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차례 문장 안에서 주요 성분이 놓이는 위치를 기본어순이라 한다. 세계 여러 말겨레의 기본어순은 대표적인 문장성분인 주어(S), 서술어(V), 목적어(O)를 두는 방법에 따라 여섯 가지로 나뉜다: 제1유형(SVO), 제2유형(SOV), 제3유형(VSO), 제4유형(VOS), 제5유형(OVS), 제6유형(OSV). 말겨레마다 이런 기본어순이 있다. ...
내귀 / 장 콕토 (Jean Cocteau, 1889~1963) Qui aime le bruit de la mer (나의 귀는 소라 껍질) Mon oreille est un coquillage (바닷물 소리를 그리워한다) 경쾌하고 신기하고 때로는 신비하기까지 한 시나 소설을 써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기도 하고 한편 즐겁게 하기도 한 장 콕토jean Cocteau(188901963)는 한때는 ...
【독서편지】: 제 402 호 단기 4341. 4. 7 (음력 3. 2) / 발송인 : 윤영환 (poemserver@paran.com) / Music Off = Esc 한자가 ? 로 표시되어 안보이시는 경우 누리집에 오시면 해당 한자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발행지가 길어질 경우 하단부분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누리집에 오시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
꽈리 울타리 근처에 빨갛게 익은 꽈리주머니를 열면 주홍빛 열매가 들었다. 바늘로 씨앗을 빼내고 열매 껍질을 물에 씻어서 입에 물고 바람을 불어넣으면서 살짝 깨물면 소리가 났다. 재미있는 가을놀이여서 아이들은 ‘때왈’ 부는 소리를 크게 내는 데 열중하곤 했다. 이 놀이가 너무나 유행하여 한참 동안 고무로 만든 ‘꽈...
한글 맞춤법 강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문학박사 박기완 1. 맞춤법에서 주의하여야 할 점 (1) -시요. -이요.(X) -시오. -이오.(O) (마침꼴일 때) -이요, -이다.(O) (이음꼴일 때) (보기: 이것은 책이요, 이것은 연필이요, 이것은 붓이다.) (2) -지요(O) / -지오(X) **이때의 ‘요’는 높임을 나타낸다. ‘요’를 빼도 말은 ...
나는 내가 바꾼다 - 송천호 제3장 사랑하는 나에게 아픔 내게 닥친 아픔은 내가 달래야 한다. 우는 아이는 그의 부모가 끌어안고 달래야 가장 빨리 그쳐지듯 내게 닥친 아픔은 내가 끌어안고 뒹굴어야 가장 빨리 아물어진다. 생을 사랑하라. 그것이 행복한 것이든 아픈 것이든 사랑하라. 아픔에 뒤범벅된 삶이라도 살 가치는...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이덕일 2부. 인조반정, 그 비극의 뿌리 (4/4) 상복 착용 기간도 마찬가지였다. 고례에 따르면 장자의 상에는 부모가 참최복, 즉 3년복을 입는 것이 예법이었다. 그러나 영상 김류, 좌상 홍서봉 등 서인 중신들은 인조와 왕비의 복제를 기년복, 즉 1년복으로 의정해 올렸다. 이 자체로도 문제가 있었...
인간과 욕망 - 마르틴 콜랭 제1부 정념passion을 극복하라 2. 에피쿠로스 학파의 쾌락과 지혜 이론적 토대 에피쿠로스 학파의 철학은 플라톤적 이론에의 분명한 단절을 나타내고, 쾌락이란 개념에 주목하여 그들 나름대로의 영혼과 육체의 관계를 구축하였다. 그렇다면 에피쿠로스 학파의 이론은 플라톤의 이론에 대한 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