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http://www.artnstudy.com/mail/img/KnowMail_texttitle01_080902.gif)
|
![](http://www.artnstudy.com/mail/img/KnowMail_texttitle02_080902.gif)
|
![](http://www.artnstudy.com/mail/img/KnowMail_texttitle03_080902.gif)
![]() 첫째와 관련해서, 근대 노동 개념에서 노동으로 여겨지지 않던 유형의 노동이 노동의 개념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과거 가정에서 여성이 대부분 담당했던 육아, 가사, 돌봄은 사회화 되어 서비스 노동이 됐다. 청소 대행업체, 심부름 업체, 애인 대행업체 등 삶의 많은 부분이 동일한 방식으로 노동의 개념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근대의 공장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임금 노동만이 유일한 노동이었다면, 이제는 비물질 노동이 기존의 생산 부문과 삶의 영역 전반에 걸쳐서 노동으로 재개념화되고 있는 것이다. 삶의 남은 부분은 점차 적어지고, 노동의 부분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삶의 일부가 노동이었던 데서 노동 안에 삶이 들어오는 것으로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
![](http://www.artnstudy.com/mail/img/KnowMail_texttitle04_080902.gif)
![]() 뿐만 아니라 삶의 형태도 생산된다. 컬러 TV의 보편화는 식사 시간에 가족들이 TV 앞에 모여서 밥을 먹는 모습을 낳았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 밥 먹는 모습을 등장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사랑, 결혼, 취업 등 삶의 모든 방식의 변화에도 연결된다. 이와 같은 비물질 노동의 지식, 정보의 측면은 사유화의 문제와 관계되며 인간 삶의 부정적 조건들을 창출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네그리가 주목하는 소통과 정서의 측면은 형성되는 부정적 조건을 해체하는 새로운 주체의 출현을 암시한다. 『제국』에서도 몇 차례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뒤에 출간된 『다중』을 통해서 우리는 새로운 대안의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