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나면 죽고, 죽으면 태어난다 - 송지영 역
붙잡힌 신귀 - 외물
송원공이 한밤중에 꿈을 꾸었는데, 머리를 푼 사람이 아문을 엿보며 말했다. "나는 재로의 못에서 왔소. 나는 청강*을 위해 하백이 있는 곳으로 심부름을 가던 중이었는데, 고기잡이 여저가 나를 잡았소." 원공이 잠에서 깨어 사람을 시켜 점을 쳤더니 점쟁이가 말했다. "이는 신귀입니다." 원공이 물었다. "고기잡이 중에 여저란 자가 있느냐?" "있습니다." 원공이 말했다. "여저를 조회에 들게 해라." 다음날 여저가 조회하자 원공이 물었다. "어떤 고기를 잡았느냐?" 여저가 대답했다. "제 그물에 흰 거북이 잡혔는데, 그 둘레가 다섯 자였습니다." 원공이 말했다. "너의 거북을 바쳐라." 거북이 도착하자 원공은 이를 죽일 것인가 살릴 것인가 망설이다가 마음에 의심이 생겨 점을 쳤다. 점괘는 이러했다. "거북을 죽여 그것으로 점을 치면 좋다." 이에 거북을 도려내 72번을 점쳤으나 틀린 괘가 없었다. 중니는 말했다. "신귀는 능히 원공의 꿈에까지 나타날 수 있었으나 여저의 그물을 피하지 못했고, 그 지혜는 능히 72번을 찔러 틀린 괘가 없었으나 창자를 도려내는 환을 피하지 못했다. 이처럼 지혜도 궁한 곳이 있고, 신도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다. 비록 높은 지혜가 있다 하더라도 만사람이 도모할 수가 있다. 고기는 그물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다새*를 두려워한다. 작은 지혜를 버려야 큰 지혜가 생겨나며, 착한 것을 버려야 착해질 수 있다. 갓난아이가 스승 없이도 능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말할 줄 아는 사람과 함께 있기 때문이다."
* 청강 : 양자강의 신. * 사다새 : 물고기를 잡아먹는 큰 물새로 '펠리컨'이라고 한다.
************************************************************************************
어느 날, 송원공은 밤에 이상한 꿈을 꾸었다. 머리를 풀어헤친 한 남자가 내전 뒷문에서 안을 들여다보며 원공에게 이렇게 호소하는 꿈이었다.
"나는 재로라는 못에서 왔소. 청강의 사자로서 황하신에게 가던 도중 여저라는 어부에게 붙잡히고 말았소."
원공이 이 꿈을 해몽하도록 시켰더니 그것을 신통력을 가진 거북이라는 점괘가 나왔다. 원공이 물었다.
"어부 가운데 여저란 자가 있느냐?" "있습니다." "그를 데려오도록 해라."
이튿날 여저가 조정에 들어오자 원공은 곧 그를 불러 물었다.
"요즘 이상한 고기를 잡은 일이 업느냐?" "있습니다. 흰 거북을 산채로 잡았사온데, 직경이 다섯 자나 됩니다."
원공은 여저에게 그 거북을 바치도록 명령했다. 이윽고 거북을 본 원공은 그것을 살려줄 것인지 죽일 것인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다시 점을 치도록 했다.
"거북을 죽여 그것으로 점을 치는 데 쓰면 좋다."
원공은 그 점괘에 따라 거북을 죽여 껍질을 벗겼다. 그리고 그 껍질로 72번이나 점을 쳤으나 단 한번도 틀린 일이 없었다. 이 이야기를 전해들은 중니는 이렇게 말했다.
"그 거북은 원공의 꿈에 나타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면서도 어부의 그물을 피하지는 못했다. 또 72번이나 점을 쳐서 한 번도 틀린 일이 없을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껍질을 벗기는 화를 면하지는 못했다. 이처럼 아무리 아는 게 많아도 때로는 궁지에 빠지는 수가 있고, 아무리 신통력을 가졌어도 그것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아무리 투철한 지혜와 능력을 가진 것이라도 많은 사람의 지혜와 힘 앞에는 견뎌내지를 못한다. 고기는 물새에게 잡아먹힐까봐 두려워할 뿐, 어부의 그물을 경계하지는 않는다. 작은 지혜란 이런 것이다. 인간도 작은 지혜를 버리고 나서야 큰 지혜를 얻게 되며, 착한 일을 하려는 노력을 버려야만 착해지게 된다. 갓난아이는 특별히 말을 가르쳐주는 스승이 없어도 말을 배운다. 이렇게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알게 되는 것이야말로 완전한 앎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