含德之厚, 比於赤子, 蜂蠆虺蛇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謂之不道, 不道早已.
함덕지후, 비어적자, 봉채훼사불석, 맹수불거, 확조불박. 골약근유이악고. 미지빈모지합이전작, 정지지야. 종일호이불사, 화지지야. 지화왈상, 지상왈명. 익생왈상, 심사기왈강. 물장즉노. 위지부도. 부도조이
|
쉰 다섯째 장
직역
덕을 머금음이 두텁다는 것은 핏덩어리 아이와 같다. 벌과 전갈, 살모사, 뱀이 쏘지 못한다.맹수가 덤비지 못하고, 새가 움켜쥘려고 달려들지 못한다. 뼈가 약하고 근육이 부드러운데 잡으면 노치지 않고 수컷과 암컷의 합침을 알지 못하는데 완전히 이룬다. 정기가 지극한 것이다. 종일 토록 울어도 목이 쉬지 않으니, 조화로움이 지극한 것이다. 조화를 아는 것을 일컬어 항상됨이라고 하고, 항상됨을 아는 것을 일컬어 밝음이라한다. 삶에 덧붙이는 것을 상서롭다 한다. 마음이 기를 다스리는 것을 강하다 한다. 사물은 굳어지면 곧 늙으니 이것을 일컬어 도가 아니라한다. 도가 아니면 일찍 마친다.
해석
赤子는 갓 태어난 아기를 가리킨다. 덕을 머금음은 이 갓 태어난 아이 같이 해야 한다. 벌이나 뱀이 쏘고, 맹수가 덤비지 못하게 보호한다. 덕도 마찬가지 이다. 간난아이처럼 잘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 덕은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스스로 자라난다. 아이가 남녀의 성행위에 대해서 알지 못하지만 막상 닥치면 스스로 알아서 하는 것과 같다.
아이는 하루종일 운다. 그래도 목이 쉬지 않는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아이는 지치면 쉰다.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것이 조화다. 지치면 쉬고, 쉬고 나면 운다. 이렇게 할 줄아는 것을 늘 그러함이라고 하는 것이다. 조화를 알면 늘 울 수 있다. 활동할 수 있다.
삶에 덧붓이는 것을 상서롭다 한다. 이 부분에는 두가지 해석이 있다. 나의 해석과 개벽전사들의 해석을 따로 싣겠다. 나는 이 상을 안 좋은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삶에 더해간다. 아이는 살아가면서 더해간다. 즉 지식을 배워간다는 것이다. 그럼 이제는 조화를 잃어버린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때까지 목이 쉬도록 운다. 지식은 대상을 추구한다. 자신의 목이 쉬는지 쉬지 않는지 모른다. 쉴때도 운다. 그리고 이러한 욕망은 끝이 없다. 삶에 지식을 더해가면 조짐이 보인다. 그 조짐은 마음이 나타날 조짐이다. 의식이 분열 되어 간다. 아직 도에서 근원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다. 간난아이는 아직 마음이 없다. 감각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시비를 구별하고 좋고 나쁨을 구별하는 마음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완성되어 기를 다스리면 사람은 강해진다. 이제 마음이 기를 다스리게 된다. 자신의 몸을 이용해서 대상을 추구한다. 그리고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강해진다. 자연스러움을 버린다.
壯이란 힘을 쓴다는 말이다.사물은 힘을 쓰면 곧 늙어버린다. 이것은 도가 아니다.
개벽주- 개벽전사들은 마음이 기를 다스리는 것을 좋게 본다. 즉 멋대로 날뛰다 보면 자칮 몸이 망가질 수 있다. 기는 통제가 필요하다. 그리고 强자와 壯자가 글자가 다르다. 그 의미가 다른 것이다. 마음이 몸을 통제하면 수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강해 지는 것이다.
|
55.
덕을 깊이 간직한 사람을 비유한다면 어린아이 같아서 벌이라든가 전갈도 쏘지 못하고 독사도 물지 않으며, 맹수도 할퀴지 못하고 사나운 날짐승도 덮치지 못한다. 어린아이의 뼈는 약하고 근육도 부드럽지만 쥐는 힘이 억세다. 남녀의 교합하는 정을 알지 못하는 데도 생식기는 일어선다. 정기가 몸속에 꽉 찼기 때문이다. 온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으니 조화의 극치이다. 조화를 아는 것을 영구 불변이라 하며, 영구 불변의 진리를 아는 것을 밝게 살핀다고 한다. 작위 하여 생명을 연장하려는 것은 불길한 징조이며, 마음이 기를 거세게 부리는 것을 억세고 사나운 것이라고 한다. 만물은 기세가 너무 왕성하면 곧 쇠퇴하게 된다. 그런 것은 도가 아니며 도 아닌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주
함: 머금다, 지니다, 간직하다. 적자: 어린아이. 봉채: 벌과 전갈. 훼사: 이무기와 뱀. 석: 벌레가 쏘는 것. 확조: 독수리, 매 등의 사나운 새. 확은 후리치다, 움켜쥐다의 뜻임. 박: 후리치다 , 잡다, 두드리다. 전작: 전은 최 즉 어린아이의 생식기를 뜻하며 작은 일어난다의 뜻임. 애: 목이 쉬다. 화: 음양의 조화. 상: 상은 일반적으로 좋은 징조의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나쁜 징조 또는 불길한 징조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본문에서는 불길한 징조를 뜻함. 강: 억세고 사나운 것, 자연의 순리에 따르지 않는 인위적인 집착이나 폭력을 뜻함. 물장즉로: 만물은 기세가 왕성하게 되면 곧 쇠퇴하게 된다는 뜻임. 주역의 건괘상전에도 '절정에 도달한 용이다, 후회함이 있으리라, 가득 찬 것은 오래 지속될 수 없기 때문이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구양수는 추성부에 '만물은 절정기를 지나게 되면 마땅히 죽게 되는 것이다.'고 표현하고 있다. 모두 똑같은 발상인 것이다.
해
노자는 이 장에서 어린아이의 때묻지 않은 순수함을 도와 덕에 비유하여 칭송하고 있다. 그는 이미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그런 것을 오래 전에 잃어버린 우리들에게 자기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어린이는 욕심이 없다. 부드럽고 약하지만 싱싱한 생명력이 용솟음치고 있다. 남녀의 교합은 아직 모르고 있지만 그 생식기는 일어서고 있다. 온종일 울부짖어도 목이 쉬는 일이 없다. 그것은 생명의 정기가 몸속에 꽉 차 있기 때문이다. 조화의 극치이다. 이와 같은 조화를 아는 것을 영구 불변의 법칙이라 한다. 그리고 영구 불변의 법칙을 아는 것을 밝게 살핀다고 한다. 그러므로 어린아이의 무지 무욕을 본받지 못하고 부자연스러운 것은 부질없는 일일뿐 더러 불길한 징조이기도 하다. 그리고 마음의 기를 부려 거칠고 억세게 행동하는 것도 무위자연의 도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런 일이 오래 지속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모름지기 어린아이의 무지 무욕과 순진 무구함으로 돌아가 조화로운 도와 하나 될 때 참다운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어린아이의 지성 무욕을 도와 덕의 진수로 보는 노자의 독특한 발상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워즈워드의 시세계와 공감을 나누고 있다.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여라. 바라기는 내 생명의 나날들이여. 타고난 자비로서 맺어지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