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十章 (노자 - 도덕경 : 제10장)
載營魄抱一, 能無離乎, 專氣致柔, 能孀兒乎, 滌除玄覽, 能無疵乎,
愛民治國, 能無知乎, 天門開闔, 能無雌乎, 明白四達,
能無爲乎, 生之, 畜之,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재영백포일 능무이호 전기치유 능영아호 칙제현람 능무자호
애민치국 능무지호 천문개합 능무자호 명백사달
능무위호 생지 축지 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부재 시위현덕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열째 장
직역
바탕의 기운을 싣고 하나를 껴안는다. 능히 떠날 수 있겠는가? 오로지 기로 부드러움에 다달아 능히 갓난아기가 될 수 있겠는가? 백성을 아끼고 나라를 다스림에 능히 지혜롭지 아니할 수 있겠는가? 그윽한 거울을 뜨물로 씯어서 흠이 없게 할 수 있는가?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데 능히 암컷으로 머물 수 있겠는가? 밝고 깨끗히 사방을 비추면서 능히 함이 없을 수 있겠는가?
그것이 생겨나고 그것이 쌓여 가네 낳으면서도 낳은 것을 가지지 않고, 지으면서도 지은 것에 기대하지 않고, 자라게 하면서도 자란 것을 다스리지 않네 이것을 일컬어 그윽한 덕이라고 한다.
해석
영백이라는 것은 靈과 魂을 가리킨다. 이것은 나를 이루어 주는 形이다. 이 형의 의미는 덕경 오십일장에서 다루겠다.
도로 돌아갈 수 있는가. 그렇기 위해서는 근원의 기운을 한 몸에 싣고 하나-도-를 껴안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출발점이 부드러움을 이루어 갓난아이같이, 순수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이 나와 있다.
뜨물은 곡식을 씻은 뿌연 물이다. 이런 물로 거울을 닦으면 때가 더낄 뿐이다. 물을 바꾸어서 닦아야 하지, 닦는 정성의 문제가 아니다. 그럼 거울은 무엇이고, 물은 무엇인가. 생각해 보기 바란다. 나도 모른다.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생사의 문제이다. 생사의 문제에 초탈해서 생사가 어찌되건 평정을 이룰 수 있는냐 하는 물음이다. 개인의 문제이다. 그리고 자신의 빛으로 세상을 구제한다고 할 때 내가 세상을 구제한다고 하지 않을 수 있는가. 라고 다시 묻는다. 이것은 관계 속에서 처해야 될 행동이다. 생사에 고요할 수 있고, 남이 알아주거나 말거나 자신의 일을 하면 도가 생긴다. 그렇게 하면 도가 생기고, 덕이 쌓여 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덕에 대해서 말한다. 덕은 태어나게 하되 소유하지 않는 것이다. 즉 저것은 내가 만든 것이다. 내것이니 내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생각을 버리라는 것이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 자신에게서 누군가가 무엇을 배울 수 있다. 그리고 자신에게서 엄청나게 많은 것을 배워 갈 수 있다. 그리고 남에게 그러한 지식이나 앎을 전수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신에게서 다 배웠으면 떠나게 하라. 그를 지배하고 자신의 학설만을 고집하지 않게 하라. 그는 그 자체로 자신의 길을 가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길을 나의 길로 만들지 마라. 그의 길을 나의 길로 만들지 않는 것이 바로 그윽한 덕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10.
[혼과 백을 하나로 모아 능히 분산되지 않게 한다. 기를 하나로 모아 부드러움을 이루어 젖먹이처럼 되도록 한다. 오염된 것은 없애고 그윽한 경지에서 살펴보아야 능히 하자가 없을 것이다.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처럼 치란이 교체되는 때에 남보다 앞서지 않고 유순한 암컷처럼 자연에 순웅할 수 있어야 한다. 햇빛이 사방에 골고루 퍼지듯이 무위로써 세상을 잘 다스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나게하고 성장시킨다. 생을 주면서도 이를 소유하지 않으며, 작용케 하면서도 결코 자만하지 않으며, 자라나게 하지만 간섭치 않고 자연에 맡긴다. 이것을 신비한 덕이라 한다.]
주
재영백 : 재는 별다른 뜻이 없다. 그러나 '안정시킨다'는 의미로 풀이하는 학자도 있다. 영은 곧 형으로서 의심스럽고 현란하다는 뜻임. 백은 육체에 생명을 주는 정기를 의미함. 하늘에서 받은 정신적 요소를 혼이라 하느데 반하여 땅에서 받은 신체활동을 통제하는 기능을 백이라 함. 결국 영백은 혼백을 뜻하는 말이다. 재영백의 해석에는 옛날부터 전문가 사이에 이설이 많았음.
척제 : 오염된 것을 씻어 없앰.
현람 : 깊고 그윽하게 살펴본다.
천문개합 : 하늘의 문이 열기고 닫히는 것처럼 태평성대의 난세가 오고가는 것을 의미함. 천문을 인간의 코로 해석하는 이도 있음.(하상공) 이것은 명상에 의하여 신비스러운 경지에 몰입할 때의 호흡조절과 관련된 해석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는 어딘가 밀교적인 부위기가 감돌고 있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 노자서가 지니고 있는 신비주의적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위와 같은 해석도 나옴직하다고 본다.
현덕 : 불가사의한 덕, 그윽하고 오묘한 힘.
해
인간의 혼과 백은 하나가 될 때 심신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을 한점에 집중시킬 때 기가 흩어지지 않고 도의 품성인 부드러움을 이루어 능히 갓난아기처럼 때묻지 않고 순수한 상태가 될 것이다. 이런 경지에 서서 마음의 눈으로 자신을 뒤돌아 본다면 아무 잘못도 없을 것이다. 이런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암컷처럼 유순하게 자연의 법칙에 쫓는 것 만으로도 세상은 태평하게 다스려 질 것이다. 그러한 다스림은 신비하고 그윽한 은덕과도 같다.
천지의 신비스러운 덕은 만물을 생성케 하면서도 그것을 소유하거나 자신의 공으로 자처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