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한시(漢詩) 작법의 이론과 실제 | 바람의종 |
공지 | 한문 읽기 입문 | 바람의종 |
공지 | 漢詩基礎 | 바람의종 |
431 | 록미탄 - 김종직 | 바람의종 |
430 | 제야(除夜)에 홀로 앉아서 - 이곡 | 바람의종 |
429 | 詠李上舍鶴四美亭(영리상사학사미정) - 김인후 | 바람의종 |
428 | 澱州西館折~ - 김종직 | 바람의종 |
427 | 觀史有感(관사유감) - 김육 | 바람의종 |
426 | 天官粘飯(천관점반) - 목은 이색 | 바람의종 |
425 | 有感(유감) - 김육 | 바람의종 |
424 | 나주 서관에 - 김종직 | 바람의종 |
423 | 菊(국화) - 김육 | 바람의종 |
422 | 悲春梅(비춘매) - 이유원 | 바람의종 |
421 | 벌레먹은 어금니 - 김시습 | 바람의종 |
420 | 漁父詞(어부사) - 장송령 | 바람의종 |
419 | 有客(유객) - 김시습 | 바람의종 |
418 | 讀書(독서) - 이항복 | 바람의종 |
417 | 自詠(자영) - 권호문 | 바람의종 |
416 | 詠雪(영설) - 김병연 | 바람의종 |
415 | 忍字(인자) - 권구 | 바람의종 |
414 | 門前楊柳(문전양류) - 김종직 | 바람의종 |
413 | 鬪者(투자) - 권구 | 바람의종 |
412 | 次春分日感懷韻(춘분일감회를 차운하며) - 김상헌 | 바람의종 |
411 | 嘲鼠(조서) - 권구 | 바람의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