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나면 죽고, 죽으면 태어난다 - 송지영 역
명포정 - 양생주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갈랐다. 손을 놀리고 어깨로 받치며, 발로 밟고 무릎을 굽힐 때마다 칼질하는 소리가 싹싹 혹은 쓱쓱 울려퍼져 음악적인 가락을 이루었다. 그것은 상림의 춤*과도 같고, 경수의 장단*을 연상케도 했다. 문혜군이 경탄했다.
"오오, 잘도 한다. 제주가 여기까지 미칠 수 있단 말이냐!" 포정이 칼을 놓고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로서, 재주보다 훌륭한 것입니다. 처음에 제가 소를 잡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습니다. 3년 뒤에는 소의 온전한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오직 마음으로 일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각 기관은 그칠 줄을 알고 마음은 움직이려 합니다. 자연의 섭리를 따라 큰 틈을 벌리고 크게 비어 있는 곳으로 들어가는 것은 본래의 구조에 따르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뼈와 힘줄이 엉켜 있는 곳을 가르는 일에 실수가 없었습니다. 하물며 커다란 뼈다귀가 문제되겠습니까? 능숙한 백정이 해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날이 무뎌지기 때문이며, 일반 백정이 매달 칼을 바꾸는 것은 날이 부러지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가 지닌 칼은 19년 동안 수천 마리의 소를 갈랐지만 칼날은 새로 숫돌에 간 듯합니다. 소의 마디는 사이가 있지만 칼날은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이 빈틈으로 들어가 여유있게 그 칼날을 놀리기 때문에 19년이나 사용했지만 숫돌에 방금 간 듯합니다. 그러자 오직 한 군데, 뼈와 힘줄이 엉켜 있는 곳에 다다르면 그것이 힘든 일인 줄 알기 때문에 크게 조심하여, 눈은 한 곳을 응시하고, 칼질은 더뎌져서 칼놀림이 대단히 미묘해집니다. 흙이 땅에 떨어지듯 뼈와 살이 떨어져 자연스럽게 일이 끝나면 칼을 들고 일어서서 사방을 둘러보고, 잠시 주저하다가 이내 흐뭇해져서 칼을 닦아 넣어둡니다."
문혜군이 말했다.
"훌륭하다.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의 도를 얻었다."
******************************************************************************
언젠가 소를 잘 잡기로 유명한 포정이 문혜군 앞에서 소를 한 마리 잡아 보였다. 포정이 소 몸뚱이에 손을 대고 어깨에 힘을 주며 발의 위치를 정하고 무릎으로 소를 누르는 순간, 고기가 뼈에서 떨어져 나왔다. 보기좋게 돌아가는 칼놀림은 가락을 타는 것이 마치 상림의 춤을 보고 경수의 장단을 듣는 것 같았다. 문혜군은 감탄의 소리를 질렀다.
"과연 훌륭하구나! 참으로 귀신같은 솜씨다." 포정은 왕의 칭찬을 듣자 칼을 놓고 말했다. "방금 보신 것은 솜씨가 아닙니다. 솜씨의 극치로서 도라고 해야 마땅합니다. 이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이 눈에 보였습니다. 3년이 지나는 동안 겉모습은 사라지고 뼈와 힘줄이 보이게끔 되었습니다. 이제는 육안에 의지하는 일없이 마음으로 소를 대할 뿐입니다. 소를 대하면 우선 감각의 활동이 그치고 마음만이 활발히 움직입니다. 그 다음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소의 몸뚱이에 갖추어져 있는 틈바구니를 끊어서 벌리고 들어가기 때문에, 큰 뼈는 물론이고 힘줄과 살이 뼈와 서로 맞붙어 있는 부분에서도 칼날이 부딪히는 일이 없습니다. 보통 백정들은 한 달에 한 번씩 칼을 바꾸고, 솜씨꾼이라도 1년에 한 번은 바꿔야 합니다. 뼈에 부딪혀 부러지기도 하고, 오래 사용하면 날이 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칼은 19년이나 쓴 것입니다. 벌써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아직 새것 같습니다. 뼈마디에는 틈이 있으나 칼날에는 두께가 없기 때문입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틈에 집어넣는 것이므로 아무리 써도 날이 상하는 법이 없습니다. 그러나 힘줄과 뼈가 맞붙어 있는 마지막 어려운 곳에 가 닿으면 그때는 긴장하게 됩니다. 눈은 한 곳에 멈추고 동작은 점점 늦춰져서 저 자신도 칼을 움직이는지 알지 못할 정도입니다. 이윽고 철퍽 하는 소리와 함께 살 전체가 흙덩이처럼 뼈에서 떨어져 나오면 그때서야 긴장이 풀어집니다. 칼을 들고 일어나 주위를 둘려보면 뿌듯한 충만감이 마음에 가득 차 잠시 그 자리를 떠날 수가 없습니다. 이윽고 냉정을 되찾은 다음, 저는 정성들여 칼을 닦아서 칼집에 넣어둡니다."
문혜군은 감동하여 말했다.
"그대의 말을 듣고 나는 양생의 도를 깨달았다."
* 포정: 흔히 '백정'이란 말로 쓰이지만 원래 포는 고기를 저장해두는 창고나 고기를 다루는 요리사를 뜻했다. 또 정은 사람의 성이니, '칼잡이 정 서방' 정도의 뜻이다. * 문혜군: 전국 시대 양나라의 혜왕을 가리킨다. * 상림의 춤: 은나라 탕왕이 비를 빌 때 연주한 무곡. * 경수의 장단: 요임금이 작곡한 무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