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속성 광야 수업.' 내 유학 생활은 그렇게 정리할 수 있을 거 같다. 동경하는 마음으로 떠났지만 막상 가 보니 내가 꿈꾸던 생활은 하루 만에 끝이었다.
연극 워크숍을 시작한 날, 첫 포기를 했다. 한국어로 외워서 연기하기도 쉽지 않은데 영어로 연기를 하자니 제대로 될 리가 만무했다. 게다가 연출가는 무슨 할 말이 그리도 많은지 유독 나한테만 질문을 던지더니 어느 순간 내 시원찮은 영어가 답답했 는지 그냥 한국말로 하라는 것이다. 내 말을 알아듣진 못하지만 무슨 뜻으로 말하는지 느낄 수 있다고. 결국 난 한국말로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해 버렸다. 속으론 '어떠냐. 답답하지? 너희가 내 맘을 알아? '하면서. 그런데 연출가의 말에 뒤통수를 한 대 맞은기분이었다. “그래. 네가 얘기한 것 처럼 하면 돼. 그냥 그렇게 해. 네 생각이 맞으니까. 근데 포기는 하지 마. 네가 포기하는 게 느껴졌어.”
그랬다. 소통에 있어서 언어는 큰 문제가 아니었다. 의미 전달 수단이 능숙하지 못해 불편할 뿐 서로 느낄 수 있다는 게 중요했다. 대신 난 다른 것을 포기했다. 내가 해왔던 방식과 방법들을 말이다. 그걸 포기하니 오히려 마음이 가벼웠다. 그리고 인정 했다. '그래 난 완벽하지 못해. 그래서 불편하지만 불편하려고 여기 온 거잖아. 자꾸 자꾸 포기하자.'거기서부터 나의 적응은 시작됐다.
한번은 이런 날이 있었다. 사방에서 날아오는 영어에 알아들은 척 웃음을 날리느라 볼에 경련이 일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던 무렵이었다. 밥 먹고 수다 떠는 순간마저 곤욕인데, 친구들이 자꾸 펍(pub)에 가자고 졸랐다. 술자리에서 나는 말했다. “너희 하는 얘기 솔직히 잘 모르겠어. 너희가 한국말로 해 봐.” 솔직함만 한 좋은 술(?)이 없다더니, 그날 처음으로 친구들과 진짜 웃을 수 있었다.
일상 속에서의 불편함은 수업을 통해서, 교제를 통해서, 그리고 낯선 환경을 통해서 고통 속에 만들어지는 근육처럼 내 안에 적응한다. 그래, 그것은 '극복'이라는 말보다 '적응'이란 단어가 어울린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더 능숙해지는 것이다. 그 시간이 가르쳐 주지 않았다면 낯선 곳일수록 힘을 빼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을 거다. 몸에 힘을 주고 있으면 휘다가 부러지고 만다. 힘을 빼고 상황에 몸을 맡기듯 살아야 한다. 모세의 40년 광야 생활처럼.
조정은 님 | 뮤지컬 배우
-《행복한동행》2010년 5월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