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삼 그람 - 최정요
푼푼한 오후 결은
하늘에 달아 놓은
빗방울 부비는데
적신 숨은 시간을 맴돌고
연두 바람이 자밤자밤
몰고 온 언어가
속설움 매만져 주어도
청상풀처럼 가슴앓이는 여전해
말귀 밝은 낱말을
오도독 깨물어
맑은 눈물 이슬 맺을
매운 맛 나는 시(詩)를 내쉬고 싶다.
글 삼 그람 - 최정요
푼푼한 오후 결은
하늘에 달아 놓은
빗방울 부비는데
적신 숨은 시간을 맴돌고
연두 바람이 자밤자밤
몰고 온 언어가
속설움 매만져 주어도
청상풀처럼 가슴앓이는 여전해
말귀 밝은 낱말을
오도독 깨물어
맑은 눈물 이슬 맺을
매운 맛 나는 시(詩)를 내쉬고 싶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
공지 |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 風文 |
3974 | 책을 읽는 기쁨 - 이해인 | 風文 |
3973 | 사랑 - 김수영 | 風文 |
3972 | 한란계 - 윤동주 | 風文 |
3971 | 제비꽃 연가 - 이해인 | 風文 |
3970 | 눈 - 김수영 | 風文 |
3969 | 장 - 윤동주 | 風文 |
3968 | 오늘의 약속 - 이해인 | 風文 |
3967 | 永田鉉次郞 (영전현차랑) - 김수영 | 風文 |
3966 | 달밤 - 윤동주 | 風文 |
3965 | 오늘을 위한 기도 - 이해인 | 風文 |
3964 | 그 방을 생각하며 - 김수영 | 風文 |
3963 | 거짓부리 - 윤동주 | 風文 |
3962 | 보름달에게 2 - 이해인 | 風文 |
3961 | 피곤한 하루의 나머지 시간 - 김수영 | 風文 |
3960 | 둘 다 - 윤동주 | 風文 |
3959 |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 이해인 | 風文 |
3958 | 허튼소리 - 김수영 | 風文 |
3957 | 밤 - 윤동주 | 風文 |
3956 | 어떤 별에게 - 이해인 | 風文 |
3955 | 中庸(중용)에 대하여 - 김수영 | 風文 |
3954 | 빨래 - 윤동주 | 風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