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생각은 무엇으로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 이 물음은 또한 "언어가 없다면 무엇으로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같을 수도 있다. 이는 언어와 사고의 관련성에 대한 문제인데, 우리가 무엇을 생각할 때 언어가 분명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언어가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는 간단한 예를 들어 보기로 한다.
빛이 프리즘을 통과 할때 여러 가지 색깔로 분류된다. 무지개가 바로 그것인데, 무지개 색깔의 수를 물으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게 일곱가지라고 답한다. 그런데 프랑스 어린이들은 아홉가지라 하고, 로데지아 어린이들은 세 가지라 답한다. 똑같은 무지개를 두고 수를 달리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색깔을 나타내는 그 나라 말의 어휘수와 관련되는 문제로서 한국에서는 빨,주,노,초,파,남,보의 일곱가지로 배워왔고 불란서에서는 아홉가지로, 로데지아에서는 세 가지로 배워 왔기 때문이다. 무지개의 색깔을 실제로 세어 본 사람은 없을 터이고, 또 셀 수 있을 만큼 분명한 경계가 그어진 것도 아니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얼굴에서 뺨과 턱의 분명한 경계를 지을 수도 없으니 뺨과 턱을 하나로 묶어 지칭할 수도 있고, 또 더 세분하여 다른 명칭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 부모아래 태어난 동기간의 호칭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동기간을 형,제(아우),자(누나,언니),매(누이,동생)의 넷으로 나눈다.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겠지만 영어에서는 "brother"와 "sister"의 두 가지로, 말레이시아 어에서는 "sudara"라는 단 한가지 호칭만으로 통용된다.
한국인은 사고 할때 한국어로 생각하고 한국적인 사고 방식에 따라 행동 유형도 결정된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인이 영어로 무엇을 생각하고 그 생각에 따라 행동할 리 만무하다. 한참 영어공부에 몰두해 있는 학생이 전날 밤에 영어로 꿈을 꾸었다고 한다면 한낱 우스갯소리에 불과할 것이다. 한국어의 언어구조는 한국인의 의식 구조와 일치할 수밖에 없다. 그 속에는 한국인의 사상이나 정서는 물론 한국의 고유한 냄새까지 배어 있다. 음식으로 말한다면 숭늉이나 막걸리, 김치나 된장에서 풍기는 그런 냄새가 한국어 속에 스며 있다. 이 한국적 냄새는 중국어가 풍기는 자장면 냄새나 일본어가 풍기는 단무지 냄새, 서구어가 풍기는 버트나 치즈 냄새와는 분명 다를 것이다. 언어가 풍기는 이런 개성적 색채는 흔히 말하는 언어의 풍토설로 설명되기도 한다. 개별 언어가 가지는 이런 고유한 색채를 좀 더 비근한 예로 설명해 본다. 비교적 콧소리(비음)을 많이 내는 불어에서는 포도주에서 맛 볼수 있는 그런 정감, 그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고 할까. 그래서 연인과 사랑을 속삭일 때는 불어를 사용하라고 권한다. 이에 반해 남과 싸울 때는 독일어를 사용하고, 장사꾼과 상담을 할 때는 영어를, 친구와 우정을 나눌때는 이태리어를, 신을 찬양할 때는 스페인어를 사용하라는 그럴싸한 비유가 있다. 이 비유는 스페인 사람들이 지어낸 말일 테지만 전혀 터무니 없지는 않다. 사실 똑같은 구애의 표현이라도 "이히 리베 디히(Ich liebe dich)"라는 발음을 위해 침을 튀기는 것보다는 "아이 러브 유(I love you)"라고 부드럽게 말하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지 않을까?
우리말도 지역에 따라 말투에서 느끼는 정감은 사뭇 다르다. 방언이라 일컫는, 언어에서의 지방색이 강하게 작용하는 탓이다. 남과 싸울 때는 경상도 말을 쓰는 대신 여자는 나긋나긋한 서울말을 쓰는 편이 이상적일 터이다. 사업이야기는 서울말로, 남을 설득시킬 때는 전라도말로 하고 달 밝은 밤 한가로이 산책할 때는 "차암 달도 밝구만이라우..."하는 식의 충청도 말이 제격일 것이다. 독일의 학자 훔볼트(Humbolt)는 일찍이 언어구조와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민족성 사이에 불가분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독일어에는 게르만 민족의 민족성이 배어 있는 것처럼 한국어에는 한민족의 정신과 얼이 녹아 있다. 우리말은 우리의 피부색과 흡사한 흙 속에서, 우리의 운명과도 같은 저 바람 속에서 오랜 세월 숙성해 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 속에는 분명 한국인의 원형(archetype)이 보존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이유에서 언어를 지키는 일은 민족과 국가를 지키는 일과 직결된다고 하겠다. 우리가 한국어를 갈고 닦아 순화시켜야만 하는 소이가 바로 여기에 있다. 어떤 사람이 외국에 나가 살면서도 우리말을 잊지 않았다면 그는 한국인이라 할수 있으나 우리말을 전혀 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한국인이라 말하기 어렵다.
오래 전 일로 기억한다. 공산권 국가와 교류가 없던 시절 체코에 살던 한 한국 여인이 40년만에 고국땅을 밟았다. 기구한 운명으로 체코까지 가게 된 그 여인은 현지에서 체코 사람을 남편으로 만나 수십년을 살면서 전혀 한국어와 접촉할 기회가 없었다고 했다. 그런데 김포공항에서의 인터뷰에서 유창한 우리말을 쓰는 그녀를 보고 모두들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어떻게 우리말을 잊지 않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녀는 머릿속에서 항상 한국어로 생각하고 자문자답하는 형식으로 홀로 대화를 나누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모어가 가진 위대한 힘을 보여 주는 좋은 증거가 된다. 두어주일 해외여행을 다녀오면서 공항에서부터 혀 꼬부라진 소리로 영어식 말투를 내뱉는, 그런 얼치기를 우리는 어떻게 보아 주어야 할까? |
|
낙지와 오징어
평양이나 금강산에 가서 ‘오징어포’를 주문하면 ‘말린 낙지’가 나온다. 남녘의 오징어를 북녘에서는 ‘낙지’라 하고, 남녘의 낙지를 북녘에서는 ‘오징어’라 하기 때문이다. 금강산에서는 낙지가 아닌 ‘오징어포’가 나올 수도 있는데, 아마도 남북 말차이를 알고 있는 접대원이 ‘마른낙지’로 주문을 바꿔 생각했을 것이다. 남북의 이런 차이는 사전 풀이에 드러난다. ‘낙지’ 풀이를 비교해 보자.
“문어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70㎝ 정도이고 길둥글며 회색인데 주위의 빛에 따라 색이 바뀐다. 여덟 개의 발이 있고 거기에 수많은 빨판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바다에서 사는 연체동물의 한가지. 몸은 원통모양이고 머리부의 량쪽에 발달한 눈이 있다. 다리는 열개인데 입을 둘러싸고 있다.”(조선말대사전)
낙지와 오징어의 두드러진 차이는 다리의 개수다. 남녘에서는 다리가 여덟 개이면 낙지, 열 개이면 오징어다. 낙지는 다리의 길이가 모두 비슷하고, 오징어는 그 중에서 다리 둘의 길이가 유난히 길다. 조선말대사전에서 낙지 다리를 열 개라고 풀이한 것을 보면, 남녘의 오징어임을 알 수 있다.
북녘에서 1960년에 발행된 〈조선말사전〉에서 ‘낙지’를 보면, “몸뚱이는 길둥그렇고 머리 쪽에 긴 여덟 개의 발이 달렸다”라고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과 같이 썼음을 알 수 있다. 그 이후에 어떤 이유로 북녘의 낙지와 오징어가 바뀌게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현재 남과 북은 낙지와 오징어를 바꿔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가히·논개②
연산주 때 왕의 남자에 견줄 광해주 때 왕의 여자, 介屎(개시)가 있었다. 기록을 보면 선조를 독살한 여인으로, 또 광해주의 사랑을 받고 나랏일도 주무른 이로 나타나는데, 시대상으로 보아 두 사람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광해주가 아비를 독살하고 왕이 됐다는 주장은 인조반정에서 내세운 큰 명분이었다고 한다.
한자 屎는 ‘똥 시’로 읽히니 介屎(개시)를 개똥이라고 부르는 때도 많다. 그러나 이때 사정을 적은 <계축일기>에는 개시도 개똥이도 아닌 ‘가히’로 적혀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에서는 ‘가히’를 加屎(가시)로도 적는다. <훈몽자회>에서도 히읗을 屎로 적는 것을 보면 屎(시)는 ‘히’를 적는 것으로 이미 굳었던 것 같다. 사람이름에 ‘돌히·나히·막돌히·쇼히·일히·차돌히’ 따위가 있는데, 이름을 적을 때는 한결같이 屎를 끌어다 ‘乭屎/突屎·乃屎·莫乭屎·牛屎·一屎·次乭屎’ 따위로 적었다. 사람이름 ‘그티/귿티’는 末叱致(말질치)/唜致로 적는데, 末叱屎/唜屎(귿히)로 적은 기록도 보인다.
‘가히’는 사람이라는 뜻과 집에서 키우는 개라는 뜻이 함께 있었다. 중세 말 아므가히(某人)는 요즘의 아무개, 방언의 아무거시에 해당한다. 중세 말에서 사람이라는 뜻의 ‘가히’를 보면 비슷한 이름접미사인 ‘-가/가이/개’도 같은 뜻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남자와 여자의 이름인 논개는 ‘논 사람’(沓人)이란 뜻을 지녔다. ‘-가히’가 더해진 사내이름에 ‘강가히·날가히·언가히·은가히·큰가히’ 따위가 있고, 계집이름에는 ‘가진가히·막가히·맵가히·봄가히·분가히·슌가히·운가히·진가히’ 따위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두사부일체
개봉되자마자 화제가 됐고 지난해 인터넷 유료 영화 사이트 접속 1위를 기록한 '두사부일체'라는 영화가 있다.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가 임금·스승·아버지의 은혜는 같다는 뜻인데 여기서 임금(君)을 두목(頭)으로 바꿔치기해 '엽기적인'제목을 달았다. 조폭 두목이 고등학교에 편입해 졸업장을 받기 위해 '일절' 싸움을 하지 않으려 하면서 벌어지는 소동이 줄거리다.
일체(一切)는 '모든 것, 완전히, 전부 '란 말이다. '그는 평생 모은 재산 일체(전부)를 기부했다' '그는 자기 집에 관해 일체(모든 것) 내게 맡기고 외국으로 떠났다'처럼 쓰인다. 일절(一切)은 '아주, 전혀, 절대로'의 뜻인데 사실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 쓰이며 '없다, 않다' 등 부정을 뜻하는 말이 뒤따른다.'무엇을 했는지 일절(절대로) 밝힐 수 없다''그린스펀은 금리 인하에 대해선 일절(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등으로 쓴다. 영화 '잉글리시 페이션트'에서 여주인공이 숨을 거두기 직전 '당신은 바보예요. 저는 언제나 당신을 사랑했어요'라는 말을 한다. 우리도 우리말을 아끼는 심정으로 이런 무조건적 사랑을 베풀어야 하지 않을까.
권인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