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生入死.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 人之生, 動之死地, 亦十有三, 夫何故, 以其生生之厚. 蓋聞善攝生者, 陸行不遇시虎, 入軍不被甲兵,兕無所投其角, 虎無所措其爪, 兵無所容其刃. 夫何故, 以其無死地.
출생입사. 생지도십유삼, 사지도십유삼. 인지생, 동지사지, 역십유삼. 부하고, 이기생생지후. 개문선섭생자, 육행불우시호, 입군불피갑병, 시무소투기각, 호무소조기조, 병무소용기인. 부하고, 이기무사지.
|
쉰째 장
직역
나오는 것이 태어남이오, 들어가는 것이 죽음이다. 태어나는 무리는 열에 셋이고, 죽어가는 무리는 열에 셋이다. 사람이 태어나 죽음의 땅으로 움직이는 자 또한 열에 셋이다. 무슨 까닭인가. 그 삶을 살려고 살아가는 것이 너무 두텁기 때문이다. 대저 듣건데 삶을 잘 다스리는 자는, 땅을 다녀도 호랑이나 코뿔소를 만나지 않고, 군대에 들어가도 갑옷과 병기를 차지 않는다. 코뿔소가 그 뿔을 드러낼 바가 없고, 호랑이가 그 발톱을 내밀 곳이 없고, 병기가 그 칼날을 쓸 곳이 없다. 어째서 이런가. 그 죽음의 땅이 없기 때문이다.
해석
나오는 것이 태어남이다. 어디서 나오는 것이 태어남인가. 근원에서 나오는 것이 태어남이다. 그리고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죽음이다. 그 근원을 노자는 도라고 부른다. 그것을 어떻게 부르든지 상관은 없다. 이 근원에서 세무리가 나오면, 그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자들또한 세무리이다. 자연계는 형평성을 가지고 있다. 한곳이 넘치면 한곳이 부족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넘치는 곳의 물이 부족한 곳으로 흘러간다. 그래서 평형을 유지한다. 그리고 태어나서 삶을 살아가면서 죽음으로 향하는 자들또한 열에 셋이다. 결국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 죽음으로 치달아 간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은 생에 너무 집착하기 때문이다. 죽음을 두려워 한다. 그래서 생에 매달린다. 그리고 무언인가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남기고 싶어한다. 영구불변하는 이름을 남기고 싶어한다. 로마의 황제 네로는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남기고 싶어서 로마시에 불을 질렀다. 그리고 기독교인에게 죄명을 씌워서 무수한 사람들을 십자가에 매달았다. 그의 소원대로 그의 이름은 아직까지 기억되고 있다. 왜 이러한가. 그것은 죽음이 단지 돌아감임을 모르기 때문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생의 달콤함이 너무 깊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버릴 수 없다. 살아가면서 자신의 성벽을 쌓는다. 아주 두텁게 절대로 무너지지 않을것처럼 쌓는다. 그러나 죽음은 밖에서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그대의 내면에서 찾아오는 것이다. 성벽을 쌓아라. 그러나 죽음을 막지는 못할 것이다.
자 원문을 잘살펴 보아라. 열에 셋이 세 번나왔다. 그럼 아홉이다. 그럼 열 개중 한 개가 모자란다. 이 한 개는 무엇인가. 바로 섭생을 잘하는 자이다. 생을 다스릴주 아는 자이다. 그는 자신이 도에서 나와서 도로 들어가야 하는 것을 안다. 그에게 죽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단지 태어난 곳으로 돌아갈 뿐이라는 것을 안다. 그렇기 때문에 호랑이를 만나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갑옷을 걸쳐도 그것이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왜 그런가. 그에게 죽음이란 없기 때문이다. 단지 도로 돌아감만 있을 뿐이다. 집으로 돌아갈 뿐이기 때문이다. 그대는 여행자다. 도데체 어느 곳에 영원히 머무를 수 있겠는가.
|
50.
사는 곳으로 나가고 죽는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살 곳으로 가는 사람이 열 중 셋이요, 죽는 곳으로 가는 사람이 열중 셋이 된다. 그리고 삶에 집착하다가 도리어 죽을 곳으로 가는 사람이 또한 열중 셋은 된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생에 대한 애착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들으니 섭생을 잘하는 사람은 뭍에서는 들소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고, 싸움터에서는 죽거나 다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사람에게는 들소는 뿔로 찌르지 못하고, 호랑이는 발톱으로 할퀴지 못하며, 무기는 날을 대지 못한다고 한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에게는 죽을 곳이 없기 때문이다.
주
섭생: 생명을 기르고 유지하는 일, 양생과 같음. 시: 들소. 갑병: 갑옷과 무기, 병은 무기를 뜻함.
해
이 장에서 노자는 사람의 생사 문제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세상 사람중 오래 사는 사람이 열 사람중 세 사람 정도이고 사지로 가는 사람이 열 사람중 세 사람이며, 그리고 자기만은 꼭 살아야겠다고 집착하다가 도리어 죽을 길로 가는 사람이 열 사람중 세 사람은 된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이 세상 사람들이 너무 삶에 대한 집념이 강하기 때문에 도리어 죽음의 길에 빠져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람의 생명도 죽음도 다 하늘이 주신 것이며 명운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산 자는 반드시 죽게 마련이므로 이와 같은 순리에 몸을 맡겨 죽을 때가 되면 죽는 것이라는 의연한 자세를 견지할 수 있다면 그런 사람의 정신적으로는 생사를 초월한 것이 된다. 노자는 이 장에서 "섭생을 잘하는 이는... 들소는 뿔로 찌르지 못하고 호랑이는 발톱으로 할퀴지 못하며..." 하고 신비주의적 분위기가 감도는 말을 하고 있다. 그의 이와 같은 발상은 중국의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도교의 신선 사상과 양생 술로 발전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