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성가시다'는 원래 '파리하다, 초췌하다'는 뜻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