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한문 읽기 입문
漢詩基礎
기러기를 놓아주다[放鴈] - 권사복
운곡잡영 - 주희
전추 - 김정희
다산의 추회 8수 中
관물 - 이색
봄날 - 수향각 원씨
우연히 읊다 - 정철
무제 - 온정균
稚子(치자) - 정약용
음중팔선가 - 두보
孝子圖 十詠 - 서거정
왕유(王維) 죽리관(竹里館)
복일 - 서거정
고개지(顧愷之)의 사시(四時)
청야음 - 소강절
잠부 - 장유
夏日酌酒(하일작주) - 서거정
장난삼아 평양(平壤) 정 감사(鄭監司) 문형(文炯) 에게 부치다 - 서거정
백아탄금도(伯牙彈琴圖) - 서거정
장맛비(積雨) - 서거정
하일(夏日) - 서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