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한문 읽기 입문
漢詩基礎
봄날에 우연히 이룸(春日偶成) - 정호(程顥)
산중에서 속인에게 답함(山中答俗人) - 이태백(李太白)
은자를 못 만나(尋隱者不遇) - 가도(賈島)
사시(四時) - 고개지(顧愷之)
격양가(擊壤歌) - 민요(작자 미상)
단행가(短行歌) - 조조(曺操)
일곱 걸음에 지은 시(七步作詩) - 조식(曺植)
대신 백발을 슬퍼함(代悲白髮翁) - 유정지(劉廷芝)
고요한 밤에(靜夜思) - 이태백(李太白)
자야의 오가(子夜吳歌) - 이태백(李太白)
술 마시는 여덟 신선(飮中八仙歌) - 두보(杜甫)
곡강(曲江) - 두보(杜甫)
원씨네 별장에서(願袁氏別業) - 하지장(賀知章)
술잔을 주고받으며(對酌) - 이태백(李太白)
칡캐러 가요(采葛) : 시경(詩經一王風)
영월 자규루에서(寧越郡樓作) - 단종대왕(端宗大王)
한산도(閑山島) - 이순신(李舜臣)
고향에 돌아와서(還鄕) - 휴정(休靜)
비를 피하다가(途中避雨有感) - 이곡(李穀)
동심초 - 설도 / 춘망사
추포가(秋浦歌) - 이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