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고등학교 때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조침문"을 읽으면서 거기 인용된 잡다한 바느질 용어를 외우느라 고심한 적이 있다. 바늘에 실을 꿰어 그저 깁는다고 하면 될 것을 "깁다"외에도 박고, 호고, 누비고, 공그르고, 시치고, 감치고, 뜨고, 사뜨고, 휘갑치다와 같이 다양한 용어를 동원해 표현하고 있다. 언뜻 보기에는 꿰매는 일 한 가지 같지만 자세히 분석해 보면 결코 한결같지 않음을 알게 된다. 어릴 적 바느질하시는 어머니에게 바늘을 꿰어 드린 경험밖에 없던 나로서는, 이 용어들의 미묘한 차이를 구분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조침문"뿐만 아니라 "규중칠우쟁론기"와 같은, 안방 여인들의 글에서 받은 느낌도 대체로 비슷했다. 대수롭지 않은 내용을 두고 공연히 침소봉대한다는 느낌도 없지 않지만 그 지극히 섬세한 표현법에는 감탄을 금치 못한다. 바느질 용어만 하더라도 여성이 아니고서는 지어낼 수 없는 특수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이들 생활 용어가 고유어의 순수성을 보존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옛 여성들에게 새삼 고마움을 느껴야 한다. 안방 장롱 속에 고이 간직해 둔 가보를 대하는 기분이랄까. 어줍잖은 문자 지식으로 툭하면 한자말로 대체시키며 선비연하는 남성들에 비해 우리말의 순수성은 오히려 여성들에 의해 보존, 계승되었으니 말이다.
익히다, 끓이다, 삶다, 달이다, 고다, 찌다, 데우다, 데치다, 졸이다, 굽다, 볶다, 지지다, 튀기다, 저미다, 무치다, 절이다, 버무리다, 덖다 등에서 보듯이 다양한 조리 용어도 그렇다. 음식 만들기도 여성 고유의 일이고 보면 그것을 표현하는 용어가 이처럼 순수한 고유어로 남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바느질 용어로는 앞서 언급한 동사 이외에도 "땀"이나 "솔기" 또는 마름질, 매듭, 뜨개질, 시접, 박이옷, 누비이불, 가름솔, 곱솔, 쌈솔, 뒤웅솔, 반짇고리 등에 이르기까지 주옥 같은 고유어가 생생히 살아있다. 만약 남성들이 바느질이나 조리일에 관계했다면 이러한 고유어의 순수성을 보존하지 못했을 것이다.
"바늘구멍에 황소바람 들어온다"는 말처럼 가장 작은 것으로 비유되는 바느질이지만 바늘이 하는 일은 결코 작지 않다. 바늘이 하는 일, 곧 바느질은 이 헝겊과 저 헝겊, 비약시킨다면 남과 나를 이어 주고 맺어 주고 꿰매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까.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 했듯이 너와 내가 이어져 우리가 되고, 때로는 부부가 되기도 하며, 아픈 이웃의 상처를 꿰매 주는 일이 바로 바늘의 역할이 아닌가. 옷고름이나 넥타이만 매는 게 아닐 것이다. 언약을 맺고 사랑을 맺고... 이렇게 맺는 일은 인간 관계의 출발점이면서 나무가 열매를 맺는 일처럼 삶의 귀착점이 될 수도 있다. 일의 마지막 단계를 이르는 "마무리"는 "마무르다"에서 온 말이다. 마무르다의 또다른 명사형도 있으나 옷을 입을 때 옷깃을 여미고 끈을 매는 뒷단속을 "매무시"라 하고, 매무시의 나중 모양새를 일러 "매무새"또는 "맵시"라 한다. 형용사로 쓰이는 "맵자하다"라는 말도 여기서 파생되었다. 이는 모양이 꼭 째여 앙증스럽고도 귀엽다는 뜻이니 말 그대로 얼마나 "맵자한"말 인가.
꿰매는 일을 표현하는 것도 그리 단순하지 않다. 촘촘히 꿰맬 때는 "박음질"이며, 성기게 꿰맬 때는 "홈질"이라 한다. 맞대어 듬성듬성 홀 경우 "시침질"이 되고, 그 사이에 솜을 넣어 죽죽 줄이 지게 박을 경우에는 "누빈다"고 한다. 또한 실땀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기술적으로 "공그르기"를 할 수 있고, 때로 "사뜨기"나 "휘갑치기"를 하기도 한다. 꿰매는 일도 이처럼 기술적으로 세분하여 표현법을 달리한 것이다. "감치다"도 참으로 감칠맛 나는 표현이다. 두 헝겊의 가장자리를 맞대어 감아 꿰매는 기술을 감친다고 한다. 이 말은 바느질 기술에 사용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곧 늘 잊혀지지 않고 가슴속에 감돌고 있음을 뜻하는 추상어가 되기도 하니 우리말의 감칠맛을 이런 표현에서도 발견한다. 바느질 용어의 확산은 끝간 데 없이 이어진다. 총총히 눌러 꿰맨다는 뜻의 "박다"의 경우만 해도 용례가 무궁하다. 사진도 박고, 책도 박아 펴낸다고 한다. 다시는 뒷말이 없게 휘갑을 친다고 하고, 부족한 원고 내용을 좀더 기울 수도 있다. 누비옷이나 누비이불만 누비는 게 아니다. "누비라"라는 차종도 있는 걸 보면 밤거리의 뒷골목에서부터 온 천지사방을 누비고 다닐 수도 있다. 뿐인가, 백결 선생의 옷도 그랬지만 이 시대의 진정한 도승 성철 스님도 누더기나 다름없는 누비옷을 입고 평생을 정진하셨다. 그러나 누군들 이분들의 모습을 추하다고 여길까?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깁는 문화"라 규정한 분도 있다. 그 깁는 일도 단순한 땜질이 아니라 고도의 미학적 경지에 이른 땜질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현대에 이르러 바느질 문화도 사라지려 한다. 이제 바느질이나 뜨개질하는 여인의 모습도, 다듬이질의 규칙적인 음률도 들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바느질은 사라진다 해도 그 감칠맛 나는 바느질 용어만은 그대로 간직했으면 좋겠다. |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아줌마·아지매
본디 집안에서 쓰던 말이 일반화한 게 적잖다. ‘씨’(氏)가 어울리지 않아 ‘○○○ 할아버지, ○○○ 할머니’로 쓰기도 하고, 아버지·어머니는 비유로도 흔히 쓰인다. 아주머니·아저씨는 어버이와 같은 항렬인 사람을 일컫는데, 정답게는 ‘아지매·아재’로 부른다. 잘 모르는 어른을 ‘아주머니/아줌마·아저씨’로 부를 때도 많다. ‘아저씨’도 그렇지만, 실제로 나이 든 여성을 편하게 일컫는 말로 ‘아줌마’ 만한 말이 있을까? 문제는 부르는 사람은 편한데, 듣는 이가 불편해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아기·처자·아가씨에서 아내 또는 부인으로, 아주머니를 넘어 할머니가 되는 과정은 무척 자연스럽다. 그런데, 막상 마음 준비가 되지 않은 까닭에 늘 거슬리고 낯설어한다. 이런 생각이 그런 말 듣기를 꺼리게 하고, 마침내는 애먼 토박이 부름말 하나를 상스럽고 낮은말·낮춤말로 여기게 하며, 국어사전에까지 그런 식으로 풀이하고 규정하게 하는 지경에 이른다.
‘아주미’(<앚+어미)를 아주머니의, 아재·아재비(<아자비·앚+아비)를 ‘아저씨·아주버니’의, ‘아주비’를 ‘아주버니’의, 심지어 ‘아줌마’를 ‘아주머니’의 낮춤말로 풀기도 하는데, 이는 도가 지나치다. 요즘 위아래(계급)가 어디 있으며, 더구나 귀하고 손아픈 사람을 낮추어 부를 이가 누군가? 아줌마·아재·아지매들은 아빠·엄마·할배·할매처럼 아이말 또는 다정히 부르는 말, 아주미·아주비·아재비 …들은 어미·아비·할미·할아비 …처럼 듣는이 앞에서 자신을 지칭하는 말로 봐야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꽝포쟁이
‘꽝포쟁이’는 ‘허풍이 많거나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비슷한 말로 남북이 같이 쓰는 ‘허풍선이·허풍쟁이·대포쟁이·거짓말쟁이’가 있고, 북녘말 ‘풍쟁이’가 있다. ‘-쟁이’가 붙으면 ‘앞말의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이 된다. ‘허풍’은 ‘쓸데없는 바람’이므로 ‘쓸데없고 실속이 없는 말, 부풀려진 말’이 되고, ‘허풍선’은 ‘허풍을 일으키는 부채’이므로 ‘허풍이 많은 사람’이 된다.
‘대포’는 원래 ‘포탄을 쏘는 무기’인데, ‘허풍·거짓말’의 뜻으로 쓰인다. 남북 모두 두 가지 뜻으로 쓴다. ‘꽝포’는 ‘꽝! 소리만 요란한 대포’로 ‘거짓말’을 뜻한다. 무기인 대포는 쏘지만, 거짓말인 대포는 놓는다. ‘대포를 놓다, 꽝포를 놓다’는 ‘거짓말하다’의 뜻이다.
“이 애가 글쎄 배가 깨졌다구 꽝포놓지 않니?” 문기는 영수를 흘겨보았다.(장편소설, 열다섯 소년에 대한 이야기)
‘대포’나 ‘꽝포’처럼 군사용어가 일반화한 것은 남녘에도 꽤 있다. ‘사령탑’(司令塔)은 ‘군함을 지휘하는 장소나 사람’인데, ‘한국 축구 사령탑, 새 경제팀의 사령탑’처럼 ‘경기나 일상생활에서 일을 지휘하는 중추부’를 이르기도 한다. ‘교두보’(橋頭堡)는 ‘다리를 지키려 쌓은 보루’인데, ‘어떤 일의 발판, 거점’의 뜻으로 쓰인다. ‘에프엠’은 ‘야전교범’(Field Manual)의 영어 약자인데, “누구는 에프엠이야”라고 하면 ‘누구는 원칙적인 사람이야’라는 뜻이 된다. ‘사령탑, 에프엠’은 북녘에서 일반 용어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