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출신으로 일제의 징병을 피해 만주에서 활동했던 시인 심연수의 시선집 『소년아 봄은 오려니』에는 일제말 한글문학의 높은 성취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여름, 심연수 시인의 육필시 발굴 작업에 참여한 임헌영 교수(중앙대)는 "심연수의 존재로 1940년대 암흑기의 문학사가 결코 암흑기가 아님을 입증할 수 있게 되었다"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비록 "전지(田地)"조차 남의 것이 되어 '빼앗긴 봄'을 맞을지라도, "씨앗"만 있다면 "생명의 환희"가 넘쳐나는 대지를 일굴 수 있다는 심연수 시인의 시적 전언은 오늘에 와서 재음미되어야 할 듯합니다. 심연수 시인의 시선집을 보노라면 '제2의 윤동주'라는 찬사가 결코 문학적 수사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광복 57주년을 맞아 민족문학작가회의·민족문제연구소·실천문학사 등은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친일파 문인 42명이 쓴 572편의 작품 명단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일제 시대 문인들의 친일 행각에 대한 '사과문'도 발표할 계획입니다. 우리의 경우 "자신이 친일 문인이었노라"고 커밍아웃(comming-out)을 선언한 문인들은 이항녕, 김남식, 시인 김동환의 아들 김영식 선생 등 몇몇 소수의 일에 불과했습니다. 또 소설가 이태준은 중편 「해방 전후」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신의 '친일 경력'에 대해 비판적인 묘사를 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인 단체가 나서 선배 작가들의 친일 행적에 대해 사과 선언문을 발표하는 일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광복절을 즈음하여 문학 행위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지를 재차 돌아보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