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신상담(臥薪嘗膽) 臥:누울 와. 薪:섶(땔)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게 담. [유사어] 회계지치(會稽之恥), 절치액완(切齒扼腕). [출전]《史記》〈越世家〉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의 비유. 춘추 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취리[절강성 가흥(浙江省嘉興)]에서 싸워 크게 패한 오왕(吳王) 합려(闔閭)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B.C. 496). 임종 때 합려는 태자인 부차(夫差)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유명(遺命)했다. 오왕이 된 부차는 부왕(父王)의 유명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는 방문 앞에서 부왕의 유명을 외치게 했다.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때마다 부차는 임종 때 부왕에게 한 그대로 대답했다. “예, 결코 잊지 않고 3년 안에 꼭 원수를 갚겠나이다.” 이처럼 밤낮 없이 복수를 맹세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월왕 구천은 참모인 범려가 간(諫)했으나 듣지 않고 선제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월나라 군사는 복수심에 불타는 오나라 군사에 대패하여 회계산(會稽山)으로 도망갔다. 오나라 군사가 포위하자 진퇴양난에 빠진 구천은 범려의 헌책(獻策)에 따라 우선 오나라의 재상 백비(伯?)에게 많은 뇌물을 준 뒤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항복을 청원했다. 이때 오나라의 중신 오자서(伍子胥)가 ‘후환을 남기지 않으려면 지금 구천을 쳐야 한다’고 간했으나 부차는 백비의 진언에 따라 구천의 청원을 받아들이고 귀국까지 허락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屬領)이 된 고국으로 돌아오자 항상 곁에다 쓸개를 놔두고 앉으나 서나 그 쓴맛을 맛보며[嘗膽] 회계의 치욕[會稽之恥]을 상기했다. 그리고 부부가 함께 밭 갈고 길쌈하는 농군이 되어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며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회계의 치욕의 날로부터 12년이 지난 그 해(B.C. 482) 봄, 부차가 천하에 패권(覇權)을 일컫기 위해 기(杞) 땅의 황지[黃地:하남성 기현(河南省杞縣)]에서 제후들과 회맹(會盟)하고 있는 사이에 구천은 군사를 이끌고 오나라로 쳐들어갔다. 그로부터 역전(歷戰) 7년만에 오나라의 도읍 고소[姑蘇:소주(蘇州)]에 육박한 구천은 오와 부차를 굴복시키고 마침내 회계의 치욕을 씻었다. 부차는 용동[甬東:절강성 정하(定河)]에서 여생을 보내라는 구천의 호의를 사양하고 자결했다. 그 후 구천은 부차를 대신하여 천하의 패자(覇者)가 되었다.
Board 고사성어 2023.06.30 風文 R 832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오늘은 왠지 떠나고 싶어라. 예전에 개그맨 박세민씨가 느끼한 말투로 유행을 시켰던 말이다. 나도 가끔 흉내를 내며 따라 하곤 했었는데 말 그대로 왠지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 휴가철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왠지 ‘왠지’를 ‘웬지’로 잘못 쓰고 있다. 반대로 ‘웬일’을 “왠일”로 틀리게 쓰는 사람도 많다. ‘왠지’의 ‘왠 ’과 ‘웬일’의 ‘웬’은 발음이 같아 혼동하기 쉽다. ‘왠지’는 이유나 원인을 물어볼 때 쓰는 ‘왜’에 ‘인지’가 결합한 ‘왜인지’가 줄어든 말이다. 따라서 ‘웬지’는 틀린 표현이다. ‘웬일’은 ‘어찌된 일, 의외의 뜻’을 나타내는 한 단어이다. “웬일이니?”“웬일인지”“웬일일까?” 등과 같이 붙여 쓴다. 그런데 ‘웬’은 따로 떨어져 ‘어찌된’이라는 의미의 관형사로 쓰이기도 한다. “이게 웬 떡이니?” “웬 물건이지?”와 같이 쓸 수 있다. ‘웬일’과 달리 ‘웬 떡’ ‘웬 물건’은 사전에 나와 있지 않으므로 띄어 쓴다. 발음이 같아 헷갈리는 말 중에 ‘어떻게’와 ‘어떡해’가 있다. ‘어떻게’는 ‘어떠하다’가 줄어든 ‘어떻다’에 ‘게’가 결합하여 부사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담” “어떻게 생각해?” “어떻게 된 거야?”와 같이 다양하게 쓸 수 있다. ‘어떡해’는 ‘어떻게 해’라는 구가 줄어든 말이다. 서술어로는 쓰일 수 있지만 다른 용언을 수식하지는 못한다. “나 어떡해”와 같이 쓸 수는 있지만 “나 어떡해 하지”처럼 쓸 수는 없다. “나 어떻게 하지”로 써야 한다. “어떻게 하지”는 줄여서 “어떡하지”로 쓸 수 있다. 구분하기 어렵다면 문장의 끝에 올 땐 ‘어떡해’, 문장의 중간에 올 땐 ‘어떻게’라고 기억하면 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Board 말글 2023.06.30 風文 R 2912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그리스 신화와 영웅들) - 사진 자료 및 참고 자료는 제가 편집해 올린 것입니다. 제 5장 포르큐스-괴물의 출생 4.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Artemis,Diana)는 그리스 세계에서 널리 모시던 여신이며 유사 전 미노아에서 숭배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아르테미스라는 말이 어원상 도살자라는 뜻이고 선문자 B서판에 노예의 주인 이름으로 나와 있다. 때로 헤카테 여신이나 셀레네 여신과 혼동되기도 한다. 짐승이 많은 미개간 들판이나 산림, 고원지대에서 활동하며, 항상 젊음을 유지하는 처녀상과 야생미를 풍기는 사냥의 수호신이지만 후에는 우아한 초상화로 그려져 부녀자의 수호신이 되었다. 초기에는 연약하고 엉뚱한 역할을 하여 여신의 위치를 확보하지 못했으나 제우스의 딸, 아폴론의 자매, 수렵과 야생의 공주, 산욕기 여자에게 갑자기 동통 없는 죽음을 주는 여신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복수심이 강한 여신이기도 하여 그녀를 화나게 했다가 고통을 당한 예가 많이 나온다. 먼저 어머니인 레토를 모욕한 니오베에 복수를 하기 위해 그녀는 아폴론과 함께 니오베의 아이들을 죽였는데 아폴론이 키타이론 산에서 사냥하는 아들 여섯을 죽이고 아르테미스는 집에 있던 딸 여섯을 죽였다. 레토를 괴롭힌 거인족 티튜오스도 죽였다고 한다. 또한 트로이 원정에 나선 아가멤논이 아울리스에서 해풍을 기다리는 동안 무료함을 이기기 위해 사슴사냥을 하다 말 한 마디 잘못하여 아르테미스의 분노를 샀다. 즉 그는 "아르테미스 여신일지라도 사슴을 이처럼 잡을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큰소리를 쳐 여신을 멸시한 것이다. 이에 아르테미스는 출범에 꼭 필요한 바람을 잠재워 원정대를 초조하게 만들었다. 아가멤논이 점쟁이 티레시아스에 문의하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왕의 미혼 공주인 이피게네이아를 여신에게 희생 공양하는 길밖에 없다고 대답하였다. 결국 그는 비통 속에서 자신의 딸을 바쳤고 아르테미스는 최후의 순간에 생희생을 암사슴과 바꾸어 공주를 데리고 멀리 타우리스(현 크리미아)로 가서 자신의 신앙을 받드는 여사제로 삼았다. 한편 아르테미스 숭배는 아시아의 태고 여신과 통합되어 출산의 여신 또는 남자와 동물에게 다산과 출생한 소산의 건강을 가져오는 여신으로 여겨졌다. 신화상 아폴론과 쌍둥이로 태어나지만 그녀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는 별로 없다. 태어나자마자 곧 동생의 출산을 도왔다하여 산용의 여신(Locheia)이라는 호칭이 있고 에링레이뉴이아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아르테미스의 신화는 독자적인 것이 적고 아폴론과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녀와 관련된 신화로 유명한 것으로는 여신에게 매료당한 오리온이라는 거인족 미남 사냥인의 이야기가 있다. 아르테미스는 자신을 덮치려 한 오리온을 전갈을 보내 찔려 죽게 만들고, 그 공으로 전갈은 별자리인 전갈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설에 따르면 오리온은 지상에서 플레이아데스 모녀들을 5년간 뒤쫓아 다녀 하늘의 별자리에서도 계속 뒤쫓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아르테미스 여신 숭배에서 큰 동물의 공양은 매우 드물고 흔히 양을 희생물로 바친다. 매년 파트라이에서 열리는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축제에는 야생동물을 통째로 구워(홀로코스트)공양을 하였다. 이 때 여사제는 아르테미스로 분장하고 수사슴이 끄는 이륜마차를 타고 축제를 집행하였다. 포카이아에서는 사람을 희생공양하였다고도 하나 확실치 않다. 타우리스에서는 야만적인 숭배 의식을 수용하여 이반인을 희생물로 바쳤다고 하며, 아르테미스를 모시던 이피게네이아와 그 남동생 오레스테스가 아르테미스를 여신상을 스파르타 할라이로 가져와 브라우론에 모셔 놓았다고 한다. 한편 아르테미스 여신은 그 성격으로 보아 아마존족의 수호신이 되기도 하였다. 아르테미스는 곰과 관계가 깊다. 칼리스토는 여신의 시녀인데 제우스와 관계한 것이 발각되어 여신의 대노를 사고 헤라는 질투로 그녀를 암곰으로 화신시켜 버렸다. 아티카의 브라우론에서 열리는 여신축제에는 어린 처녀를 암컷곰으로 분장하여 춤을 추게 하였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세계에서 빈번히 비슷한 여신과 동일시되었다. 특히 에베소 항구에 찬란한 사원을 가진 위대한 대지 여신과도 동일시되어 다수의 유방을 가진 다산의 아르테미스상이 세워졌다. 에베소의 아르테미스 숭배는 포카이아인에 의해 마실리아이로 전파되었고 여기에서 로마로 들어가 아벤티네에 있는 이아나 사원에 에베소 형식의 조각상이 세워졌다. 초기 아르테미스 조각상은 긴 의상이나 동물 털가죽을 두르고 후기에는 튜닉을 걸치고 있다. 단독 혹은 아폴론이나 레토와 같이 있는 모습이 조각되고 거인족의 격전과 비밀회의 조각상에는 여러 신과 자리를 같이하고 있다. 크레타의 여신 브리토마르티스(매력있는 낭자)도 아르테미스와 동일시하는데 큐도니아(현 카니아)에 신전이 있다. 브리토마르티스는 그녀를 사랑하는 미노스 왕에게 쫓겨 9개월간이나 도망다니던 끝에 발각되자 해안절벽으로 피했다가 마지막으로 절벽에서 바다로 뛰어내렸다. 그런데 어부의 그물에 걸려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이에 연유하여 그물이라는 뜻을 가진 별칭 딕튠나로도 부른다) 아이기나로 떠나 다시 아르테미스 숲으로 도피하였다. 그 곳에서 그녀는 아파이아(은둔한 여신)로 숭상되고 신전도 세워졌다. 현재는 폐허화되고 다만 신전 지붕 아래 삼각벽 박공의 부조가 남아 있으며 아르테미스와 동일신(성)으로 되어 있다. 《아르테미스와 칼리스토》, 티티안 작품. 칼리스토 아티카의 브라우론에서 아르테미스 의식에 두 처녀를 암곰으로 분장케 하였는데 여기에 연유하여 칼리스토(Callisto) 신화가 생겼다고 한다. 칼리스토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신화에서는 아르테미스의 시녀로 되어 있다.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아들 아르카스를 낳았으나 순결을 지키지 않았다고 하여 아르테미스의 분노를 샀으며 헤라의 질투로 말미암아 암곰으로 화신되었다. 아들 아르카스는 커서 사냥을 즐겼으며 아르카디아인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 하루는 아르카스가 암곰과 마주쳐 곰을 잡으려는 순간 제우스가 나타나 화신한 어미를 죽이지 못하도록 둘을 별자리로 변화시켜 칼리스트는 큰곰자리, 아르카스는 작은곰자리가 되었다. 헤라는 칼리스토에게 영예를 주었다고 화가 나서 오케아노스에게 부탁하여 큰곰자리가 바다 저쪽으로 지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칼리토스는 잠시도 쉴새없이 영원히 북극성 주위를 돌게 되었다. 더 오랜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가 아르테미스를 유혹하자 아르테미스 자신이 곰으로 화신하고 얼굴을 흙으로 더럽혀 유혹으로부터 벗어났으나 원래 그녀가 다스리던 별의 영주권을 제우스에 빼앗겼다고도 한다. 천문학에서는 목성의 제4위성을 칼리스토라 부른다. 니오베 니오베(Niobe)는 탄탈로스의 딸이며 펠롭스의 여동생이다. 왕 암피온과 결혼하여 7남 7녀를 두었는데 어느 날 두 아이밖에 없는 레토를 멸시하며 자식복이 많은 것을 자랑하였다가 후에 레토의 쌍둥이 자식인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에게 아들딸 둘만 제외하고 모두 사살당하였다. 비통에 빠진 니오베는 시퓰로스산에 있는 아버지 탄탈로스 곁으로 피신한 후에는 계속 슬퍼하였으므로 제우스 그녀를 바위로 화신시켰다. 그러나 여전히 울음을 그치지 않았다 하며 현재도 이 바위에서는 샘물이 흐르고 있다. 시퓰로스 산에 가서 니오베상을 본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가까이에는 바위절벽일 뿐 전혀 여신의 모습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멀리 떨어져서 보면 눈물에 젖어 비탄하는 여인상으로 느껴진다고 한다. [살루스트 정원에서 발견된 부상당한 니오베 ca 440 BCE, 그리스]
Board 추천글 2023.06.28 風文 R 1279
와각지쟁(蝸角之爭) 蝸:달팽이 와. 角:뿔 각. 之:갈 지(…의). 爭:다툴 쟁. [원말] 와우각상지쟁(蝸牛角上之爭). [동의어] 와우각상(蝸牛角上), 와각상쟁(蝸角相爭), 와우지쟁(蝸牛之爭). [유사어] 만촉지쟁(蠻觸之爭). [출전]《莊子》〈則陽篇〉 달팽이 촉각 위에서의 싸움이란 뜻. 곧 ① 대국(大局)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작은(쓸데없는) 다툼의 비유. ② 하찮은 일로 승강이하는 짓의 비유. ③ 인간 세계의 비소(卑小:보잘 것 없이 작음)함의 비유. 전국시대, 양(梁:魏)나라 혜왕(惠王)은 중신들과 맹약을 깬 제(齊)나라 위왕(威王)에 대한 응징책을 논의했으나 의견이 분분했다. 그래서 혜왕은 재상 혜자(惠子)가 데려온 대진인(戴晉人)에게 의견을 물었다. 대진인은 현인(賢人)으로 이름난 도가자류(道家者流:도교를 믿고 닦는 사람)답게 이렇게 물었다. “전하, 달팽이라는 미물(微物)이 있사온데 그것을 아시나이까?” “물론, 알고 있소.” “그 달팽이의 왼쪽 촉각 위에는 촉씨(觸氏)라는 자가, 오른쪽 촉각 위에는 만씨(蠻氏)라는 자가 각각 나라를 세우고 있었나이다. 어느 날 그들은 서로 영토를 다투어 전쟁을 시작했는데 죽은 자가 수만명에 이르고, 도망가는 적을 추격한 지 15일 만에 전쟁을 멈추었다하옵니다.” “그런 엉터리 이야기가 어디 있소?” “하오면, 이 이야기를 사실에 비유해 보겠나이다. 전하, 이 우주의 사방 상하(四方上下)에 제한(際限)이 있다고 생각하시옵니까?” “아니, 끝이 있다고는 생각지 않소.” “하오면, 마음을 그 무궁한 세계에 노닐게 하는 자에게는 사람이 왕래하는 지상의 나라 따위는 있는 것도 같고 없는 것도 같은 하찮은 것이라고 할 수 있사옵니다.” “으음, 과연.” “그 나라들 가운데 위라는 나라가 있고, 위나라 안에 대량[大梁:개봉(開封)]이라는 도읍이 있사오며, 그 도읍의 궁궐 안에 전하가 계시옵니다. 이렇듯 우주의 무궁에 비한다면, 지금 제나라와 전쟁을 시작하시려는 전하와 달팽이 촉각(觸角) 위의 촉씨/만씨가 싸우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아옵니까?” “과연,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소.” 대진인이 물러가자 제나라와 싸울 마음이 싹 가신 혜왕은 혜자에게 힘없이 말했다. “그 사람은 성인(聖人)도 미치지 못할 대단한 인물이오.”
Board 고사성어 2023.06.28 風文 R 948
존맛 얼마 전 내가 가르치는 한 학생의 문자 메시지를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서 ‘존맛’이란 말을 접하고 당혹스러웠다. 요즘 학생들이 욕설이나 비속어를 마구 쓴다는 말을 듣긴 했으나, 평소 순하디 순한 줄로만 알았던 그 학생이 ‘존맛’이란 비속어를 스스럼없이 쓰고 있는 것에 크게 놀란 것이다.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선생인 내가 옆이나 앞에 있는데도 자기들끼리 거리낌 없이 욕설과 비속어를 주고받는다. 얼굴 화끈거리는 경험을 한 적이 여러 번 있었다. 2000년을 전후로 학생들 사이에서 ‘아주’ 또는 ‘매우’라는 뜻으로 ‘존나’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존나’는 ‘좆이 나게’를 줄여 쓴 말인데, 요즘 학생들 대부분은 어원에 대한 고려 없이 아무렇지 않게 일상적으로 쓰고 있다. ‘존나’는 ‘졸라’로 바뀌어 쓰이기도 한다. 이것이 ‘멘탈 붕괴’ ‘금방 사랑에 빠지는 사람’ 등을 각각 ‘멘붕’ ‘금사빠’ 등의 줄인 말로 즐겨 쓰는 학생들의 언어 습관과 맞물려 ‘존못’ ‘존예’ ‘졸귀’ ‘졸잼’ 등의 줄인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들은 각각 ‘존나 못생기다’ ‘존나 예쁘다’ ‘졸라 귀엽다’ ‘졸라 재미있다’를 줄인 말이다. ‘존맛’도 이의 연장선 상에서 ‘존나 맛있다’를 줄인 말이다. 말뜻은 변한다. 따라서 ‘존나’ ‘존맛’도 어원과 상관없이 그 저속한 의미를 잃어버릴 수 있다. 실제로 학생들 대부분은 이 말이 품위 없는 비속어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기성세대는 여전히 이 말에 낯을 붉힌다. ‘좆’은 금기어로, ‘존나’ ‘존맛’ 등은 비속어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Board 말글 2023.06.28 風文 R 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