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二十四章 (노자 - 도덕경 : 제24장)
企者不立, 跨者不行, 自見者不明, 自是者不彰, 自伐者無功,
自矜者不長, 其爭也, 曰餘食贅行,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기자불립 과자불행 자견(현)자불명 자시자불창 자벌자무공
자긍자부장. 기재도야, 왈여식췌행.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스물 넷째 가름
직역
발돋움을 하고서 서 있는 자는 오래 서 있을 수 없고, 가랭이를 벌리고 걷는 자는 오래 걸을 수 없다. 스스로 드러내는 자는 밝지 아니하고, 스스로 옳다고 하는 자는 빛나지 아니하고, 스스로 드러내는 자는 공이 없다. 스스로 자만하는 자는 으뜸이 될 수 없다. 그것은 길에 있어서는 찌꺼기 음식이오. 군더더기 행동이다. 물은 아마 그것을 싫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가 있는 자는 처하지 아니한다.
해석
발꿈치를 들고 있는 것과 가랭이를 벌리고 걷는 것은 부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런 것은 오래 가지 않는다. 그럼 인간이 행하는 부자연스러움을 살펴보자. 물이 왜 드러내고, 옳다고 우기고, 자만하는 것을 싫어하는가. 그것은 사물도 하지 않는 바이다. 사자도 자신이 밀림의 왕이라고 뽐내지 않는다. 그도 한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전력을 다한다. 물의 움직임은 자연스럽다. 노자는 뽐내고, 드러내고 자만하는 것은 발꿈치를 들고 서 있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한다. 과연 그러한가는 여러분이 생각해 보길 바란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24.
발끝을 제껴 디딘 자는 오래 서 있을 수 없고, 가랑이를 벌리고 걸으면 오래 걸을 수 없다. 가랑이를 벌리고 걸을 수 없다. 스스로 나타내는 자는 오히려 분명히 나타나지 않고 자기 스스로를 옳다고 주장하는 자는 도리어 공로가 없게 되고 스스로를 칭찬하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이와 같은 것들은 도의 차원에서 보면 먹다 남긴 음식이나 남의 집을 방문하다가 거절당한 것처럼 사람들이 미워하고 배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를 체득한 이는 이와 같은 일은 하지 않는다.
주
기 : 기와 같음, 발바닥을 땅에 대지 않고 발끝으로 제껴 디디는 것.
과 : 양쪽 다리를 넓게 벌린 자세.
여식췌행 : 여식은 식사후 먹다 남긴 음식. 췌행은 불필요한 방문, 거절당한 방문, 무의미한 행위 등을 뜻하고 있음.
물 : 여기서는 타인, 남을 지칭하고 있음.
해
노자는 이 장에서 인간 본연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자연스럽게 살아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 물질적, 정신적 허영심은 사람의 몸과 마음에 하 등의 유익함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자랑하는 것, 으스대는 것 등은 남들이 먼저 외면하게 되며 또 적대감마저 유발하여 적을 만드는 결과가 되기도 한다. 그것을 도는 여식췌행이라 하여 먹다 남긴 음식이나 거절당한 방문처럼 무가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도를 체득한 사람은 이와 같이 부자연스럽고 어리석은 행위는 결코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자만심, 허영심 등의 무가치한 것들을 버리고자 하는 것은 결국 참되고 진실된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생활 철학이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