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이야기 2 - 정채봉, 류시화 엮음
2. 잊을 수 없는 사람
세계를 향한 웅비의 꿈을 가져라 - 김운용
1949년, 대학 입시를 앞두고 나는 많은 고민에 빠져 있었다. 지금도 마찬가지겠지만 대학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어려운 일 중 하나였다. 어느 대학에 진학할 것인가... 결국 나의 선택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였다. 어렸을 때부터의 꿈이었던 외교관에 대한 소망이 당신 유일하게 '외교'란 단어가 붙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선택하게 한 결정적인 동기였다. 그 당시 연세대는 교수 중 많은 분이 외국 선교사들이었기 때문에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특히 서양의 합리작이고 이성적인 사고와 앞선 문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당시 총장이셨던 백낙준 박사께서는 나의 미래를 선택하는 데 결정적인 말씀을 깊이 새겨 주셨다.
"해방된 조국에서 젊은이들의 사명은 무엇인가. 안을 보지 말고 밖을 봐라. 이상과 꿈이 작으면 성취하는 일도 작고 보잘것없다. 국제 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세계를 향해 웅비의 뜻을 펼쳐라."
백낙준 박사의 말씀대로 젊은 날의 나는 세계를 향해 열심히 뛰었다. 군대를 제대하고 유엔, 미국, 영국 등에서 외교관 생활을 하던 중에도 그 말씀을 새겨 세계로 시야를 넓혔고,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직을 맡으면서 스포츠계에 첫걸음을 내딛던 때도 태권도의 세계화를 앞장서서 부르짖었다. 백 박사께서 내게 들려주셨듯이 나도 우리의 젊은이들에게 늘 이런 말을 해준다.
"비전을 가지고 세계의 흐름을 앞서 달려라. 또 그러기 위해서는 실력을 키워야 한다."
(IOC 위원)
연구보다 우선 시험해 봐라 - 박종오
1983년 12월 말경 독일 대학에서 박사 논문 작성에 몰두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실험실에 앉아 있다가 갑자기 옆을 지나가시는 지도교수 바르네케 선생님을 보고 자리에서 일어나 인사를 드렸다. 선생님은 반갑게 맞아 주시며 "연구원은 책상에서 연구를 하는 것보다는 시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얘기를 해주셨다. 미국이나 한국과는 달리 독일 교수의 권위는 대단하다. 특히 내가 있었던 연구소는 직원이 삼백 명이 넘고 독일 생산공학을 주도하는 연구소여서 연구원이라도 지도교수님을 차분하게 만나 뵙기가 힘들었다. 이런 상황이라 우연이나마 개인적으로 지도교수님을 만나 직접 이런 저런 얘기를 친절히 듣고나니 이상이 매우 강렬했다.
1987년 귀국해 8년 간은 오로지 나의 모든 생활 및 관심이 연구에 있었다. 이 시기에는 모든 일을 철저히 온몸으로 체험했다. 그동안의 연구 결과 이형 부품 삽입 로봇, 금형 연마 로봇, 비전인식 자동 가공 로봇, 힘 인식 로봇, 섬세한 촉감 인식 로봇 손 등을 만들었다. 나의 모든 연구 결과에 있어 동통적인 것은, 한 가지 이론 정립보다 여러 가지 실험과 엔지니어로서의 감각이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몇 년 전 옛날 자료를 뒤적이다가 바르네케 교수님께서 얘기한 내용을 기록한 메모를 발견하고 한동안 감회가 깊었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 없이 이론적으로만 접근하는 방식을 경계하셨던 그분은, 현재 막스 프랑스와 쌍벽을 이루는 독일 프라운호프 연구재단 총재로서 인생의 정점에 계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전연구부 책임연구원)
솔직한 표현과 반성할 줄 아는 용기 - 최현수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깨달음을 얻는다. 나는 그것을 열림 마음으로 수용해 실천할 수 있는 넉넉한 삶을 좋아한다. 내가 중학교 1학년 때 고정웅 선생님이라는 무서운 기술 과목 선생님이 한 분 계셨다. 어느 월요일 오후 시간이었다. 수업 시간이 가까워서야 생각이 난 숙제, 그날따라 숙제 안한 학생들은 왜 그렇게도 많았는지. 이런 저런 핑게를 대는 급우들에게 이 소문난 강타자의 실력은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공포와 갈등 속에서 차례를 기다리던 나는 맞아 죽을 각오로 소신을 솔직히 말했다.
"죄송합니다. 힘들고 지겨운 숙제보다 공 차고 노는 게 더 재밌어서 숙제를 안했습니다. 오늘을 계기로 앞으로는 나아진 모습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눈을 감은 채 몸을 맡긴 나에게 선생님은 전혀 예상 외의 반응을 보이셨다.
"너의 솔직한 대답이 맘에 든다. 공부를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사회는 자신의 소신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반성할 줄 아는 용기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그 정신을 잃지 말아라. 그러면 너는 사회를 위해 좋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그 시간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수업 시간이 되었고, 그 격려의 말씀은 내 생활의 철학이 되었으며,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독학을 하던 시절에도 큰 힘이 되었다.
(성악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