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표수필 - 김동리 외 9명
"김소운편"
김소운(1907~1981)
수필가, 시인. 일본 문학가. 호는 소운. 경남 부산 출생. 일본에서 중학 중퇴. 초기에는 시로 출발하여 관념시 계통의 시작품을 발표했으나 일본인들의 근거 없는 우월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을 통감하고서 한국의 민요, 동요, 시 등을 일본에 소개하는 작업을 벌여 크게 주목받았다. 문학의 사회자로 문화 수출의 상인으로 자처했던 그는 후기에는 인생에의 통찰이 담긴 격조 높은 수필을 많이 발표하여 많은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퇴색치 않는 사랑 / 왕후의 밥, 걸인의 찬
그 내외는 가난했다. 보통이면 사내가 직장으로 나가고 아내는 집을 지키기 마련이건마는 그 내외는 세상의 상식과는 반대로 아내가 직장으로, 교사이던 남편은 학교 일을 그만두고 집 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실직자였다. 어린것은 아직 없었다. 젊은 아내의 직장은 그들이 깃들어 사는 단칸방에서 과히 멀지 않은 거리에 있었다. 어느 개인 회사에서 회계 사무를 맡아 보는 것, 그것이 그 젊은 아내의 직업이다. 어느 날 쌀이 떨어져서 아내는 아침밥을 굶은 채 직장으로 나갔다가 점심 시간을 틈타서 잠시 집으로 돌아왔다. 아침에 나갈 때 남편의 한 말이 있다.
"어떻게라도 변통해서 점심을 지어 둘께 시장해도 그 때까지만 참으라우."
방 안에는 밥상이 나와 있고, 남편은 어디로인지 외출하고 없었다. 신문지로 덮은 밥상에는 남편이 지은 밥 한 그릇-반찬이라고는 간장 하나-그 밥상 위에 써 두고 간 쪽지가 얹혀 있다.
'왕후의 밥, 걸인의 찬-이걸로 시장기만 속여 두시오.'
쌀은 간신히 샀는데도, 남편이 마련한 돈으로는 반찬에까지 손이 닿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 밥을 간장 하나로 먹으면서 젊은 아내는 미상불 왕후가 부럽지 않도록 가슴이 뿌듯했다. 촌철이 사람의 폐부를 찌른다지마는, 표어도 격언도 아닌, 남편이 적어 두고 간 그 한 마디 말에 아내는 눈물이 나도록 행복했다. '가난'이란 결코 환영할 것이 못 된다. 안빈 낙도니 청빈이니 하는 빛좋은 문자들이 있기는 하나, 인간을 시궁창에 뒹굴게 하는 것도 가난이요, 가까운 일가 친척이며 친한 벗들 사이에 길을 막고 담을 쌓게 하는 것도 역시 가난이다. 그런데도, 때로는 이 가난이 만금으로 못 살 보석을 경품으로 갖다 주기도 한다니 신기한 조화라고 아니 할 수 없다. 내가 잘 아는 어느 부부 이야기가 생각난다. 이 역시 남편은 실직-실직이라는 말은 가졌던 직업을 잃었다는 뜻이니 이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 남편에게는 본래 직업이 없었다. 남들은 그를 시인이라고 부르지만, 이 나라에서 싯줄이나 쓴다고 해서 그걸로 호구책을 삼는다거나, 가족을 먹여 살릴 의젓한 직업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사내는 세수를 마치고 방으로 들어와 아침밥을 기다리고 있었다. 마누라가 쟁반에는 삶은 고구마 몇 개를 얹어 들고 들어왔다.
"햇고구마가 하도 맛이 좋다고 아랫집에서 그러길래 우리도 몇 개 사 왔답니다. 하나 맛이나 보세요."
사내는 본래 고구마를 좋아하지 않는데다 식전에 그런 것을 먹는 게 꺼림해서 잠시 주저하다가 마누라 대접으로 그 중 제일 작은 한 개를 집어서 입에다 넣었다. 그리고는 쟁반 위에 같이 놓인 홍차를 마셨다.
"하나면 정이 안 간대요, 한 개만 더 집으세요."
별로 달갑지는 않으나 이번에도 마누라의 강권에 못 이겨 마지못해 두개 째를 손에 집었다. 밖에서 만날 사람이 있어 약속한 시간이 가까워졌다.
"인제 나가 봐야겠소. 밥상을 들여요."
사내가 재촉하자 아내는 태연 자약,
"지금 잡숫잖았어요, 그게 오늘 우리 아침밥이랍니다."
그러면서 시치미를 떼었다.
"뭐요? 그게 아침이라?"
사내는 그제야 쌀이 없어진 것을 알고, 무안과 미안을 뒤섞어서 마누라에게 한 마디 쏘았다.
"쌀이 없어졌으면 없어졌다고 왜 좀 미리 말을 못하는 거요, 사내 봉변을 시켜도 분수가 있지!"
그 말에 대답이,
"제가 XX장관 조카랍니다. 어디를 가면 쌀 한 가마가 없을라구요. 하지만 허구한 인생에 이런 때도 있어야 늙어서 얘깃거리가 되지요."
웃음을 지으면서 하는 아내의 그 한 마디 말에 내 친구는 대꾸를 잃고 묵연했다. 때마침 그의 처삼촌이 장관이었고, 그 장관에게 다리를 놓아 달라는 청도 몇 차례 없이 들어와서 성화를 겪던 터이다. 그 날로 쌀 한 가마를 주변해서 짐꾼에게 지위 들여가기는 했으나 내 친구는 그런 마누라를 가진 것이 무척 흐뭇했던지, 팔불출이는 자인한다면서 걸핏하면 이 이야기를 남의 앞에서 되씹곤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