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음, 없음, 닫혔음 인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는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장면들이 자주 등장한다. 드라마는 1989년 2월의 어느 날 TV 뉴스를 통해 맞춤법과 표준어 개정 소식을 다루었다. 뉴스를 보던 고등학생 선우가 동생의 공책에 쓰인 ‘있읍니다’를 얼른 ‘있습니다’로 고쳐 주는 장면이 방영되었다. 1988년 개정 이전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둘 다 쓰도록 했다. 즉 ‘읍니다’보다 ‘습니다’가 더 깍듯한 표현이라고 하여 둘을 구분해서 썼다. 그러나 점차 둘 사이에 의미 차이가 없어지게 되어 ‘습니다’ 하나로 통일해서 쓰도록 한 것이다. 이에 ‘있읍니다, 먹읍니다, 입읍니다’ 등은 더 이상 쓰지 않고 ‘있습니다, 먹습니다, 입습니다’로만 적게 되었다. 그런데 이때의 개정 내용을 잘못 이해해서 ‘있음, 없음’ 등도 모두 ‘있슴, 없슴’으로 바뀐 줄 아는 사람들이 있다. ‘있음, 없음’을 ‘있습니다, 없습니다’의 준말로 알고 ‘있슴, 없슴’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음’은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로 만들어주는 명사형 어미로, ‘습니다’와는 상관이 없다. ‘지금 여기 있음은 없음만 못하다’ ‘동지에는 팥죽을 먹음으로써 잡귀를 쫓는다’ 같은 문장을 살펴보자. ‘있다, 없다, 먹다’ 같은 형용사나 동사를 명사처럼 기능할 수 있게 바꾸어주는 역할을 ‘음’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습니다’는 서술형으로 문장을 끝낼 때 쓰는 어미 ‘ㄴ다’의 높임말이다. ‘아침에 밥을 먹는다’ 대신 ‘밥을 먹습니다’로 쓰면 상대를 높이면서 문장을 끝맺게 된다. 이 ‘습니다’ 형태는 따로 준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있슴, 없슴, 닫혔슴’ 등은 모두 잘못된 표기다. ‘있음, 없음, 닫혔음’으로 적어야 맞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Board 말글 2024.06.24 風文 R 1047
‘느지막하다’ ‘나지막하다’ 서양의 ‘브런치(brunch)’ 문화가 어느새 우리 사회에도 널리 퍼지고 있다. ‘아침 겸 점심’을 뜻하는 우리말 ‘아점’이 다소 속된 느낌, 놓친 끼니를 때운다는 느낌이 드는데 비해 영어인 ‘브런치’에서는 품격과 여유가 느껴진다면 이 또한 문화적 사대주의 탓일까? 아무튼 매일 아침, 시간에 쫓기는 맞벌이 주부인 나에게 여유롭게 즐기는 ‘느지막한 아침식사’는 바람일 뿐이다. ‘느지막한 아침식사’에서 ‘느지막하다’를 ‘늦으막하다’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늦다’는 뜻과 연관시켜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지막하다’도 ‘낮다’는 뜻을 떠올려 ‘낮으막하다’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말들은 ‘느지막’ ‘나지막’이라는 어근에 ‘-하다’가 붙어 생긴 말로 ‘느지막하다’ ‘나지막하다’가 맞는 말이다. 그래도 여전히 ‘느지막’과 ‘느즈막’, ‘나지막’과 ‘나즈막’이 헷갈릴 수 있다. ‘으’가 ‘이’로 바뀌는 전설모음화 현상으로 설명하는 이도 있으나 뚜렷하지는 않다. 비슷한 형태의 말 중에 ‘큼지막하다’ ‘높지막하다’를 생각하면 쉽다. ‘-즈막하다’로 끝나는 말은 표준어에는 없다. 따라서 ‘느지막한 출근’ ‘나지막한 목소리’ 등과 같이 써야 한다. ‘-하다’가 붙는 말이기 때문에 부사형에는 ‘히’가 붙어 ‘느지막히’ ‘나지막히’가 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느지막이’ ‘나지막이’가 맞다. 마찬가지로 ‘큼지막’ ‘높지막’에도 ‘이’가 붙어 ‘큼지막이’ ‘높지막이’가 된다. ‘늘그막’이라는 말도 ‘늙다’는 뜻 때문에 ‘늙으막’이라고 혼동하기 쉬우나 ‘늘그막’이 바른 표현이다. 흔히 ‘널찍하다’와 비슷한 뜻으로 ‘널찌막하다’ 라는 표현도 많이 쓰는데 ‘널찌막하다’는 사전에는 나오지 않는 말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
Board 말글 2024.06.24 風文 R 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