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오백년의 선비정신 (하) - 편저자 : 강효석, 역자:권영대, 이정섭, 조명근
1. 예론이 당쟁으로
승문원 정자에게 종이와 벼루를 갖고 오게 한 정태화
정태화(1602~1673)의 본관은 동래이고 자는 유춘, 호는 양파다. 인조 2년(1624) 진사시, 6년(1628) 문과에 각각 급제하였으며, 문과엔 아우 치화와 나란히 합격하여 장안에 화젯거리가 되었다. 1635년에 북방 경비를 위해 설치된 원수부의 종사관이 되고, 이듬해인 병자년 정월에 토산에 진을 치고 청나라 군대와 접전하였다. 이때 원수는 청나라 대군의 위세에 겁을 먹고 도망하고 아군의 진영은 형편없이 무너졌다. 정태화는 패잔병을 수습하여 사력을 다해 싸움으로써 적에게 많은 타격을 가했다. 전공이 조정에 알려지자 그는 사헌부 집의로 승진하였다.
평안 감사로 있을 때의 일이다. 연위사(중국 사신이 오갈 때 그들을 접대하는 사신) 최내길(최명길의 형)이 교자를 타고 평양에 왔다. 정태화는 즉시 이 사실을 위에 보고하고 교자를 타고 역을 통과하도록 묵인한 관리들을 문책하였다(병자호란으로 말미암아 극도로 궁핍해진 지방 재정 형편을 감안, 연위사의 교자 사용을 금지하던 때였다). 우의정 최명길이 정태화의 처사에 매우 화가 치밀어 불만을 토로했다.
"공이 우리 형님에게 이렇게까지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러나 조금 후엔 생각을 고쳐서 이렇게 말하였다.
"그대가 행한 일은 공적인 처사요 내가 화를 낸 것은 사적인 감정이다. 사적인 감정으로 공적인 처사에 성을 내는 일이 말이 되겠는가!"
그 뒤로 최명길은 이 일을 다시 거론하는 일이 없었다. 정태화가 정승으로 있고 이세화가 승문원 정자로 있을 때의 일이다. 공무로 정승을 방문한 이세화가 정승화가 정승이 보는 앞에서 종이와 벼루를 갖고 오도록 하인에게 시켰다. 이를 본 정태화는 정자 이세화에게 명했다.
"하인에게 시키지 말고 정자가 직접 가지고 오라!"
이세화의 얼굴엔 모욕당한 기본 나쁜 기색이 역력하였다. 훗날 이세화는 정태화의 조카인 정재해에게 그 당시의 섭섭했던 심정을 토로하였다.
"상공이 나에게 하인의 할 일을 시키다니 그건 너무 심하지 않은가?"
그러자 정재해가 상세히 해명하여 주었다.
"상공의 지위란 일반 백관들과는 판이하게 다르다네. 내 예를 하나 들지. 병조판서나 호조판서 자리가 비게 되면 이조 판서가 직접 추천서를 가지고 와서 대신에게 결재를 올리는데 이 때 벼루는 이조판서가 손수 들고 온다네. 정승의 지위란 이러한 것이거늘 불과 9품직을 벗어나지 못하는 승문원 정자가 붓과 벼루를 좀 들고 온들 그것이 무슨 큰 대수인가. 이 사람아!"
정재해의 설명을 듣고 난 이세화는 깜짝 놀라면서 말했다.
"시골에서 생장한 촌놈이라 조정의 예의를 알 턱이 있는가? 만약 오늘 이러한 설명을 듣지 않았던들 끝내 내 잘못을 깨닫지 못할 뻔하였네."
이세화는 극구 사과하였으며 그 뒤부터 조종의 모든6 예절과 전례를 두루 익혀 몸소 모범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