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四面楚歌)
/ 사면이 모두 적에게 포위된 경우와 고립된 경우를 이르는 말.
《出典》'史記' 項羽本紀
항우는 곧 초나라의 도읍인 팽성[彭城 : 서주(徐州)]을 향해 철군(撤軍) 길에 올랐으나 서쪽의 한중[漢中 : 섬서성(陝西省)]으로 철수하려던 유방은 참모 장량(張良) 진평(陣平)의 진언에 따라 말머리를 돌려 항우를 추격했다. 이윽고 해하[垓下 : 안휘성(安徽省)]에서 한신(韓信)이 지휘하는 한나라 대군에게 겹겹이 포위된 초나라 진영(陣營)은 군사가 격감한 데다가 군량마저 떨어져 사기가 말이 아니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한밤중에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 소리[四面楚歌]'가 들려오는 것이 아닌가. 심신이 지칠대로 지친 초나라 군사들은 전의를 잃고 그리운 고향의 노랫소리에 눈물을 흘리며 다투어 도망을 쳤다. 항복한 초나라 군사들로 하여금 초나라 노래를 부르게 한 장량의 작전이 주효(主效)했던 것이다. 항우는 깜짝 놀라서 외치듯 말했다.
"아니, 한나라는 벌써 초나라를 다 차지했단 말인가? 어찌 저토록 초나라 사람들이 많은가?"
이미 끝장이라고 생각한 항우는 결별의 주연(酒宴))을 베풀고는 사랑하는 虞美人이 '四面楚歌'의 애절한 노래를 부르자, 비분강개한 심정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힘은 산을 뽑고 의기는 세상을 덮건만
때는 불리하고 추도 나아가지 않누나.
추가 가지 않으니 어찌하면 좋은가.
우(虞)야 우야 그대를 어찌할 거나.
【동의어】사면초가성(四面楚歌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