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한문 읽기 입문
漢詩基礎
遊智異山(유지리산) - 李仁老(이인로)
산거(山居) - 이인로
郭山東廂(곽산동상) - 許筠(허균)
全州(전주) - 許筠(허균)
宿瑞興人家(숙서흥인가) - 許筠(허균)
省中遇雨(성중우우) - 許筠(허균)
論詩(논시) - 이규보
雪中訪友人不遇 눈 속에 친구를 찾았으나 만나지 못하고 - 이규보
杜門(두문) - 李奎報(이규보 1168∼1241)
詠井中月(우물 속의 달) - 이규보
大同江(대동강) : 鄭知常(정지상)
김부식과 정지상의 전설
東宮春帖(동궁춘첩) - 김부식(金富軾 1075∼1151)
甘露寺次惠遠韻(감로사차혜원운) - 김부식(金富軾)
田廬臥病(전려와병) - 정약용(丁若鏞)
容齋對菊與擇之同賦(용재대국여택지동부) - 박은(朴誾)
謝菊(사국) - 김정희(金正喜)
春日過崔氏溪上草堂(춘일과최씨계상초당) - 정약용(丁若鏞)
獨立(독립) - 정약용(丁若鏞)
次韻詠山木(차운영산목) - 정약용(丁若鏞)
山木(산목) - 정약용(丁若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