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 하늘 별 옮겨 앉듯
하루를 탕진하고
별을 본다
후후 불면 숯불처럼 살아나거라
피리를 불랴? 살아나거라
한 두엇 천년이나 지났을까? 손톱 한 번 깎고 나니
어느덧 숨 끝에 까무룩이 돋아나와 손등에 앉는
하늘의 문자(文字)들
북쪽 하늘 별 옮겨 앉듯 들들들 읽어 나가는데
하는 수 없이 껴안을 전율(戰慄)도 있어
또 한 번 사랑을 탕진한다
숯처럼 앉아
별을 본다
피리를 불랴?
숨은
하늘
옛날부터 사람들에게는 밤하늘의 별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는 습성이 있었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덮어씌워서 별자리를 만들곤 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별자리는 모두 88개인데, 1930년 국제천문연맹에서 그리스로마 신화를 바탕으로 정해 놓은 것이다. 물론 민족마다 나라마다 자신들의 고유한 이야기가 있었고, 당연히 자신들만의 별자리와 별 이야기가 있다.
작년에 인도네시아에 갔을 때 들은 이야기다. 인도네시아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별자리는 오리온자리라고 한다. 적도 근처에 있는 나라이니 하늘의 적도를 따라 움직이고 그 모양도 인상적인 오리온이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을만하다. 물론 그곳 하늘에서는 사냥꾼도 아니고 이름도 오리온이 아님은 물론이다. 그들은 오리온자리를 와루쿠(Waluku)라고 불렀다. 와루쿠가 뜨고 지는 절기에 맞춰서 농사를 시작하고 마감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역시 북두칠성이 두각이다. 북쪽에서 늘 중심을 잡고 앉아 있는 북극성 주위를 도는 일곱 개의 별은 누구에게나 인상적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숱한 이야기를 간직한 북두칠성이지만, 시인들의 시선은 또 북을 향해 있고 자신만의 또 다른 이야기를 덧칠하느라 여념이 없다. 그게 북두칠성이다. 봄이 한창이다. 북두칠성이 머리 위 높이 떠올라 보기 좋은 계절이다. 뛰어나가 당신만의 소중한 이야기를 일곱 별 위에 걸어보시라.
과학으로나 짐작으로나 우리는 별로부터 왔고, 아니 그대로 떨어져 나온, 얼을 가진 진흙의 별이고 언젠가는 그 헤어진 품으로 다시 돌아간다는 것도 알고 있다. 아니 알고 있다기보다는 직관으로 혹은 인력(引力) 같은 것으로 느끼고 있다. 하늘의 무늬(天文)가 곧 나의 이력서라고 하면 허풍이라고 하겠기에 예부터 하는 수 없이 시로 말할 수밖에는 없었는지 모른다. 별이 탕진(蕩盡)의 뒤끝에 더 선명한 까닭 또한 또렷하지 않은가! 밤하늘의 광시곡은 얼마나 크고 아름답고 고요한 삶의 찬가인가.
장석남은… 1965년생. 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등. 김수영문학상(1992), 현대문학상(1999) 등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