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혼자 속삭이면 무지개가 됩니다. 별.
또 한 번 속삭이면 골목길이 됩니다. 별.
그래서 자꾸 속삭이면 구슬처럼 구릅니다. 별.
홀로 속삭이면 자꾸 구릅니다. 별.
구르고 굴러서 저 혼자 떠납니다. 별.
내가 여기까지 왔을 때.
내가 이만큼 왔을 때.
내가 아직 여기 남아 있는데도. 별.
저 혼자 떠납니다.
나를 여기 남기고 떠나기만 합니다. 별.
끝내 내 곁에는 별이 하나 없어도. 별.
저 하늘을 유영하는,
들개, 까마귀, 늑대, 사이공, 병따개, 레바논, 유키.
몰락한 내 사랑을 완성하기 위하여. 별.
혼자 속삭입니다. 별.
가상이 현실 보다 더 현실적일 때가 있다. 플라네타리움도 바로 그런 것들 중 하나다. 천체투영기라고도 하는데, 밤하늘을 돔극장에서 재현하는 장치다. 이곳에서는 날씨가 좋지 않거나 눈이 내려도 별을 볼 수 있다. 별똥별도 원하는 만큼 떨어지게 할 수 있어서 소원도 맘껏 빌 수가 있다. 밤하늘을 빨리 돌려서 하루가 몇 분만에 지나가게 할 수도 있다. 별자리 주위에 그림을 보여줄 수도 있다. 브라질의 하늘도 볼 수 있다. 혼자 별을 속삭이는 시인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보여준다. 가자! 플라네타리움으로!
사실 나는 총총한 별의 하늘을 상상의 그림으로만 느낀다. 어떤 한가한 방문이나 여행을 설계하는 순간에도 밤의 도시나 자동차의 소음이 나의 동반자인 반면 하늘이나 구름, 별과 달의 모습은 내 앞에 나타나지 않는다. 어쩌다가 별들이 박힌 밤하늘을 보면 낯설다. 달빛도 낯설다. 때로는 그로테스크한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내 상상의 기념관에는 별이나 은하 등은 서정적인 방랑의 모습이 아닌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내 상상의 기록은 변형되지 않은 채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그럴수록 독백 같은 공상, 상상의 우주라는 또 하나의 여정과 만나게 된다.
그래서 나는 독백을 통해 별과 대화한다. '별'이라고 혼자 소리 내어 불러 본다. 상상의 우주를 향한 여행을 설계한다. 도시의 불빛 아래서 밤의 은하계를 대신하는 여정에 오른다. 그 여정에서 나는 진짜 별들을 생각한다. 내게는 너무 멀고, 낯선 그런 실재의 별들. 그것들의 운행에 관한 하늘의 수식들을 생각한다. 대상이나 현상을 운행하는 신비한 힘의 관계 안에서 나와 내 낱말들이 꿈꾸는 대상들은 태어나고 몰락한다. 그래서 모든 추억의 이름으로 실재의 별들이 저 하늘에서 오늘도 낯선 그림으로 빛을 낸다.
박상순은… 1962년생. 1991년 <작가세계>로 등단. 시집 <6은 나무 7은 돌고래>,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 <Love Adagio> 등. 현대시동인상(1996), 현대문학상(2005)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