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한문 읽기 입문
漢詩基礎
유감(有感) - 최창대(崔昌大)
七步詩(칠보시) - 曹植(조식)
夜吟(야음) - 邵雍(소옹)
詠花王(영화황) - 李玄逸(이현일)
折梅植壺中 (절매식호중) - 정온(鄭蘊)
雪後(눈 온 뒤) - 李恒福(이항복)
桐花(동화) - 李春元(이춘원)
偶吟(우음) - 辛夢參(신몽삼)
權榘1),<忍字> 1672(현종13)∼1749(영조25)
산정하일(山亭夏日) - 고병(高騈)
담정 김려의 ‘상추’
戀詩 / 一休宗純
홀로 경정산에 앉아 - 이백(李白)
看花吟 - 박상현
書林淸話(서림청화) - 葉德輝(섭덕휘)
꽃잎 하나 날려도 봄이 가는데 - 두보
청산은 내 뜻이오 - 황진이
늙었다 물러가자 - 송순
녹초 청강상에 - 서익
나온저 금일이여 - 김구
三田渡(삼전도) - 윤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