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그리스 신화와 영웅들)
- 사진 자료 및 참고 자료는 제가 편집해 올린 것입니다.
제 3장 그리스의 태초 신들
2. 카오스
그리스인은 우주는 질서와 조화를 갖춘 형상으로 구현되었다가 다시 파멸하여 공허로 변하는 카오스(Chaos : 혼돈)를 반복한다고 보았다. 카오스는 일단 세상을 태어나게 하는 생명의 '불가사의한 본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의하면, 원초에 카오스가 나타나고 여기에 거대한 틈이 열려 가슴의 폭이 넓은 가이아(대지의 여신)와 깊고 후미진 타르타로스(나락)가 탄생한다. 또한 온갖 신 중에 더할 수 없이 멋진 에로스가 출생하는데 그는 독자적으로 탄생된, 신족에 선행하는 초창기의 신이다. 에로스는 신과 인간들의 팔과 다리의 힘을 빼 놓고 온 누리의 살아 있는 자들의 가슴 속을 사려깊고 분별있는 마음을 풀어 느슨하게 한다. 후기 시인들은 에로스의 익살맞은 행동으로 야릇한 쾌감을 주는 장난기 넘친 동자로 표현하고 큐피드라 불렀다. 카오스에서 에레보스(암흑)와 어두운 뉵스(밤)가 생기고, 뉵스에서 아이테르(창공의 대기)와 헤메라(낮)가 출생하는데 뉵스와 에레보스가 정애로 품어 잉태한 소산이다.
가이아
가이아(Gaia, Gaea, Terra, Tellus)는 대지라는 의미이며 신격화하여 대지의 여신으로 숭배한다. 신화에 의하면 카오스에서 태어난 태초의 여신이며, 우라노스와 폰토스를 탄생시킨다. 우라노스 또는 폰토스를 배우자로 하여 오케아스, 티탄족, 큐클로프스, 기간테스, 테이아, 레아, 테미스, 포이베, 테튜스 및 므네모슈네를 낳는다. 가이아는 우라노스와의 사이에서 청공과 대질를 지배하는 신들,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고 인간의 숭배대상이 되는 신들을 위시하여 수많은 후손을 낳지만, 폰토스와의 사이에서는 오케아노스, 네레우스, 포르큐스, 케토 등 작은 역할을 하는 신들과 바다 괴물들을 낳고 후손의 수도 많지 않다. 바람신(공기)의 전달로 재난, 슬픔, 망각, 복수심을 감지하는 가이아는 후기에 로마의 대지여신 텔루스와 결부되어 같은 여신으로 간주된다.
우라노스
우라노스(Uranus, Coelus)는 가이아가 독자적으로 낳은 아들로, 가이아 혹은 티테아와 결혼하여 카이오스, 크레이오스, 휴페리온, 므네모슈네, 코토스, 포이베, 브리아레오스, 테미스, 크로노스, 규게스를 둔다. 그런데 우라노스가 아이들을 대지의 가슴 속에 감춘 채 가둬 두자 가이아는 아들 크로노스를 설득하여 반기를 들게 하고 낫을 주어 우라노스를 거세하게 하였다. 거세하였을 때 땅에 떨어진 핏방울에서는 기간테스.에리뉴에스.멜리아스가 태어나고 남근은 바다에 떨어져 거품에 쓸려 흘러가 키프로스 섬 또는 일설에는 쿠테라 섬에 표착하여 그곳에서 아프로디테 여신으로 화신하였다고 한다. 우라노스는 천계라는 의미이며 별로 뒤덮인 하늘이다. 천문에서는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지구 무게의 15배나 되고 5개의 행성과 고리를 가지고 있는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을 천왕성(Uranus)이라 한다. 위성은 아리엘, 움베리엘, 티타니아, 오베론, 미란다라고 한다. 천왕성이 태양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데는 약 48년이 걸린다.
3. 에로스
에로스(Eros)는 그리스의 성애의 신이며 로마인은 쿠피트라 한다. 초기 신화에서 그리스 세계가 성립될 때 카오스에서 가이아와 함께 탄생하였는데, 신과 사람 몸 속에 가득한 중식의 원천인 생식력이 의인화한 것이다. 다른 설에서는 원초의 알이 깨어져 에로스가 나오고 또한 일부는 하늘과 땅이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태고 때부터 존재하였고 아프로디테보다 훨씬 먼저 나온 신이다. 그 후 면목을 바꿔 에로스는 젊은 신이며 아프로디테와 아레스의 아들로서 장난기로 가득찬 버릇없는 어린 신으로 등장한다. 또한 동성애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아티카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안테로스(애욕을 반대하는 신 혹은 애욕에 보답하는 신) 제단에는 두 젊은이 멜레스와 티마고라스를 기념하기 위한 에로스상이 봉현되어 있다. 말인즉 멜레스를 동성연애하는 티마고라스가 냉소하는 멜레스의 말을 좇아 아크로폴리스에서 뛰어내려 죽게 되고, 멜레스도 그 회한으로 뛰어 내력 죽었다고 한다. 작가에 따라서는 에로스를 에일레이튜이아, 이리스의 아들, 혹은 헤르메스와 아르테미스, 또는 헤르메스, 제우스 혹은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그리고 있다. 미술, 시문 등에서 사랑이 낭만의 요소로 표현되면서 에로스는 화살을 가득 담은 통을 멘 날개 달린 동자, 또는 어린아기(들)로 각색되었다. 특히 에로스의 황금 화살촉에 맞으면 신이든 인간이든 모두 사랑의 격정을 누를 수 없게 되고 납 화살촉에 맞으면 연정이 가셔 버렸다. 아기 에로스상은 로마의 시문에 빈번히 등장하여 일반화되었으며, 사랑이 흔히 맹목적이듯 에로스의 행위 또한 그러한 것으로 그려졌다. 에로스가 아프로디테의 의도를 어겨 프슈케와 사랑에 빠진 이야기는 매우 유명한데, 프슈케는 갖은 고생을 겪은 후 결국 불사의 몸이 되어 에로스와 행복하게 맺어지는 것을 결말이난다. 에로스의 형제인 안테로스와 같이 있으면 짝사랑이라도 보복하고 쫓아 버리며 히메로스(그리움)와 휴멘(혼인의 여신)과 같이 있는 착상도 생겨났다. 에로스 신 숭배는 상당히 널히 퍼져 있어, 보이오티아의 테스피아이에서는 단순한 남근석을 모시고 다산과 풍요의 신으로서 에로스를 존경하였다.
프슈케
프슈케는 생명의 원리, 영혼, 마음 또는 정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옛적 그리스 사람들은 이것을 하늘을 나는 새, 그 후는 나비로 상징하고 헬레니즘 시대에는 에로스와 결부시켜 생각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서기 2세기 로마의 소설가 아풀레이우스(서기 124~170년경)로 그는 의인화한 프슈케를 에로스(큐피드, 아모르)와 결부시켜 '변신 이야기'를 구성해 냈다. 프슈케는 어떤 나라 와의 셋째 딸로 그 용모가 뛰어나게 아름다워 사람들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보다도 그녀를 더 숭배할 정도였다. 이에 질투와 시기로 화가 난 여신은 아들 에로스를 시켜 프슈케를 추한 자와 결합하게 하여 앙갚음을 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에로스는 막상 프슈케를 보자마자 한눈에 사랑에 빠져 어머니의 명을 거역해 버렸다. 그리고는 밤마다 프슈케를 찾아와 사랑을 속삭이는데 에로스는 그녀에게 절대로 불을 켜서는 안 되며 자신의 정체를 알고자 하거나 확인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받았다. 그러나 자매들의 부추김을 받은 프슈케가 이 약속을 어기자 에로스는 신의를 저버린 그녀를 버리고 떠나버렸다. 프슈케는 회한의 눈물을 흘리며 사라진 에로스를 애달프게 찾아헤매나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다. 별수없이 에로스의 어미에 애원하나 가뜩이나 자존심이 상해 미워하던 판이라 아프로디테는 프슈케에게 도저히 해 낼 수 없는 어려운 일을 시켰다. 그첫 번째 노역은 산더미처럼 쌓인 잡곡더미에서 곡식을 종류별로 구분하는 일이었다. 어쩔 줄 모르는 그녀 뒤에서 에로스는 개미들을 동원하여 그 일을 끝내게 해 주었다. 다음으로 부과된 임무는 숲 속에 있는 양의 황금털을 모아오는 일이었다. 양들을 놀라게 하지 말라는 개울 신의 충고를 받아들여 양이 잠들어 있을 동안 수풀가지에 엉킨 황금털을 수집하였다. 그럼에도 노여움이 풀리지 않은 여신은 높은 산꼭대기에 공룡동굴에서 스튝스의 샘물을 단지에 가득 담아오는 일을 시켰다. 이 일 또한 에로스에게 은혜를 입은 독수리가 해결해 주었다. 그러자 에로스의 어미는 마지막으로 죽음을 면할 수 없는 극히 어려운 일을 지시하였다. 지하에 가서 명계의 여왕 페르세포네의 미약 상자를 받아오게 한 것이다. 명계에의 심부름은 바로 죽음을 의미하였으므로 프슈케는 모든 것을 단념하고 높은 탑에 올라가 투신할 것을 마음먹는데, 탑이 명계로 가는 방법을 일러주었다. 마침내 명계까지 온 프슈케는 금지사항은 잊고 뚜껑을 열어보고 말았다. 이에 상자 속에서 흘러나온 강렬한 향에 프슈케는 혼절한 채 깨어나지 못하였다. 이 때 마침 에로스가 나타나 미약향을 다시 상자에 가두고 갖고 있는 화살촉으로 프슈케를 가볍게 찔러 깨어나게 하였다. 에로스는 제우스에게 어미 아프로디테의 노여움을 풀게 해 달라고 간청하여 마침내 여신과 프슈케는 화해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프슈케는 불사영생의 신주 넥타르를 하사 받아 신족의 일원으로서 에로스와 결혼하여 행복한 부부로 맺어지고 이 둘 사이에는 불룹타스(희열)라는 딸이 태어났다. 일반적으로 프슈케는 나비날개를 단 아름다운 소녀상으로 표현되며 영혼의 화신을 상징하는데, 나비가 침울한 애벌레 생활을 끝마친 다음 아름다운 날개를 펼쳐 날아다님을 비유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