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 바람의종 |
공지 | 한문 읽기 입문 | 바람의종 |
공지 | 漢詩基礎 | 바람의종 |
242 | 장자가 어떤 사람의 장례식을 치르고 오다가 | 風文 |
241 | 험난한 관문의 나그네 길 이미 반년 - 김구용 | 風文 |
240 | 외로운 마을에 녹지 않고 쌓인 섣달 눈 - 유방선 | 風文 |
239 | 從來吾亦愛吾廬(종래오역애오려) - 김시습 | 風文 |
238 | 독야(獨夜) - 한용운 | 風文 |
237 | 孔子愀然而歎(공자초연이탄) - 제자백가 | 風文 |
236 | 곧은 선비는 복을 구하는 데 무심하므로 - 채근담 | 風文 |
235 | 대설 - 장유 | 風文 |
234 | 초당의 봄꿈- 이서구 | 風文 |
233 | 열자가 백혼무인을 위해 활쏘기를 했다. - 제자백가 | 風文 |
232 | 낮은 곳에 있어 본 뒤에야 - 채근담 | 風文 |
231 | 밝은 지혜로 이치를 바르게 알아 - 법구경 | 風文 |
230 | 山嵐(산람) - 허난설헌 | 風文 |
229 | 맑은 새벽에 엣 우물에서 양치질하니 - 김정희 | 風文 |
228 | 태평한 세상에 살 때에는 - 채근담 | 風文 |
227 | 해야 할 일을 소홀히 하고 - 법구경 | 風文 |
226 | 순 임금은 - 중용<제17장> | 風文 |
225 | 객야(客夜) - 포은 정몽주 | 風文 |
224 | 근심이 없는 이가 성인이요 - 이색(李穡) | 風文 |
223 | 영남에 기이한 장사 있었으니 - 이산해 | 風文 |
222 | 바람 - 법종(法宗) | 風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