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人多伎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
이정치국, 이기용병, 이무사취천하, 오하이지기연재, 이차, 천하다기휘, 이민미빈, 민다리기, 국가자혼, 인다기교, 기물자기, 법령자창, 도적다유, 고성인운, 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 아무사이민자부, 아무욕이민자박.
|
쉰 일곱째 장
바름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기이함으로 병사를 사용하라. 천하를 취할때는 일 없음으로 하라. 내 어찌 그것이 그러함을 알겠는가. 이 것일 따름이다. 하늘 아래 꺼리고 피할 것이 많으면 백성들이 가난해 지고, 백성들에게 이로운 기물이 많으면 많을수록 나라가 혼미해지고, 사람이 기교가 많으면 많을수록 기이한 물건들이 점점 생겨나고, 법령이 많으면 많을수록 도적이 많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이 말하기를 나가 함이 없음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변하게 하고, 나가 고요하니 백성들이 스스로 곧아지고, 내가 일이 없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부유해진다. 내가 욕망이 없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통나무가 된다.
해석
정법은 무엇이고 기법은 무엇인가. 정법은 활짝 펼쳐놓고 하는 행위다. 드러나 있을수록 깨끗하고 당당한 것이다. 기이함이란 무엇인가. 상식에서 어긋나는 일이다. 그리고 알 수 없는 것이다. 무력을 쓸 때는 그 파장을 최소화 해야한다. 전쟁을 해도 백성들이 전쟁을 하는 지도 모르게 해야 한다. 백성들이 전쟁을 하는지도 모르는 전쟁은 딱 하나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다. 병사를 움직이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법으로 하라고 한 것이다. 무력을 먼저 쓰는 것은 자신이 정도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상식에서 어긋나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이하게 하라는 것이다. 적이 싸움을 먼저 걸어와 피하지 못한다 하여도 그것이 정법이라고는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무사라는 것은 천하를 취하기 위해서 발버둥 치지 말라는 것이다. 천하를 취할때는 아무일이 없어야 한다. 자연스럽게 천하가 굴러들어와야한다. 무력으로 천하를 장악하려 하지마라. 바퀴 벌래가 싱크대위에서 깔깔거리는 것과 똑 같을 뿐이다.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는데 규제가 심하다. 정권이 무서워서 밖으로 나다니기도 힘이들다. 그럼 당연히 백성은 가난해 진다. 일을 하지 못하는데 부유해질 턱이 있는가.
하나를 가지고 있으면 두 개를 가지고 싶어한다. 나보다 좋은 것을 가진 사람의 것을 빼앗으려고 한다. 백성들이 각기 이로운 것을 가지고 있으면 서로 빼았으려고 한다. 그것이 사람의 욕심이다. 기술이 발달해서 우리는 무수히 많은 물건들을 만들어 놓았다. 이제는 이러한 물건들이 사람을 헷갈리게한다. 사람이 보이지 않고 옷이 보인다. 차가 보인다. 차가 그 사람을 대변한다.
법은 무엇인가. 서로간에 믿지 못하는 불신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서로간의 신뢰가 무너져서 나온 것이 아닌가. 인간의 정이 메말라가면서 더욱 발전한 것이 법이다. 법령이 많다는 것은 그많큼 범죄가 많다는 것이다. 법령이 많아져서 범죄가 생긴 것이 아니다. 법령을 많이 만들어야 안심을 하는 우리들의 마음이 법을, 범죄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법은 불안에서 나온다.
강제로 사람을 규정하지 않는다. 스스로 규제하게 만든다. 물은 길을 일러주지 않아도 대해로 들어가는 길을 알고 있다. 사람만이 길을 알려주어도 그 길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누구나 이런 말을 할 수 있다. 법이 범죄를 만든다고? 그럼 지금 법을 없애면 범죄도 없어지겠네. 당신 말이야 법이 없어진 사회를 생각할 수 있어. 곳곳에서 범죄가 일어날 걸, 아마 그 첫 희생자가 당신이 될 지 누가 알아. 그래서 노자는 말한다. 나는 무욕할 뿐이다. 그거면 된다.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 생각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하든지간에 나만 무욕하면 된다. 다른 사람이 하기 때문에 나도 어쩔 수 없이 한다라고 핑계를 대지 마라. 그것은 자기 기만일 뿐이다. 나만 무욕하면 된다. 그렇게 그렇게 하면 모두들 원래의 순수상태로 돌아간다. 나만 돌아가면 된다. 그때까지는 법과 용기가 필요하다. 홀로 길을 가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길이기 때문이다. 내일로 미루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내일로 미룰 시간이 없다.
|
57.
나라는 바른 도로 다스리고, 전쟁은 임기응변의 기계로 해야 하지만, 천하는 일없는 것으로 차지해야 한다. 내가 어떻게 그렇다는 것을 아는가. 바로 다음에 열거하는 것으로 아는 것이다. 이 세상에 하지 말라는 것이 많으면 많을수록 백성들은 더욱 가난해지고, 백성들이 날카로운 무기를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나라는 더욱더 어지러워진다. 사람들이 기교가 많으면 많을수록 물건이 더 많이 나온다. 법령이 반포되면 반포될수록 도둑은 더욱더 늘어만 간다. 그러므로 성인은 말한다. 내가 행하는 일이 없으면 백성들은 저절로 감화되고, 내가 고요히 있는 것을 좋아하면 백성들은 저절로 바르게 될 것이며, 내가 꾀하는 일이 없으면 백성들은 저절로 넉넉해질 것이며, 내가 바라는 것이 없으면 백성들은 저절로 질박해질 것이다.
주
정: 바른 것, 바르게 하는 것. 기: 기이한 꾀, 속임수, 임기응변의 책략. 기휘: 꺼려서 피하는 일, 금기. 이기: 날카로운 무기. 기교: 교묘한 솜씨, 기교와 같음. 기물: 교묘한 솜씨로 만든 물건. 정: 고요하게 있으면서 움직이지 아니하는 것.
노자는 대도를 고요하게 마음을 비우고 작위 함이 없는 것으로 보고 그것에서 유출된 인생도 정허무위, 정허무욕해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노자의 본체관과 그것에서 연역된 그의 윤리관은 정지적인 것을 특성을 하고 있다. 정허를 강조하는 그의 철학은 후세의 송대의 철학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송대 성리학의 발단을 연 태극도 설에는 '성인은 만사를 정율하기 위하여 중정인의로써 천하 만민을 가르치는 데 고요함으로써 으뜸을 삼는다. 고요함으로 오성의 감동이 없고, 타고난 오성이 자신의 내부에 완전히 갖추어져 있으므로 이것을 인극이라고 한다. 성인은 이 인극에 선다.'고 하며 정을 근본으로 하는 윤리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주희 주정 금욕 사상도 노자의 정허무욕설에 근거를 두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박: 순박, 소박, 질박.
해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청정무위로 해야 하며, 전쟁에서는 임기응변의 책략으로써 해야 한다. 천하의 지배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위무사로써 임해야 할 것이다. 위정자가 무엇을 해보겠다고 나서면 자연히 백성의 생활은 위축되고 가난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집집마다 예리한 무기를 많이 비축하면 할수록 나라는 점점더 혼란에 빠진다. 성들의 기교가 발달되어 교묘한 솜씨로 만든 물건이 생겨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못된다. 그리고 나라의 법령이 정비될수록 백성의 간지도 늘게 되어 지능적인 범죄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 말을 강조한다. '내가 무엇을 하겠다고 나서는 일이 없으면, 백성은 저절로 바르게 되며, 내가 무사 무위하게 처신하면 백성의 살림은 저절로 넉넉해 지는 것이다. 내가 욕심이 없으면 백성들도 그것을 본받아 저절로 순박해진다. ' 노자의 이와 같은 냉소주의적 발언에는 시대의 아픔과 부조리한 정치에 대한 고발이 깔려 있다. 위정자들은 고통이나 참상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이기적 공명심과 탐욕에서 전쟁이나 거창한 사업 등을 떠벌리기를 좋아하였다. 백성들은 자연히 과중한 군사 복무와 세금과 부역 등으로 신음하게 되었다. 노자는 이 점이 안타까왔을 것이다. 그는 위정자에 대하여 제발 욕심 좀 버리고 백성을 이대로 내버려두라고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무사 무위가 최상의 정책임을 역설하는 그의 논조에는 시대의 고민이 담겨 있는 것이다. 모든 사상은 그 시대의 아들이다. 노자의 정치철학도 그 시대의 현실적 상황을 염두에 두어야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