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人之所惡, 唯孤, 寡, 不穀, 而王公以爲稱. 故物, 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人之所敎, 我亦敎之, 强梁者, 不得其死, 吾將以爲敎父.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인지소악, 유고, 과, 불곡, 이왕공이위칭. 고물, 혹손지이익, 혹익지이손. 인지소교, 아역교지. 강량자, 불득기사, 오장이위교부.
|
마흔 둘째 장
직역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을 등지고 양을 끌어 않았고, 텅빈 기가 조화롭게 한다. 사람이 싫어하는 바는 오직 고독하고, 곡식이 부족하고, 곡식이 부족한 것이다. 그래서 왕과 공이 이것으로 칭한다. 그러므로 물은 혹 그것을 덜어내어도 채워지고, 혹 그것을 채워도 덜어낸다. 사람이 가르치는 바를 나 또한 가르친다. 강하고 힘센 자는 그 죽을 때를 얻지 못하니, 나는 이것으로 가르침의 아버지를 삼는다.
해석.
도는 무이다. 구별이 없다. 그리고 구체적인 형체를 지니지 않는다. 그래서 인간의 의식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이제 분화를 시작한다. 하나의 형체가 태어난다. 하나의 형체 이것도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미 하나라는 말에는 둘이라는 의미가 표현되어 있다. 우리가 이것은 하나다. 라고 규정을 짖기 위해서는 주관과 객관이 분리가 되어야 한다. 이제 이 하나는 둘이 되었다. 둘이 되는 순간 개체의 사물과 나를 매개해 주는 무엇이 있어야 한다. 텅빈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 빔으로 인해서 나와 사물은 구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둘은 셋이 되었다. 나와 사물이 구분이 된다. 그러면 나는 이제 사물들을 마구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 셋에서 만물이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의식의 차원에서 본 설명이다.
이 만물은 음과 양을 가진다. 음은 수동성이다. 정체성이다. 양은 능동성이다. 움직임이다. 모든 사물은 움직인다. 동시에 정체성을 가진다. 음과 양은 상대적인 것이다. 우리는 바위가 언제인가는 모래가 되고 먼지가 됨을 알고 있다. 그러나 아주 오랜 시간 동안 바위는 바위의 모습을 간직할 것이다. 이것이 바위가 음의 성질이 있음을 아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바위는 어느 순간에도 움직이지 않는 순간이 없다. 계속 움직인다. 이것이 바위의 양이다. 음은 양의 상대적인 모습이다. 텅 빈 기가 만물을 조화롭게 해준다. 양의 극단에 이르면 다시 고요함으로 돌아간다. 왕은 사람이 싫어하는 이름을 스스로 칭하여 낮은 자리에 서려고 한다. 이것이 도의 이치이다. 물이 혹 부족하더라도 충기는 그것을 채워 준다. 그리고 물이 혹 넘치더라고 충기는 그것을 덜어 준다. 이러한 가르침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남들도 이러한 가르침을 편다. 그것을 나도 가르칠 뿐이다.
강한 것은 제명대로 살지 못한다. 바위가 양으로 치달아 급속히 움직인다면 아마 얼마 못 가서 바위로서의 삶은 끝이 날 것이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음과 양의 성격을 다 가지고 있다 그러나 힘이 있다고 마구 낭비하면 자신의 몸을 빨리 분해시킬 뿐이다. 그래서 제명대로 살지 못하고 죽는 것이다.
|
42.
도는 한 기운을 낳고 한 기운은 음과 양 두 기운을 낳으며, 이 두 기운은 서로 화합하여 세 번째 기운인 충화를 낳으며, 이 충화의 기운에서 만물이 나온다. 만물은 음기를 업고 양기를 안고 있으며 충화로서 조화를 이루어 자라나고 번성한다. 모든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으로 고(외롭다)니, 과(부족하다)니, 불곡(모자라다, 미숙하다, 못난이)이니 하는 말들이 있다. 그러나 이 세상 군주들은 이런 말을 자신들의 호칭으로 쓰고 있다. 그러므로 사물은 손해를 보는 것이 도리어 이익이 되는 수가 있고, 그 이익이 되는 것에 도리어 손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남들이 가르치는 것을 나 또한 가르치려고 한다. 억세고 사나운 사람은 온당하게 죽을 수 없다. 나도 이 말을 나의 가르침의 좌우명으로 삼으려고 한다.
주
일: 하나 즉 도를 지칭한 것임, 노자의 도일원론은 열자의 혼륜, 장자의 태일, 주역의 태극과 형이상학적 발상을 같이 하고 있다. 이: 음기와 양기. 삼: 음기와 양기, 그리고 이 두 기운의 화합에 의하여 발생한 충화의 기운을 말함. 강량자: 성질이 억세고 사나운 자, 강은 강포한 것. 부득기사: 온당하게 죽을 수 없다는 뜻,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불행한 죽음을 당한다는 뜻.
해
이 장에서 노자는 도에 의하여 만물이 생성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도는 만물의 원리로서 하나의 기운을 낳고 이 하나의 기운은 음과 양의 두 기운으로 분화되며, 이 음과 양의 두 기운이 친화하고 화합하여 충화의 새로운 기운을 낳게 되는 것이다. 천하 만물은 음양의 두 기운과 충화의 기운으로 생성되고 화육되며 번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도가 만물을 생성케하는 현상은 유출이지 창조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구약성서의 유일신에 의한 천지창조 설과는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노자의 조에 의한 만물생성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경의 계사 전과 열자의 천서 편을 비교해 보는 것이 좋을 같다. 주역 계사 전상에 기록되어 있는 태극에 의한 만물생성론은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역의 원리로서 만물의 근원인 태극이 있고, 이것이 양의(음양)를 낳고, 양의는 사상(태음, 태양, 소음, 소양)을 낳고, 사상은 팔괘(건, 곤, 이, 감, 진, 손, 간, 태)를 낳는다. 이 팔괘는 길사와 흉사를 정하고, 이 길사와 흉사는 성패를 좌우하는 큰 사업을 낳는다.' 열자의 천서 편에 기술되어 있는 그의 본체론은 다음과 같다. '기, 형, 질이 갖추어져 있으면서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혼륜이라 하며 이 혼륜은 보려고 하여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고 하여도 들리지 않고, 좇아가도 붙잡을 수 없다. 그러므로 역이라고도 한다. 역은 형체가 없다. 역이 변화하여 하나가 되고, 하나가 변하여 일곱이 되고, 일곱이 다시 변하여 아홉이 되고, 아홉이 변화하여 극점에 이른다. 이것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서 하나가 된다. 하나는 형이 변화하는 실마리이다.' 독자들은 노자와 주역과 열자의 만물생존론에서 공통된 요소룰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만물의 생성은 음양의 화합과 충화의 기운으로 이루어지며 대립과 투쟁은 파멸을 초래할 뿐이다. 도의 이법을 올바르게 깨달은 이는 자신의 몸가짐을 온화하고 겸손하게 가지며 친화와 화합으로 시종일관한다. 그러므로 만 인중 지존의 위치에 있는 임금은 자신의 호칭으로 고니, 과인이니, 불곡이니 하며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낮은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이다. 겸손함과 온후함은 남과 더불어 화락하게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세상을 살다 보면 손실이 이익이 되고 이익이 도리어 손실이 되는 경우가 많다. 자연의 섭리란 흘러 넘치는 것은 덜어내고 빈 것은 채워 주며 강한 자는 억제하고 약한 자는 부축해 준다. 자연의 섭리에는 조화와 균형이 있다. 천도(자연의 섭리)는 인생의 위대한 스승인 것이다. 사람들은 약한 것보다는 강한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 부드러운 것보다는 억센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약한 것에서 도리어 강함을 보아야 하며 부드러운 것은 능히 억센 것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이다. 억세고 사나운 사람은 천수를 누리지 못한다. 나는 이 말을 나의 가르침의 근본으로 삼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