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三暮四(조삼모사)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열자(列子)의 황제(黃帝)편과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는 원숭이를 기르던 한 사나이의 이야기를 기록한 대목이 있다.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원숭이를 너무 사랑하여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큰 무리를 이루게 되었다. 그는 원숭이들의 뜻을 이해할 수 있었고 원숭이들도 저공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었다. 그런데 너무 많은 원숭이를 사육하다 보니 먹이 대는 일이 갈수록 어려워졌다. 그는 원숭이의 먹이를 제한하고자 하였으나 많은 원숭이들이 자기를 따르지 않게 될까봐 두려워서 먼저 그들을 속여 이렇게 말했다.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엔 세 개, 저녁엔 네 개 준다면(若與 朝三而暮四) 족하겠느냐?"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내자, 저공은 "그렇다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준다면 족하겠느냐?"라고 했다. 이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하였다.
朝三暮四 란 본시 눈 앞의 차이만을 알뿐 그 결과가 같음을 모르는 것을 비유한 말이나,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이고 농락하다 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
《出典》'列子' 黃帝篇 / '莊子' 齊物篇
宋有狙公者 愛狙養之成群 能解狙之意 狙亦得心之心 損其家口 充狙之欲 俄而?焉 將限其食 恐重狙之不訓於己也 先?之曰 與若?朝三而暮四 足乎 衆狙皆起而怒 俄而曰 與若? 朝四而 暮三 足乎 衆狙皆伏而喜.
【준 말】조삼(朝三) 【동의어】조사모삼(朝四暮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