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이야기 2 - 정채봉, 류시화 엮음
1. 평범한 행복 2
여인 2대 - 오창익
서울역이다. 연이가 도착하기까지는 아직도 15분이 남았다. 영하의 추운 날씨. 마중 나온 사람들은 저마다 기다리는 시선을 외투 깃에 묻은 채 빠른 재자리 걸음으로 서로들 초조하다. 그러나 나는 마치 첫아기를 낳아 친정을 다니러 오는 딸을 기다리는 심정으로 사뭇 만족하고 흐뭇하기만 하다. 추위마저 느낄 수 없는 것은 내 기대를 한 몸에 짊어진 맏딸 연이가, 기한부 시골 유학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날이기 때문이다. 기한부 시골 유학. 한 마디로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말 같지만 재작년 봄이었다. 메마른 인정, 각박한 도시 생활에 시들어만 가는 연이의 동심에 무엇인가 신선한 것을, 아직 때묻지 않은 시골의 정취를 불어넣어 줘야겠다고 생각한 나는, 연이를 2년 간이란 기한부로 시골 유학을 보내기로 했다. 장소는 아내의 고향이자 연이의 외갓집이 있는 충남 금산의 인삼골. 그곳은 아직 때묻지 않은 동심이 무럭무럭 자랄 수 있는 시골 마을로, 향나무 울타리 사이로 노란 개나리가 휘어지게 피고, 보리밭 둑길을 따라 나물 캐는 여자들과, 벼를 싣고 방앗간으로가는 소달구지를 얼마든지 볼 수 있는 곳이다. 더구나 인삼골은 연이의 엄마를 내게 보내 준 해바라기의 사연이 묻혀 있는 곳으로, 내겐 평생 잊을 수 없는 마음의 고향이기도 한 곳이다.
연이가 금년으로 열두 살이니까 꼭 12년 전 일이다. 그때도 오늘같이 추운 영하의 날씨로, 겨울 방학 때였다. 나는 서울역 바로 이 자리에서 초조한 눈빛을 외투 깃에 묻고 미지의 시골 처녀 한사람을 기다리고 있었다. 나이는 스물두 살,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초면의 인삼골 여교사였다. 수없이 오고 간 편지의 사연으로 이미 깊은 정이 들어 만나면 손이라도 덥석 마주잡을 사이였지만, 한 번도 얼굴을 본 적이 없으니 복잡한 대합실에서 서로를 알아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다만 한 가지 그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가 있었다. 그것은 온다는 소식에 앞서 내가 보내 준 해바라기 무늬가 있는 녹색 바탕의 스카프였다. 해바라기 무늬의 스카프... 봄나물의 싱싱한 시골 정취를 풍기는 처녀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다는 기대에 부푼 나는 그날도 여기 서울역에서 영하의 혹한을 무릅쓰고 해바라기 무늬의 스카프만을 눈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 여교사를 알게 된 것은 실로 우연한 기회에서였다. 여름 방학 때였다. 묵은 신문을 뒤적이다가 나는 무심히 어느 여성 독자의 투고란을 읽게 되었다. 시골 장날에 벌어지는 교실 주변의 정겨운 풍경을 그린 원고지 서너 장 정도의 토막 글. 필자는 그곳 학교의 여선생이었다. 나는 그 여교사의 명랑한 문체에 끌려 편지를 보냈다. 답장이 왔다. 그로부터 답장은 답장의 꼬리를 물고 서로의 사연이 오가기 시작했다. 그러기를 만 1년, 편지 600여 통이 오간 이듬해 가을이었다. 나는 견디다 못해 사진이라도 한 장 보내라고 했다. 그러나 보내라는 사진은 보내지 않고, 잘 여문 해바라기 씨 몇 알을 깨끗한 색종이에 싸 보냈다.
"우리 집 대대로 심어 오는 해바라기입니다."
그 해바라기의 씨앗을 받아 보낸다고만 했다. 짧고 수식 없는 단 한 줄의 글, 그 글 속에 무한히 많은 사연이 깃들여 있음을 내 나름대로 해석했다. 씨앗을 보낸다는 것은 심으라는 뜻, 심으라는 것은 대를 이어 해바라기를 같이 키워 보자는 뜻으로 나는 알았다. 그 씨앗을 이듬해 봄, 나는 하숙집 장독대 옆에다 심게 되었고, 그게 자라서 탐스럽게 씨알이 영글어 갈 무렵, 해바라기 여교사는 마침내 내게로 시집을 왔다. 이제 5분만 더 참고 기다리면 우리 연이가 "아빠!" 하고 소리치며 달려들 것이다. 해바리기처럼 키가 늘씬하게 카 가지고, 해바라기처럼 환하게 웃으면서 말이다. 대견하고 자랑스러운 기분, 흐뭇한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어느 새 기차가 도착했는지, 트렁크를 사이 좋게 맞든 신혼부부 한 쌍이 발걸음도 가볍게 출구로 나오고 있다. 순간, 그게 내 딸 연이가 아닌다 하고 착각을 한다. 그렇다. 앞으로 10년, 꼭 10년만 있으면 연이가 스물두 살이 되고, 10여 년 전 제 엄마의 나이가 된다. 그때가 되면, 늙어 볼품 없는 아빠가 아닌 젊고 싱싱한 청년의, 체구도 늠름한 신랑감이나 대신 여기 서울역에 지키고 서서 연이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나는 다시 한 번 시계를 보고, 그날을 생각하며 마음속으로 미소를 짓는다. (남산공고 교감)
맹인 연주자와 거리 가수의 노래 - 손종식
우리는 더 이상 영리해지려고 할 필요가 없다. 이미 우리 모두는 충분히 영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제 서로도와 주자. - F,J, 잭슨
지난 해 섣달 그믐,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분비는 서울역 앞 지하도를 들어설 때였다. 저마다 바쁘게 지나는 사람들에게 외면당한 듯한 한 쌍의 맹인 부부가 지하도 한 모퉁이에 서 있었다. 서른이 갓 넘어 보이는 남자의 손엔 바이올린, 서너 살 아래인 것 같은 여자의 손엔 동전 몇 개가 담긴 작은 바구니가 들려 있었다. 맹인이 기타를 켜며 연주자 앞엔 듣는 이가 없었다. 행인들은 그저 쳐다보고 지나칠 뿐이었다. 그 앞에 서서 잠시 듣고 있노라니 어느새 세 명의 관객이 생겼다. 검은 베레모에 소위 계급장을 단 군인과 동행하던 두 아가씨가 저만치 지나쳤다가 되돌아왔다. 적은 관객을 위해 앞을 못 보는 연주자는 귀에 익은 캐럴들을 계속해서 연주해 나갔다. 다섯 곡이 끝났을까, 다음 곡을 켜려는 순간 검은 베레모의 젊은 장교가 말했다.
"캐럴을 계속 켜주시겠습니까? 저희들이 같이 부르고 싶은데요."
군인의 말에 잠시 의아한 표정으로 머뭇거리던 연주자는 이내 익숙한 솜씨로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그 맑고 환한 밤중에
천사들 내려와...
바이올린 멜로디에 맞춰 군인과 두 아가씨는 화음을 넣어서 노래를 불렀다. 예사 솜씨가 아닌 그들의 노래가 바이올린과 멋진 화음을 이루며 넓은 지하도를 울렸다. 어느새 관객이 하나둘 늘어났고 따라 부르는 사람도 생겼다. 사람들의 얼굴엔 평화와 기쁨의 빛이 넘쳐흘렀다. 그때장고가 나서며 말했다.
"여러분, 이 두 분을 위해서 바구니를 채워 줍시다."
군인은 에워싼 사람들 앞에 나와서 직접 바구니를 돌렸다. 이윽고 바구니가 다시 여인의 손에 들려졌을 땐 지폐로 수북하게 채워져 있었다. (학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