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언제 처음 별을 보았나?
젖배 곯던 우멍눈으로 보았나?
불장난하다 외양간 태운 날
쫓겨나 개구리 울음주머니에 비친 별빛을 보았나?
그을린 암소 울음에 잠 못 이루다 보았나?
눈물 머금은 별은 술빵처럼 부풀어 올랐지
그렁그렁 멀건 미음 솔아 있는 별
밀짚 방석에 누워 거미줄로 별자리를 나누곤 했지
거미 뱃속에다 아기별을 키우며
별의 목젖에 박꽃 한 다발씩 물려 주고 싶었지
들일 마치고 오다가 수수 이삭으로 은하수를 쓸어 담았지
한 자루 긁어모아 은행에다 적금을 붓고 싶었지
별자리 하나 골라 새 이름표를 붙여 오란 숙제에
지구별에다 우리 집 문패를 달았지 그러면
과수원도 양조장도 장터 국밥집도 우리 것이 되기 때문이었지
겨울밤 마루 끝에 서서 오줌 누다가
까치밥 쪼아 먹는 거지별도 보았지
첫사랑이 찾아온 뒤에야 나는 알았지
사랑에 빠진 세상 모든 눈망울들이 별을 닦는다는 것을
까치밥 붉은 볼이 별이 되어 반짝이는 까닭을
아! 나는 언제 별의 눈을 닫아 버렸나?
별 볼일 없어지자 마음은 매미똥처럼 깜깜해졌지
하늘 경전도 통째로 문을 걸어 잠갔지
별은 벌러덩 누워서 보는 게 제격이다. 인공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맑은 날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수는 2000개 정도가 된다. 흔히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6등성 보다 밝은 별이 6000개 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늘 하늘의 반만 볼 수 있고 드러누워서 보아도 우리 눈이 한 번에 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게 치고 나면 2000개 정도의 별을 볼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이렇게 많은 별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곳을 찾기란 별을 따기 만큼이나 힘든 것이 현실이다. 서울 하늘에서는 별 20개를 찾기도 힘들다.
어린 시절 여주 강변에서 보았던 그 별들을 결코 잊을 수 없다. 가족들이 잠든 늦은 밤에 혼자 강변 모래밭에 누워서 몇 시간 동안이나 별을 세어보고 또 세어보고 했었다. 하늘을 가로지르던 은하수를 보면서는 감흥의 눈물이 나기도 했었다. 그날의 별세기는 정말 2000개를 넘겼었다. 나른한 봄 날 밤, 벌판에 드러누워 별을 세어 보시라. 천 개의 별이 당신과 눈을 마주칠 것이다. 천 개의 인연을 맺으면서.
짝사랑에게서 답장이 오지 않았다. 그래도 매일 별빛 펜촉으로 편지를 썼다. 달의 등짝은 아직도 내 편지를 지고 두리번두리번 짝사랑의 주소를 찾고 있을 것이다. 내 마음이 땅에 떨어진 운석처럼 다 식어 버린 줄도 모르고. 사랑하는 이들의 간절한 기도를 지고 가는 초승달의 더딘 걸이여.
오늘 밤엔 약수터 다녀왔어요. 플라스틱 바가지 입술 닿는 쪽만 닳고 깨졌더군요. 사람의 입, 참 독하기도 하지요. 바가지의 잇몸에 입술 포개자, 첫 키스처럼 에이더군요. 사랑도 미움도 돌우물 바닥을 긁는 것처럼 아프기 때문이죠
그댈 만난 뒤 밤하늘 쳐다볼 때 많아졌죠. 달의 눈물이 검은 까닭은 달의 등짝에 써 놓은 수북한 편지글들이 뛰어내리기 때문이죠. 때 묻은 말끼리 만나면 자진하는 묵은 약속들, 맨 나중의 고백만으로도 등창이 나기 때문이죠
오늘 밤에도 달의 등짐에 편지를 끼워 넣어요. 달빛이 시린 까닭은 달의 어깨너머에 매달린 내 심장, 숯 된 마음이 힘을 놓치기 때문이죠. 언제부터 저 달, 텅 빈 내 가슴의 돌우물을 긁어 댔을까요. 쓸리고 닳은 달의 잇몸을 젖은 눈망울로 감싸 안아요
물 한 바가지의 서늘함도 조마조마 산을 내려온 응달의 실뿌리와 돌신발 끌며 하산하는 아린 뒤꿈치 때문이죠. 우표만 한 창을 내고 이제 낮달이나 올려다봐야겠어요. 화장 지운 그대 시린 마음만 조곤조곤 읽어야겠어요. 쓰라린 그대 돌우물도 내 가슴 쪽으로 기울고 있으니까요
- 졸시 <반달편지함> 전문.
천문(天文)은 우러러보기만 하면 된다. 저 하늘 경전! 젖은 눈망울은 마르고, 마른 눈자위는 촉촉하게 적시는 하늘의 경작! 마음 밭에 주렁주렁 여무는 별 이삭들.
언제 처음 별을 보았나?
젖배 곯던 우멍눈으로 보았나?
불장난하다 외양간 태운 날
쫓겨나 개구리 울음주머니에 비친 별빛을 보았나?
그을린 암소 울음에 잠 못 이루다 보았나?
눈물 머금은 별은 술빵처럼 부풀어 올랐지
그렁그렁 멀건 미음 솔아 있는 별
밀짚 방석에 누워 거미줄로 별자리를 나누곤 했지
거미 뱃속에다 아기별을 키우며
별의 목젖에 박꽃 한 다발씩 물려 주고 싶었지
들일 마치고 오다가 수수 이삭으로 은하수를 쓸어 담았지
한 자루 긁어모아 은행에다 적금을 붓고 싶었지
별자리 하나 골라 새 이름표를 붙여 오란 숙제에
지구별에다 우리 집 문패를 달았지 그러면
과수원도 양조장도 장터 국밥집도 우리 것이 되기 때문이었지
겨울밤 마루 끝에 서서 오줌 누다가
까치밥 쪼아 먹는 거지별도 보았지
첫사랑이 찾아온 뒤에야 나는 알았지
사랑에 빠진 세상 모든 눈망울들이 별을 닦는다는 것을
까치밥 붉은 볼이 별이 되어 반짝이는 까닭을
아! 나는 언제 별의 눈을 닫아 버렸나?
별 볼일 없어지자 마음은 매미똥처럼 깜깜해졌지
하늘 경전도 통째로 문을 걸어 잠갔지
별은 벌러덩 누워서 보는 게 제격이다. 인공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맑은 날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수는 2000개 정도가 된다. 흔히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6등성 보다 밝은 별이 6000개 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늘 하늘의 반만 볼 수 있고 드러누워서 보아도 우리 눈이 한 번에 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게 치고 나면 2000개 정도의 별을 볼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이렇게 많은 별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곳을 찾기란 별을 따기 만큼이나 힘든 것이 현실이다. 서울 하늘에서는 별 20개를 찾기도 힘들다.
어린 시절 여주 강변에서 보았던 그 별들을 결코 잊을 수 없다. 가족들이 잠든 늦은 밤에 혼자 강변 모래밭에 누워서 몇 시간 동안이나 별을 세어보고 또 세어보고 했었다. 하늘을 가로지르던 은하수를 보면서는 감흥의 눈물이 나기도 했었다. 그날의 별세기는 정말 2000개를 넘겼었다. 나른한 봄 날 밤, 벌판에 드러누워 별을 세어 보시라. 천 개의 별이 당신과 눈을 마주칠 것이다. 천 개의 인연을 맺으면서.
짝사랑에게서 답장이 오지 않았다. 그래도 매일 별빛 펜촉으로 편지를 썼다. 달의 등짝은 아직도 내 편지를 지고 두리번두리번 짝사랑의 주소를 찾고 있을 것이다. 내 마음이 땅에 떨어진 운석처럼 다 식어 버린 줄도 모르고. 사랑하는 이들의 간절한 기도를 지고 가는 초승달의 더딘 걸이여.
오늘 밤엔 약수터 다녀왔어요. 플라스틱 바가지 입술 닿는 쪽만 닳고 깨졌더군요. 사람의 입, 참 독하기도 하지요. 바가지의 잇몸에 입술 포개자, 첫 키스처럼 에이더군요. 사랑도 미움도 돌우물 바닥을 긁는 것처럼 아프기 때문이죠
그댈 만난 뒤 밤하늘 쳐다볼 때 많아졌죠. 달의 눈물이 검은 까닭은 달의 등짝에 써 놓은 수북한 편지글들이 뛰어내리기 때문이죠. 때 묻은 말끼리 만나면 자진하는 묵은 약속들, 맨 나중의 고백만으로도 등창이 나기 때문이죠
오늘 밤에도 달의 등짐에 편지를 끼워 넣어요. 달빛이 시린 까닭은 달의 어깨너머에 매달린 내 심장, 숯 된 마음이 힘을 놓치기 때문이죠. 언제부터 저 달, 텅 빈 내 가슴의 돌우물을 긁어 댔을까요. 쓸리고 닳은 달의 잇몸을 젖은 눈망울로 감싸 안아요
물 한 바가지의 서늘함도 조마조마 산을 내려온 응달의 실뿌리와 돌신발 끌며 하산하는 아린 뒤꿈치 때문이죠. 우표만 한 창을 내고 이제 낮달이나 올려다봐야겠어요. 화장 지운 그대 시린 마음만 조곤조곤 읽어야겠어요. 쓰라린 그대 돌우물도 내 가슴 쪽으로 기울고 있으니까요
- 졸시 <반달편지함> 전문.
천문(天文)은 우러러보기만 하면 된다. 저 하늘 경전! 젖은 눈망울은 마르고, 마른 눈자위는 촉촉하게 적시는 하늘의 경작! 마음 밭에 주렁주렁 여무는 별 이삭들.
이정록은… 1964년 생. 시집 <벌레의 집은 아늑하다>, <풋사과의 주름살>, <버드나무 껍질에 세들고 싶다>, <제비꽃 여인숙>, <의자>, 동화 <귀신골 송사리>, <십 원짜리 똥탑> 등. 김수영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