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에 힘이 있다니! 기술과 자본의 힘만을 절대적 가치로 신봉하는 시대에 시인은 감히 가구의 힘을 믿고 산다. 여기서의 가구의 힘은 “추억의 힘”이다. 그러니까 시인이 결국 믿고 따르는 힘은 추억인 셈이다. 추억이란 무엇인가. 시간의 축적이 추억 아닌가. 또 추억이란 뜨거운 관계를 말하는 것 아닌가. 나아가 시인의 전언에 의하면 추억이란 전통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물신주의가 팽배한 사회는 진정한 관계의 성립을 허락하지 않는다. 거기에는 환금성이라는 경제적 원리가 자리하기 때문이다. 2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크게 두 개의 삽화가 들어 있다.
1연에서의 삽화는 2연의 이야기를 위한 일종의 전제적 성격을 지닌다. 그러니까 시인은 결국 2연에서 들려주고자 하는 시의 내용을 위해 1연의 삽화를 지어냈거나 실제의 경험 현실을 끌어 들였다고 보아야 한다. 1연에 간접적으로 등장하는 졸부(외삼촌)는 전형적인 물신 숭배주의자이다. 그에게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의 생을 지배하는 것은 자본과 기술일 뿐이다. 부재하는 시간을 사는 그에게 진정한 관계나 추억이 존재할 리 만무하다. 1연의 전제는 2연의 발언으로 매끄럽게 가기 위한 시인의 고도의 전략일 수 있다. 2연에서의 시적 주체는 자신의 세계와 사물에 대한 태도나 입장을 능란한 비유를 통해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이른바 ‘추억론’이 그것이다. “나는 여러 번 이사를 갔었지만/ 그때마다 장롱에 생채기가 새로 하나씩은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 집의 기억을 그 생채기가 끌고 왔던 것이다” 삶의 다양한 분비물과 비밀과 그 많은 관계들을 현시하고 있는 가구야말로 시적 주체에게 주술적 힘을 발휘하는 존재인 것이다.
또, 우리는 2 연에서 시인의 기억의 방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억이란 무엇인가.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현재에 의해 재구성된 굴절이다. 또 그것은 새로운 시간의 창조이기도 하다. 이러한 기억에 의해 과거는 이미 죽은 것이 아니라 늘 살아있는 것으로 우리 앞에 현현한다.
나는 이 시에서 시인의 시론을 읽는다. 시란 바로 시적 주체의 살아온 시간에 대한 굴절된 기억이라는 것. 신춘문예 당선작이기도 한 이 작품 이후 시인이 보여주고 있는 그 많은 작품들이 과거 시간들에 대한 예절을 갖춘 기억에 바쳐지고 있음이 그것을 반증한다.
<시인 이재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