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三十四章 (노자 - 도덕경 : 제34장)
大道氾兮, 其可左右. 萬物恃之而生而不辭, 功成不名有. 衣養萬物而不爲主. 常無欲, 可名於小. 萬物歸焉而不爲主, 可名爲大. 以其終不自爲大, 故能成其大.
대도범혜, 기가좌우. 만물시지이생이불사, 공성불명유. 의양만물이불위주. 상무욕, 가명어소. 만물귀언이불위주, 가명위대. 이기종불자위대, 고능성기대.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서른 넷째 장
직역
큰 도는 범람하는 물과 같아서 좌로도 우로도 갈 수 가 있다. 온갖 것은 그것에 의지해서 생겨난대도 말하지 않는다. 공이 이루어 져도 이름이 있지 않다. 온갖 것을 입히고 기르면서도 주인의 행동을 하지 않는다. 항상 바램이 없기에 작다고 이름 할 수 있다. 온갖 것이 돌아가지만 주인의 행동을 하지 않으니 가히 크다고 이름할 수 있다. 끝내 스스로 크다 하지 않으니그러므로 능히 그 큼을 이룬다.
해석
물은 길을 따라 흐른다. 그때에 물은 좌로 가고 우로 간다. 그러나 범람하는 물은 길이 없다. 형식이 없다. 좌와 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도는 범람하는 물이다. 좌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온갖 것이 도에 의지하지만 도는 여관비를 받지 않고 재워 준다. 양육비를 청구하지 않고 키워 준다. 그리고 이렇게 되어라 저렇게 되어라 잔소리를 하지 않으면서 지켜보기만 한다. 그리고 아이가 커서 어른이 되었어도 나서지 않고 뒤에서 지켜볼 뿐이다.
욕심에 없기에, 드러내지 않기에 작게 보일 수 있다. 하찮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온갖 것이 돌아오는 곳이지만 주인 노릇을 하지 않는다. 바다가 강물을 보고 너는 내종이니 내말에 따라서 움직여라. 너는 아직 바다의 자격이 없으니 기다려라. 바다가 강물을 막는다. 그럼 바다가 바다로 존재하는가. 바다가 큰 이유는 강물을 막지 않기 때문이다.
스스로 크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교에 의해서 가능하다. 그럼 우주는 비교할 것이 있는가. 그런데도 우리는 크다고 한다. 넓다고 한다. 진정으로 큰 것은 비교할 필요도 자랑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34.
위대한 도는 흘러 넘치는 물처럼 왼쪽에도 오른쪽에도 어느 곳에나 퍼져 있다. 만물은 그것을 의지하여 살지만, 도는 그들을 거절하지 않는다. 공을 이룩하고도 그 명성을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려고 하지 않는다. 만물은 옷처럼 감싸고 길러 내지만 이를 주재라고 하지 않는다. 도는 언제나 욕심이 없으므로 작은 것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그러나 만물이 그에게로 귀의하건만 이를 주재하지 않으니 큰 것이라고 명칭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는 끝내 스스로 크다고 자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히 그 큰 것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주
범혜 : 물이 흘러 넘치는 모양. 우주 만상의 어느 곳에나 골고루 스며 있는 도의 편재 성을 잘 표현한 말임. 장자에도 '도가 어디 있느냐?' 하는 동곽자의 물음에 대하여 장자는 어느 곳이든 없는 곳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막연하니 구체적으로 말하라고 하는 그의 재촉에 대해 장자는 도는 청개구리와 개미에 있다고 하였다. 도가 하등동물에 있다는 장자의 대답에 만족하지 못하는 동곽자에 대하여 도는 와벽(기와, 벽돌)과 뇨닉(오줌)에 있다고 말하여 그를 노엽게 하고 있다. 이것은 도의 편재 성에 대한 우문현답이다.
의양 : 옷으로 몸을 감싸고 음식물로 몸을 자라게 하는 것. 의피로 된 파본도 있고 애양으로 기술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음.
해
이 장에서 노자는 도의 편재 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도는 우주 만물의 구석구석 그 어디에나 스며 있지 않은 곳이 없다. 도의 마음이 비고, 고요하며, 언제나 욕심이 없다. 그러므로 그것을 작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는 우주의 삼라만상을 생성케 하면서도 그것을 자신의 공덕으로 생각하거나 자랑할 줄도 모른다. 그러므로 우리는 도를 크다고 칭송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우주 만상의 구석구석 어디에나 스며 있는 도의 항존성과 편재 성에 대해 노자의 일원론적 발상은 불가의 우주론과 유사한 면이 있다. 하나가
모두 되고 모두가 하나 되며, 하나가 일체가 되고 일체가 하나 되며, 한 티끌 가운데 대우주 들어 있고, 대우주 티끌마다 낱낱이 또한 같네. (의상 조사 법성계에서) 독자는 의상 조사의 우주의 본체에 대한 형이상학적 인식이 노자의 그것에 상당히 접근되어 있음을 수긍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