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十五章 (노자 - 도덕경 : 제15장)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焉, 若冬涉川, 猶兮, 若畏四隣,
儼兮, 其若容, 渙兮, 若氷之將釋, 敦兮, 其若樸,
曠兮, 其若谷, 混兮, 其若濁,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 動之徐生? 保此道者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예언 약동섭천,유혜 약외사린.
엄혜, 기약용, 환혜, 약빙지장석,돈혜, 기약박,
광혜. 기약곡, 혼혜, 기약탁.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구, 동지서생? 보차도자불욕영.
부유불영, 고능폐불신성.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열 다섯째 장
직역
예로부터 잘 행하는 자는 미세하고, 묘하며 그윽하고 통해서 깊어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릴 수 없기에 억지로 다음과 같이 형용한다.
머뭇거리네, 겨울날 천을 건너는 것 같이,
쭈물거리네, 사방이 두려운 것 같다.
근엄하도다, 그것은 손님과 같네,
흩어지도다, 그것은 얼음이 녹으려 하는 것 같네,
도탑도다, 그것은 통나무와 같네,
텅 비었도다, 그것은 계곡과 같다.
혼돈하도다 그것은 흐린 물과 같네,
누가 능히 자기를 흐리게 만들어 그것을 고요히 해서 물을 맑게 할 수 있겠는가?
누가 능히 자기를 안정시켜서 오래가게 하고, 움직여서 온갖 것을 생하게 할 수 있겠는가.
이 도를 보존하는 자는 채우려 하지 않는다. 채우려 하지 않기에
그러므로 능히 낡은 것을 새로이 이루지 아니한다.
해석
석수장이가 돌을 다듬어 하나의 예술품을 만들어 낸다. 그가 하는 행동을 말로 다 표현 할 수 있을까. 아니 백미터 달리는 운동선수의 움직임을 말로 다 표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단지 달리고 있다라고 만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세히 들어가면 수천 권의 책으로도 그의 행동을 표현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억지로 이름하는 것이다. 微妙玄通은 이러한 것을 표현 한 것이다. 모두 말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도에 있는 자는 일을 할때 조심스럽게 한다는 말이다.
개울을 본적이 있는가. 물이 맑아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 줄 아는가. 그것은 흙모래이다. 물은 흙모래를 투과하면서 정화가 된다. 이때 물이 통과하면서 그 부분은 흙탕물이 된다. 그러나 그 곳을 지나온 물은 깨끗한 물이 된다. 누가 이러한 일을 하는가. 바로 도를 보전하려는 자이다. 그는 채우려 하지 않는다. 채우는 순간 그는 물을 정화시키지 못한다. 스스로 새로워지려 하지 않는다. 정화된 물을 가지려 하지 않는다. 그는 여전히 흙탕물로 남는다. 그것이 도를 보전하려는 자의 행동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15.
옛날의 훌륭한 선비들은 미묘하고 깊이가 있으며 사물의 원리를 깨달아서 그 마음의 심오한 경지를 다른 이가 헤아릴 수 없었다. 그러므로 그 심오한 모습을 억지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신중한 태도는 겨울에 맨발로 냇물을 건너기를 머뭇거리는 것 같고, 조심스러운 모습은 마치 주변의 이웃을 무서워하여 두리번거리는 것 같고, 그 위용을 갖춘 의젓한 모습은 점잖은 손님과 같다. 온화한 모습은 흡사 얼음이 녹아 풀리듯하며 그 순박한 모습은 갓 베어 낸 통나무 같고 그 활달한 마음은 탁트인 산골의 공동과 같으며 만사를 포용하여 시비를 가리지 않는 태도는 흡사 탁류와도 같다. 누가 능히 이 흐린 물결을 멈추게 하여 서서히 다시 맑게 할 수 있을 것인가, 누가 능히 안정된 것을 작동시켜 서서히 살아 움직이게 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선비의 도를 체득한 이는 가득 차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차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도는 능히 만사를 덮을 수 있고 또한 새로이 그 무엇을 성취하려고 기도하지도 않는다.
주
미묘현통 : 도를 깨우친 모습을 표현한 말임.
미 : 정밀하다, 세밀하다.
묘 : 미의 극치로 변통자재한 모습을 뜻함.
현 : 깊고 신비스러운 것, 유원하고 심원하여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것.
통 : 만물의 원리와 이치에 통달한 모습을 뜻함.
강 : '억지로, 무리하게 ~하다'라는 뜻임.
용 : 형용해 본다, 그려본다, 표현해본다의 뜻.
환연 : 얼음이 녹아서 풀리는 모습을 뜻함.
박 : 통나무.
광 : 비다, 넓다의 뜻임. 이장에서는 시원하게 탁 트인 모양을 표현한 말임.
혼 : 여러 가지가 어지럽게 귀섞인 모양.
불신성 : 새로운 것을 이루려고 기도하지 않는다는 뜻임.
해
도의 원리에 통달한 사람은 그 미묘함과 깊이를 남이 헤아릴 수 없고 그 몸가짐은 항상 의젓하여 삼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기 자신에게는 엄격하면서도 남에게는 포용력이 있게 대하고 소박하면서도 활달한 것이 산골의 공동과도 같다. 청탁을 가리지 않는 그는 무엇이나 버리지 않고 받아들이므로 모든 흙탕물을 가리지 않고 흘러 보내는 계곡의 탁류와도 같다. 그는 탁류를 정지시켜 정화하면서도 결코 이를 정체시키지는 않는다.
도에 통달한 선비는 어지러운 세상과 어울리면서도 그것에 물들지 않고 정화시켜 도의 너그러운 품속에서 생동케 한다. 도는 언제나 비어 있고, 고요하며, 무위하므로 모든 것을 덮고 있을 뿐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지는 않는다. 탁월한 선비는 자연의 섭리에 적응하여 무엇인가 새로운 것, 인위적인 것을 채우려고 애쓰지 않는다. 오직 자연(스스로 그러하다는 뜻임)에 맡길 뿐이다.
이 장에서 노자는 도를 터득한 이상적인 인간상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유가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맹자에는 유가의 이상적인 인간상이 묘사되어 있다. 부동 심과 호연지기를 기를 것을 강조한 맹자는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공자보다 더 위대한 사람은 없다'는 유약의 말을 인용하며 공자를 최고의 이상적 인물로 추앙하였다. 독자들은 유가와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이 매우 대조적인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유가는 치욕에 대하여 염결로서 몸단속을 하며, 타협을 거부하고 시시비비를 끝까지 추궁하여 포폄으로 매듭짓는다. 도가가 세상의 모든 것을 차별 없이 포용하면서도 그 청징함을 간직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유가는 본질적으로 사대부 계층의 가치관을 대변하며 남성적이요, 강의함을 이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지배계급의 철학으로 영속적인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유가 철학이 2천여년동안 동아시아의 지배적 정치사상이 된 것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에 반하여 도가 철학은 시비와 포폄을 초월하여 부드럽고, 겸손하며 여성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대지에 뿌리를 박은 피지배 계급의 정치적 이상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권력과 세속적 부귀영화와는 거리가 먼 민초의 어려움을 어루만져 주는 생활 철학이기도 하다. 상류 사회의 화사한 가든 파티에 초대받지 못한 아웃사이더의 비애를 어루만져 줄 수 있는 친절함, 부드러움, 자상함이 깃든 철학이다. 우리는 이 두 위대한 사상을 모순과 대립 관계로 풀이해서는 안될 것이다.
유가와 도가의 두 사상은 어느 한쪽만이 있었다면 초래되었을 심리적 불균형에 안정감과 균형을 이루는 데 크나큰 공헌을 하게 된다. 동아시아의 지식인은 도가의 처세관을 통하여 유가의 위계질서 속의 의무감에서 잠시 벗어나 개성의 창달과 지성의 방랑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재직 중에는 공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에 충실하던 유교적 관리가 퇴직 후에는 자연을 벗삼는 도가적 처사가 되는 것은 조금도 모순된 일이 아닌 것이다. 유가 철학이 적극적, 현실적인 양의 성격을 지니는데 반하여 도가 철학은 보다 소극적, 둔세적인 음의 성격을 띄면서 동아시아의 문화에 깊이와 폭과 다양성을 주었다는 점은 이미 기술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