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나면 죽고, 죽으면 태어난다 - 송지영 역
만물 제동 - 제물론
만물은 저것이 아닌 것이 없고, 이것이 아닌 것이 없다. 저편에서 보면 보이지 않으나 자기가 보면 안다. 이것이 '저것은 이것에서 나오고, 이것은 또 저것에 기인한다.'는 피시방생설이다. 그러나 태어난 것은 죽게 되고, 죽는 것은 태어나게 된다. 가능한 것은 불가능하게 되고, 불가능한 것은 가능하게 된다. 옳은 것에 의지한다는 것이 그른 것에 의지하게 되고, 그른 것에 의지한다는 것이 옳은 것에 의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의지함이 없이 하늘에 비추어본다. 이러한 것도 역시 의지하는 것이나, 이것은 또한 저것이요, 저것은 또한 이것이 되는 경지다. 마찬가지로 저것은 옳기도 하고 그르기도 하며, 이것 또한 옳기도 하고 그르기도 하다. 그러나 과연 저것과 이것이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저것과 이것은 없는 것일까? 저것과 이것의 짝이 없는 경지를 도주*라 한다. 지도리는 고리의 한가운데에 걸려 무한히 회전하게 된다. 옳은 것도 무궁의 일부분에 불과하고, 그른 것 또한 무궁의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밝은 지혜'에 따르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다.'고 한 것이다.
손가락으로써 손가락이 손가락이 아니라고 깨우치는 것은, 손가락을 초월하여 손가락이 손가락이 아님을 깨우치는 것만 못하다.* 말로써 말이 말이 아님을 깨우치는 것은, 말을 초월하여 말이 말이 아니라고 깨우치는 것만 못하다. 천지는 손가락 하나요, 만물은 한 마리의 말이다. 가한 것을 가하다 하고, 가하지 않은 것을 가하지 않다고 한다. 도는 움직임으로써 이루어지고, 만물은 이름을 붙임으로써 그렇다고 한다. 무엇을 그렇다고 하는가? 남들이 그렇다고 하는 것을 그렇다고 한다. 무엇을 그렇지 않다고 하는가? 남들이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을 그렇지 않다고 한다. 만물에는 본디 그렇다고 긍정할 것이 없고, 만물에는 본디 옳다고 인정할 것이 없다. 또한 만물에는 그렇지 않다고 부정할 것이 없고, 만물에는 옳지 않다고 부정할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 풀잎과 기둥, 문둥이와 서시*를 든다. 야릇하고 괴상한 것도 도의 입장에서는 하나가 된다. 나누어지는 것이 곧 이루어지는 것이요, 이루어지는 것은 곧 허물어지는 것이다. 무릇 만물은 이루어짐도 허물어짐도 없이 통틀어 하나가 된다. 오직 도에 통달한 사람만이 만물이 결국 하나임을 안다. 도에 통한 사람은 구별을 하지 않고 이것을 떳떳함에 맡긴다. 떳떳함은 쓰는 것이요, 쓰는 것은 통하는 것이요, 통하는 것은 얻는 것이다. 얻음이 있어야만 도에 접근한다. 도에 따를 뿐이다. 이미 그러하고도 그러한 것을 알지 못하는 경지를 도라 이른다.
******************************************************************************
모든 존재는 저것과 이것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저것 쪽에서 보면 이것은 저것이 되고, 저것은 이것이 된다. 즉 저것은 이것이라는 개념과의 비교 대립에서 비로소 성립되고, 이것은 저것이라는 개념과의 비교 대립에서 비로소 성립된다. 그러나 상대적인 것은 저것과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삶과 죽음,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옳은 것과 그른 것 등의 관계도 이와 마찬가지다. 모든 사물은 서로 의존하는 동시에 서로 배척한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것이냐 저것이냐에 속박됨이 없이 생성 변화하는 자연에 순응할 뿐이다. 이것 또한 어떤 입장에 근거한 판단임에 틀림없으나 이 입장에서 보면 이것과 저것은 상대적이 아니며, 양자는 동시에 옳기도 하고 그르기도 한다. 즉 양자의 구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같이 하여 나와 다른 것의 대립을 해소시키면 개별적인 존재를 초월하여 도추의 경지에 이른다. 도를 체득한 사람은 문짝의 지도리가 고리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끝없이 변화하면서 그 무궁한 변화에 대응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 도추의 경지에 이르면 옳고 그른 것의 대립이 해소된다. 밝은 지혜에 따른다는 것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손가락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말이 존재로서의 손가락과 일치하지 않는다 하고, 말이라는 개념을 분석하여 그 말이 존재로서의 말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논증한 사람이 있다. 만일 이들 궤변론자들이 이러한 논리로 우리들의 인식 능력이 불완전함을 강조하려 한다면, 그 방법은 오히려 잘못된 것이다. 개체를 초월하면 손가락이라는 존재는 손가락이면서 손가락이 아니고, 말이라는 존재는 말이면서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상대성을 초월한 도의 입장에서 본다면, 손가락 하나도 천지라 할 수 있고, 말 한 마리도 만물이라고 할 수 있다.
말에 있어서는 옳고 그름의 구별이 명확하다. 도는 무한히 변화함으로써 완전한 존재가 되지만, 그것이 나타난 하나하나의 사물에 대해서는 그 각각에 해당되는 말이 필요하다. 즉 그런 것은 '그렇다', 아닌 것은 '아니다'라고 하듯이 그 뜻이 확실히 정해져 있지 않으면 말이 성립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말의 표현 대상인 사물은 원래가 개별적이 동시에 보편적인 존재다. 따라서 풀잎과 기둥, 문둥병자와 미녀 서시를 예로 든다면, 전자는 그 크기에, 후자는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해 각각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역시 동일한 것이다. 또한 아무리 상상을 벗어난 기괴한 사물이라 하더라도 도의 견지에서는 모두가 동일한 것이다. 형식뿐만이 아니라 운동에 있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일면 파괴로 보이는 현상도 다른 면에서 보면 완성일 수 있고, 반대로 완성이 곧 파괴일 수도 있다. 즉 일체의 존재는 형식과 운동을 막론하고 어떠한 구별도 없는 것이다. 이 만물제동의 이치를 체득한 사람은 사물을 선택하는 입장이 아니라 사물을 떳떳함, 즉 자연의 형상에 맡길 뿐이다. 떳떳하다는 뜻의 용은 쓴다는 뜻의 용과도 통하고, 이것은 다시 통한다는 통과 통한다. 자연의 작용에는 무리함이 없다. 통은 또 얻는다는 득과 통한다. 무리가 없는 작용을 통해서만 사물은 존재로서의 의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일체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경지에 도달했을 때 우리의 인식은 만유의 실상에 가까워졌다고 할 수 있다. 도와의 일체화란 자연에 맡기려는 의식마저도 없는 상태를 이르는 것이다.
* 도추: 추는 문짝이 열리고 닫히고 하는 지도리로서, 문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도추는 도의 요체란 뜻이 된다. * 손가락으로써.... 못하다: 이 대목은 공손용 파의 논리학자들이 주장한 '지물론'과 '백마비마론'을 가리킨 듯하다. 공손용은 '백마론'에서 만물의 같고 다름은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하였다. 또 '지물론'에서는 이르는 것과 실상과의 관계를 취급하여, 이름은 거짓 가리킴으로 실상과 반드시 합치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 서시: 춘추 시대 월나라의 미녀로서 오왕에게 바쳐졌는데, 오왕은 서시의 아름다움에 혹하여 나라를 망치고 말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