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나면 죽고, 죽으면 태어난다 - 송지영 역
무하유지향 - 소요유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내게 큰 나무가 있는데, 사람들은 이를 가죽나무*라고 부르네. 그것의 큰 둥치는 울퉁불퉁해서 먹줄을 칠 수가 없고, 작은 가지는 뒤틀리고 굽어서 자를 댈 수가 없기에 길가에 있어도 목수가 돌아보지 않네, 지금 자네의 말은 크지만 쓸모가 없어서 사람들이 듣지 않는 것이네."
장자가 말했다.
"자네는 살쾡이를 보지 못했나? 몸을 낮추고 엎드려서, 뛰노는 놈을 기다리네. 그렇게 동으로 서로 뛰어다니며 높고 낮은 것을 피하지 않다가 덫과 그물에 걸려 죽게 되지. 들소는 그 크기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으나, 몸이 크다뿐이지 쥐도 잡지 못하네, 지금 자네가 큰 나무를 가지고 그 쓸모없음을 걱정하고 있는데, 어째서 무하유지향*의 광막한 들판에 심어두고, 이리저리 그 근처에서 소요하다가 그 밑에 누워 쉴 생각을 못하는가? 일찍 도끼에 넘어가지 않고, 아무것도 해를 끼칠 것이 없네. 무용하다는 게 어찌 괴로운 것이겠나?"
******************************************************************************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내가 사는 곳에 엄청나게 큰 나무가 있네. 사람들은 그 나무를 보고 가죽나무라 하더군. 나무 둥치가 옹이투성이라서 먹줄조차 댈 수가 없고, 가지는 꾸불꾸불해서 자로 잴 수조차 없는 형편이네, 그 때문에 길가에 서 있어도 목수들이 거들떠보지를 않네. 자네의 논의도 말은 그럴 듯하지만 결국은 그 나무와 다를 바가 없네. 세상 사람들이 상대할 턱이 있겠나?" "그럼 살쾡이는 어떤가?"하고 장자는 받아넘겼다. "살쾡이는 가만히 몸을 숨기고 먹을 것을 노리다가 단숨에 확 달려드네, 어떤 곳에서라도 날쌔게 뛰어 돌아다니지. 그러나 그것이 화근이 되어 결국은 덫이나 그물에 걸려 죽게 되네. 그것에 비하면 들소는 마치 하늘을 덮은 검은 구름처럼 엄청나게 큰 몸집을 갖고 있지만, 생쥐 한 마리 잡을 능력도 없네. 그러나 무능한 것 때문에 죽지 않고 살게 되지. 자네가 그런 큰 나무를 두고 쓸모없다고 걱정할 건 없네. 무하유의 고을 넓은 벌판에다 심어두고 유유히 그 옆을 거닐며, 편안히 그 나무 그늘에서 쉬면 좋지 않겠나? 세상 사람에게 소용이 닿지 않으니 톱질을 받아 넘어질 염려도 없고 가지를 잘릴 걱정도 없네. 소용이 없다고 해서 고민할 까닭은 조금도 없는 것일세."
*가죽나무: 혹은 개똥나무라고도 한다. 잎사귀에선 냄새가 나고, 줄기와 가지는 아무데도 쓸 수 없다. * 무하유지향: 무하유는 '아무 것도 있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아무 것도 없이 텅 빈 허무를 말한다. 이처럼 우의적이고 역설적인 명사를 지어내는 것은 장자가 즐겨 쓰는 방법이다. 이때부터 후세 사람들은 속세 밖의 이상향을 가리켜 '무하유의 고을'이라고 불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