돌아갔다.’ 지금 조정에서 그대의 공을 논한다면 폐하[光武帝]의 개국에 공이 큰 군신 가운데 저 요동의 돼지에 불과함을 알 것이다.” 팽총은 처음에 후한을 세운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반군(叛軍)을 토벌하기 위해 하북(河北)에 포진(布陣)하고 있을 때에 3000여 보병을 이끌고 달려와 가세했다. 또 광무제가 옛 조(趙)나라의 도읍 한단(邯鄲)을 포위 공격했을 때에는 군량 보급의 중책(重責)을 맡아 차질 없이 완수하는 등 여러 번 큰공을 세워 좌명지신(佐命之臣:천자를 도와 천하 평정의 대업을 이루게 한 공신)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오만 불손한 팽총은 스스로 연왕(燕王)이라 일컫고 조정에 반기를 들었다가 2년 후 토벌 당하고 말았다.
Board 고사성어 2023.10.11 風文 R 1023
모호하다 ‘똑 부러지게 말하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흥, 어느 누구도 똑 부러지게 말할 수 없다오. 말의 가장 큰 특징은 모호하다는 것. 정확한 말은 없다. 예컨대, ‘청년’이라는 말은 모호하다. 물론 10살 어린이나 60살 먹은 사람을 청년이라 하지는 않는다. 스무살인 사람은 청년이 분명하다. 하지만 열아홉살은 어떤가. 마흔살은? 국어사전에 따르면 ‘서른살에서 마흔살 안팎의 나이’를 ‘장년’이라고 정의하던데, 그렇다면 청년은 스무살부터 서른살까지? 서른한살은 청년이 아닌가? 모호성은 ‘무지’(모른다)와는 다르다.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 말할 수 없다는 것은 아직 생명체의 존재를 보여줄 증거를 찾지 못했다는 뜻일 뿐이다. 생명체가 확인되면 무지는 해결된다. 하지만 ‘청년’에 대해 뭔가를 밝혀본들 모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장년에 비해 악력이 더 세다거나 뱃살의 두께가 얇다거나 피가 더 뜨겁다는 게 밝혀진다고 해서 ‘청년’이란 말의 모호성이 해소되는 건 아니다. ‘구체성의 결여’와도 다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양쪽이 노력하기로 했다’는 식의 말이 갖는 문제는 모호성 때문이 아니라 구체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두루뭉술하게 얼버무리지 말고 어떤 노력을 기울일지 조목조목 밝히면 문제가 실질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모호하다’는 말은 명확한 경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말은 불분명하고 막연하다. 어디까지가 ‘종아리’이고 어디부터 ‘발목’이 시작되는지 분명하지 않다. 영하 몇도여야 “춥다”고 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말의 의미를 확정 지을 수 없다는 특성이야말로 말의 본질이다. 무슨 수를 써도 말의 모호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말의 모호성을 밑천으로 굴러가는 인간세상이 헐겁고 시끄러운 건 당연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금쪽이 누가 쓰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말이 있다. ‘금쪽이’도 그중 하나. ‘쪽’이란 말은 쪼개진 물건의 일부분, 또는 작은 조각을 뜻한다. ‘대쪽’, ‘반쪽’, ‘쪽잠’, ‘쪽파’, ‘콩 한쪽’ 같은 예에 섞여 쓰인다. 주로 ‘금쪽같은’, ‘금쪽같이’라는 형태로 쓰이는 ‘금쪽’은 작은 조각의 금이다. ‘금쪽같은 자식’뿐만 아니라, ‘금쪽같은 시간, 금쪽같은 기회’에서처럼 금 자체보다는 귀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대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금쪽’에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이’를 붙여 만든 ‘금쪽이’는 당연히 ‘귀한 자식’을 뜻해야만 한다! 기왕 귀한 걸 뜻할 바에야 화끈하게 ‘금덩이’나 ‘골드바’라고 했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그런데 지금은 정반대의 뉘앙스로 쓰이니 어찌 된 일인가. 물론 한 낱말이 상황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쓰이는 경우는 흔하다. 예전에 ‘기막히다’가 상황에 따라 긍정적인 뜻을 가질 수도 있고(‘맛이 기막히다’), 부정적인 뜻을 가질 수도 있다고 한 적이 있다(‘기막힌 일을 연거푸 당하다니’). 하지만 ‘금쪽이’는 그런 상황보다는 그 말을 누가 쓰느냐에 따라 반대의 뜻으로 쓰인다는 점에서 다르다. 자기 자식에게 ‘금쪽이’란 말을 쓰면 여전히 귀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뜻이지만, 남의 자식에게 쓰면 골칫덩어리, 문제아, 말썽꾸러기, 철부지, 상담이 필요할 정도로 이상행동을 하는 어린이를 반어적으로 뜻한다. 유명 육아 프로그램의 영향 때문으로 보이지만, 이젠 일반화되어 부정적인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배움이 있어야 할 자리에 폭력이, 갑질이, 사법이 대신 똬리를 틀고 앉아 있는 한, 부정적인 의미의 ‘금쪽이’는 사라지지도, 고쳐지지도 않을 것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Board 말글 2023.10.11 風文 R 2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