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이 암살단
그가 하늘을 향해 천천히 망원경을 겨눴을 때
우리는 전혀 놀라지 않았다.
그가 함부로 지구를 공전시키려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논쟁과 소문, 오해와 맹신, 그리고 마녀의 표식.
우리는 그런 방법들을 선호해 왔고 실패는 없었다.
오늘 아침처럼 자연스러울 것, 그리고 감쪽같을 것.
시간은 그림자도 없이 또 다른 시간을 잠식하고
대부분 포물선이 이끄는 대로 가라앉았다. 아무런 의심 없이.
서로의 등 뒤에서 태엽을 발견하는 일은
목 위에서 건들거리는 서로의 얼굴만큼이나 당연한 일이어서
태엽이 풀리는 소리 때문에 그가 잠 못 드는 일은 없었고
그 점이 우리를 안도하게 했다.
우리는 그가 한결같은 하늘을 볼 수 있도록 배치에 정성을 쏟았다.
흑점에 대한 그의 수집벽과 달 표면에 대한 집착이 거슬릴 때면
태양과 달의 질서를 적당히 뒤섞어 그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렸다.
목성이 숨긴 위성까지 찾아낸 그는 결코 만만한 상대는 아니었지만
우리는 은하수 아래 산책을 즐기는 밤하늘의 숭배자들을 믿었다.
일상의 마니아였던 그들은 그의 눈동자에서 광기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고
낮밤으로 촘촘히 얽힌 투명한 감옥 속에 로마가 그를 가둘 수 있도록 일조했다.
우리가 그의 하늘을 빼앗고 죽음을 빙자한 영원한 암흑을 선사했을 때에도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은 오로지 별빛의 은폐 속에만 있었다.
네덜란드에서 망원경이 발명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 400년 전의 일이다. 그의 위대성은 망원경을 하늘로 돌려서 천체를 바라보았다는데 있다. 그가 본 것은 흑점이 있는 불완전한 태양이었다. 울퉁불퉁한 크레이터가 산재한 달 표면을 목격했으며, 목성의 달을 보았고, 초승달 모양의 금성을 관측했다. 은하수가 수없이 많은 별들이었음을 간파했다.
최근에 영국 천문학자 토머스 해리엇이 망원경을 통해서 본 달 표면을 스케치한 그림이 발견되었다. 갈릴레이의 달 그림 보다 6개월이나 앞선 것이었다. 누가 먼저 했느냐를 따지자는 것이 아니다. 갈릴레이가 아니었어도 도처에서 진실을 찾기 위한 과학자들의 시도가 있었다는 사실이 더 벅찬 감동으로 다가온다는 말이다. 문득, 브레히트의 <갈릴레이의 생애>가 보고 싶다.
그는 밤하늘의 숭배자였다. 그중에서도 달빛을 가장 사랑했다. 그가 아끼는 많은 추억들이 달빛 아래서 시작되거나 끝났고 다시 시작되었다. 달빛은 오로지 달의 소유일 뿐 태양과는 아무 상관도 없었다. 햇빛 아래 산책은 별개의 문제였다. 그는 숨겨진 별빛의 나머지 얼굴과 낮달의 소문을 믿지 않았다. 일식을 관찰하던 아이들의 셀로판지를 낚아채 도망치던 그의 마음은 진심이었다. 하늘과 땅은 이 세계의 가장 완벽한 끝이어야 했다. 삶과 죽음처럼. 그는 성실했지만 완고했기 때문에 자신이 우주인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 물은 흘러가는 것이지 순환하는 게 아니었다. 정말이지 구름의 내부를 알고 싶지는 않았다. 그는 오랜 세월 자신의 이름 안에 머물고자 스스로를 훈련해 왔으며 우주로 떠나는 탐사선을 볼 때마다 누군가는 그것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무런 저항 없이 포물선의 운동을 반복하게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오래전 하늘을 염탐했던 그들과는 정반대의 이유로 잠을 이루지 못했고 암살단으로부터 조직원 제의를 받은 것은 그의 불면증이 극에 도달했던 아마도 그 무렵이었을 것이다.
황성희는… 1972년 생. 200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앨리스네 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