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보다 모음을 먼저 익혀야
외국인들에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가르칠 때는 자음보다 모음을 먼저 익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자음은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별도의 이름이 있는 데 비해 모음은 홀로 발음되며 이름 그대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ㄱ’은 모음 없이 홀로 발음할 수 없고 별도로 ‘기역’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어 학습하기 어렵지만 ‘ㅏ’는 자음 없이 홀로 발음할 수 있고 이름 또한 발음과 같은 ‘아’이기 때문에 학습하기 쉽다.
이처럼 모음 ‘ㅏ’를 먼저 학습한 후에 자음 ‘ㄱ’을 익히면 모음 ‘ㅏ’에 자음 ‘ㄱ’이 결합해 ‘가’라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모음 ‘ㅏ’와 글자 ‘가’의 소리를 비교해 보면 모음 ‘아’에서는 ‘ㅇ’이 소리가 나지 않는 데 비해 글자 ‘가’에서는 자음 ‘ㄱ’의 소리가 난다는 사실을 알게 돼 자음의 소리를 익힐 수 있다.
자음을 학습할 때에는 ‘ㄱ, ㄴ, ㅅ, ㅁ, ㅇ’과 같이 발음할 때의 혀와 입술, 목구멍의 모양을 상형화해 자음이 만들어졌고, 여기에 획을 추가해 ‘ㄷ, ㄹ, ㅂ, ㅈ’이 만들어졌으며, ‘ㅋ, ㅌ, ㅍ, ㅊ, ㅎ’과 같이 획을 더해 격음을 표현하거나 ‘ㄲ, ㄸ, ㅃ, ㅆ, ㅉ’과 같이 기본자를 겹쳐 경음을 표현함으로써 총 19개의 자음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한다.
모음을 학습할 때에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형상화한 3개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조합하여 ‘ㅏ, ㅓ, ㅗ, ㅜ’ 4개의 모음이 만들어졌고 다시 ‘ㅑ, ㅕ, ㅛ, ㅠ’와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이중모음이 만들어져 총 21개의 모음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한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다랗다’
‘-다랗다’는 ‘그 정도가 꽤 뚜렷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 그런데 때로는 ‘-따랗다’로 적어야 할 때가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다랗다’를 쓴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말들로는 ‘가느다랗다, 걸다랗다, 곱다랗다, 굵다랗다, 기다랗다, 깊다랗다, 높다랗다, 덩다랗다, 되다랗다, 두껍다랗다, 머다랗다, 작다랗다, 잗다랗다, 좁다랗다, 커다랗다’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가느닿다, 곱닿다, 기닿다, 잗닿다, 커닿다’와 같이 줄여 쓸 수도 있다. “잗단 보수를 바라 이 굴욕을 받는 것보다는 차라리
좁고 거북한 굴레를 벗어나 아무 데로나 넓은 세상으로 뛰고 싶다”(이효석 ‘수탉’).
'넓다, 얇다, 엷다, 짧다’ 등과 같이 어간의 받침이 본래 ‘ㄼ’인 경우에는 ‘-따랗다’로 적되, ‘ㄼ’이었던 받침은 ‘ㄹ’로 바꾸어 적는다. 겹받침의 끝소리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한 한글맞춤법 규정 때문이다. 즉, 겹받침 ‘ㄼ’의 끝소리인 ‘ㅂ’ 소리가 드러나지 않으므로 ‘널따랗다, 얄따랗다, 열따랗다, 짤따랗다’로 적어야 하는 것이다. “짤따란 두 다리로 아장아장 걸어가는 똬리골댁을 발견하면, 아이들은 소리를 맞추어 놀려 주는 것이었습니다”(권정생 ‘똬리골댁 할머니’).
이들 말고 ‘-따랗다’로 끝나는 말이 하나 더 있다. ‘참따랗다’가 그것이다. ‘딴생각 없이 아주 진실되고 올바르다’라는 뜻인데, ‘참땋다’로 줄여 쓸 수도 있다. “목련은 북쪽을 향해서만 꽃망울을 터뜨리고, 갈매기는 태양을 향해서만 앉으며, 진달래는 음지에서만 자란다는 사소한 세상의 이치를 터득해가며 그대 곁에서 참따랗게 늙어가는 것, 그것이 내가 바라는 전부이다”(김형경 ‘민달팽이’).
이대성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