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人事天莫若嗇, 夫唯嗇, 是以早服, 早服, 謂之重積德, 重積德, 則無不克, 無不克, 則莫知其極, 莫知其極, 可以有國, 有國之母, 可以長久, 是謂深根固저, 長生久視之道.
치인사천, 막약색, 부유색, 시이조복, 조복, 위지중적덕, 중적덕, 즉무불극, 무불극, 즉막지기극, 막지기극, 가이유국, 유국지모, 가이장구, 시위심근고저, 장생구시지도.
|
쉰 아홉째 장
직역 다시할 것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데는 아낌 같은 것이 없다. 무릇 오직 아낄줄 아는 것을 일컬어 일찍 회복되는 것이라 한다. 일찍 회복되는 것 그것을 일컬어 덕을 거듭 쌓는다고 한다. 덕을 거듭 쌓으면 곧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없고,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없으면 즉 그 끝을 알지 못한다. 그 끝을 알지 못하면 나라를 얻을 수 있다. 나라를 얻은 그 어미는 넓고 오래가는 것이니,이것을 일컬어 뿌리가 깊고 단단하고, 오래 살고 오래 보는 도라 한다.
해석
이장은 개벽장이다. 개벽전사 원의 도움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아낌이라는 것은 樸散則爲器를 일컷는 것이다. 그런데 노자는 왜 다함을 알지 못하면 나라를 얻는다고 했을까. 이것에 대해서 개벽전사는 그 당시 사람들이 나라를 얻으려고 했기 때문에 방편으로 제시했다고 말했다. 즉 나라라는 그들의 꿈을 내세워 자신의 방법을 행하게 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덕을 쌓는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베푼다. 그것이 점점 퍼져 나가면 나라가 스스로 복속해 들어온다는 것이다. 그 나라를 얻는 근본은 바로 덕이다. 이 덕이야 말로 오래 살고 오래가는 도이다. 이 덕의 실천은 아낌이다.
|
59.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일에는 농부처럼 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 농부는 자연의 섭리를 알고 그것에 일찍 복종할 줄 아는 사람이다. 자연의 섭리에 일찍 복종하는 것은 덕을 계속해서 쌓아 나가는 일이 된다. 덕을 계속해서 쌓아 나가면, 이기지 못할 일이 없다. 이기지 못할 일이 없으면, 그 도는 무궁무진한 것이 된다. 도가 무궁무진하게 되면, 나라를 차지할 수 있다. 나라의 근본을 차지하면, 그 나라는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뿌리가 깊고 튼튼한 것은 오랫동안 살아 나갈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주
색: 농부, 인색, 검소 등으로 풀이하는 학자도 있음. 조복: 일찍 자연의 섭리를 깨닫고 그것에 '복종'한다는 뜻임. 모: 나라를 유지하기 위한 근본 즉 도를 지칭한 것임. 장생구시: 생명을 오래 오래 유지하는 것을 말함. 적덕: 덕을 계속 쌓는 것. 덕을 계속 쌓아 나가면, 이기지 못할 일이 없다. 주역 곤괘의 문언 전에는 착한 일을 거듭 쌓아 가는 집안에는 반드시 자손 대에 이르기까지 경사가 있게 되고, 악한 일을 계속 쌓아 가는 집안에는 반드시 자손 대에 이르기까지 재앙이 내리게 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표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의미상으로는 거의 같은 말인 것이다.
해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일에 농사짓는 일처럼 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 농부는 자연의 섭리에 일찍이 순종하며, 그것에 의하여 농업을 영위할 뿐이다. 때에 맞추어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며 결실기에는 거두어들인다. 이 모든 일은 햇빛과 토양과 강우량과 온도 등 자연의 혜택이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농부는 열심히 땀흘려 일하나 그 성패의 결과는 자연의 섭리에 맡길 수밖에 없다. 인간 능력의 한계를 잘 알고 있는 그는 분수에 넘치는 일을 결코 하지 않는다. 일찌감치 자연의 이법에 복종하며 그것을 공경할 줄 아는 그는 그와 같은 경건한 자세를 통하여 남모르게 덕을 쌓아 나가는 것이다. 덕을 쌓아 나가는 사람에게는 경쟁자나 적대자가 있을 수 없다. 도와 덕을 지닌 이에게 천하 만민은 즐겨 복종하게 된다. 그는 나라를 가질 수도 있다. 뿌리깊은 나무가 쉽사리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것처럼 무위자연의 도로 나라의 근본을 삼으면, 그 나라는 오랫동안 번영할 수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