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五章 (노자 - 도덕경 : 제5장)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天地之間, 其猶倬葯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多言數窮, 不如守中.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허이불굴, 동이유출, 다언삭궁 불여수중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다섯째 장
직역
하늘과 땅은 어질지 않아서 온갖 것을 풀 강아지처럼 할뿐이다. 성스러운 사람은 어질지 않아서 백가지 성의 사람들을 풀 강아지처럼 할뿐이다.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 같고 대피리 같도다. 비어 있는 데 구부러지지 아니하고, 움직일 수록 더욱 나온다. 말이 많으면 자주 곤궁해진다. 그 속을 지키느니만 같지 못하다.
해석
사람은 하늘에 인격적인 신이 산다고 믿는다. 그래서 예로부터 하늘에는 상제가 산다고 믿었다. 그리고 하늘과 땅은 이 신에 의해서 다스려 진다고 믿었다. 이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있는 사상이다. 그리고 그 신은 선하고 어질다고 규정을 해 놓았다. 노자는 그 신의 존재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노자는 그것을 하늘과 땅이라고 표현을 한다. 이것은 다른 말로 自然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자연은 어질지 않은 것이다. 즉 누구의 사정을 봐주고, 그 이해에 따라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어질다는 것은 인간에게 축복을 내려 주는 신에게 해당하는 것이다. 즉 인간 본위의 사상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신이 있지만 그 신이 돼지를 위한 신이라면 그것은 인간에게 어진 신이 될 수가 없다. 그 신은 돼지를 위해서 인간을 사육할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은 인간뿐만 아니라 천지 만물을 공평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어질지 않은 것이다. 성인은 어질지 않은 사람이다. 즉 뭇 사람들을 똑같이 여길 뿐이다. 똑같이 대하고 그들 사이에 차별을 두지 않는 것이다.
친구라고 해서 편의를 봐주고, 싫어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불이익을 가하지 않는다. 그에게는 모든 사람이 동포가 되는 것이다.
하늘과 땅 사이를 보라. 그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비어 있음이 있다. 하늘과 땅 사이가 가득 차 있다면 그곳에서 무엇이 나오겠는가. 컵에 물을 가득 채우면 더 이상 채울 수 없는 것이다. 컵이 비어 있기 때문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만물은 비어 있음에 의지해서 만들어진다.
말이 많으면 자주 궁해진다는 것은, 착간이라고 보여진다. 즉 옛날에는 글자를 대나무에 썼었다. 따라서 그 중 한 대나무가 앞에 끼어진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 말은 침묵하라는 말이다. 그리고 필요한 말 이외에 떠벌리는 말은 자신과 남을 피곤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5.
[하늘과 땅이 어질지 않아서 이 세상 만물을 추구로 보는구나. 성인이 어질지 않아서 이 세상 백성을 하찮은 존재로 보는구나.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와 같은 것인가? 그 속은 텅비어 있지만 힘이 다하는 일없고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그 힘은 더욱 더 나온다. 말은 많이 할수록 통하지 않게 되니 마음속에 간직해 두는 것만 못하다.]
주
추구 : 추는 마른 풀잎. 그리고 하상공 주와 왕필주에서는 추는 가축 사료. 구는 식용 동물로 해석하였다. 어느 쪽도 다 천지는 만물에 대하여 비정하여 무관심함을 강조한 말임.
탁약 : 풀무, 대장간에서 사용하는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임.
중 : 마음속을 의미함.
해
이 장도 난해하므로 옛날부터 주해에 여러 설이 있다. 그럼으로 번역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체로 노자가 당시에 백성들이 위정자의 학정에 시달림을 받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며 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천지 사이는 풀무 속의 바람과 같다. 비었으나 그 힘은 무궁무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천지의 법칙은 임금이 백성들을 건져내는 방책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이와는 딴판인 것이다. 노자는 자신의 도가 세상에 용납되지 못함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교설을 말해 보아야 통하지 않으므로 말이 많으면 이수가 막힌다고 표현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