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以爲天下貞. 其致之.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發. 神無以靈,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貴高, 將恐蹶,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後王, 自謂孤寡不穀,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故致數輿無輿,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석지득일자, 천득일이청, 지득일이녕, 신득일이령, 곡득일이영, 만물득일이생, 후왕득일이위천하정. 기치지. 천무이청, 장공렬. 지무이녕, 장공발. 신무이령, 장공헐. 곡무이영, 장공갈, 만물무이생, 장공멸. 후왕무이귀고, 장공궐, 고귀이천위본, 고이하위기, 시이후왕, 자위고과불곡. 차비이천위본사, 비호. 고치수예무예. 불욕록록여옥, 낙락여석.
- 위의 끝단의 록록의 록자는 '옥 록'자입니다.
|
서른 아홉째 장
직역
옛날에 하나를 얻었다는 것은 이렇다. 하늘은 하나를 얻어서 맑고 땅은 하나를 얻어서 편안하고, 신은 하나를 얻어서 영묘하고,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서 차고, 온갖 것은 하나를 얻어서 나고, 제후와 제왕은 하나를 얻어서 천하를 바르게 한다. 이것은 그것이(하나가) 도달한 것이다. 하늘이 하나로써 맑음이 없으면 장차 찢어질까 두렵다. 땅에 하나로써 편안함이 없으면 장차 쪼개질까 두렵다. 신이 하나로써 영묘하지 않으면 장차 가물까 두렵다. 골짜기가 하나로써 차 있지 않으면 장차 다할까 두렵다. 온갖 것이 나지 않으면 장차 멸망할까 두렵다. 제후와 제왕에 고귀함이 없다면 장차 실족할 까 두렵다. 그러므로 귀함은 천함을 근본으로 삼고, 높음은 낮음을 기초로 한다. 이런 까닭에 제후와 제왕은 스스로 일컬어 고독하고, 부족하고, 곡식이 부족하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천함을 뿌리고 삼는 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자주 가마를 타는 것은 가마를 안 타는 것만 못하다. (녹녹- 구슬의 모양. 적음을 비유한 말이다.)하여 옥석과 같기를 바라지 말고, 낙낙하여 보석 같기를 바라지 마라.
해석
得한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자신을 비운다는 것이다. 컵에 물이 차 있으면 더 이상 물을 담을 수 없다. 그 컵을 비워야 물을 채운다. 얻음은 줌이다. 내가 얻은 만큼 남에게 주어야 한다. 그대는 호흡을 관찰해 보아라. 그럼 들어온 만큼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컵을 비우지 않고 새 물을 채울 수 있겠는가. 얻음은 얻음과 동시에 줌이다. 두 가지는 다르지 않다. 줌이 바로 얻음이다. 자신을 비우고 하나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하나가 들어오는 순간 자신은 하나가 되는 것이다. 둘이 되면 하나가 아니다. 체득이 되어야 하나인 것이다.
其致之이 말은 깊이 생각을 해 보아야 한다. 하나가 도달했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하나는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하늘과 땅과 신은 하나가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 것이다. 하나는 기다리다 보면 어느새 자신과 같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하나는 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얻는 다는 것은 이미 대상이 있다는 것이다. 그때에는 두개가 존재한다. 나와 대상이 존재하는 것이다. 하나라는 것은 자연과 내가 합일이 된다는 것이다. 하나의 물방울이 바다를 가지기 위해서는 어찌해야 하는가. 바가지로 퍼담으면 되는가. 아니다 바다 속에 녹아 들어가야 한다. 그럼 자신이 바다와 하나가 된다. 그러나 취한 다는 것은 이슬방울이 바닷물을 바가지로 담아서 자신의 주머니에 집어넣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물이 하나 됨을 잃는다면, 자기를 고집 한다면 분열되고 짜개진다. 강물이 바닷가에 이르러 "나는 강물이다. 바닷물이 될 수 없다."고 하면서 발을 멈춘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산이 평야를 보고 자신이 높이 있다고 평야를 짤라 내면 어찌되는가. 하늘과 땅이 서로 자기의 영역을 챙기기 위해 분열된다면 이와 같이된다. 그것은 인간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노자는 자연이 하나가 안되는 것은 근심하지 않는다. 인간들이 서로 하나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자연의 비유를 들어 하나를 주장한 것이다.
하나의 생명체가 태어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다른 하나가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누군가는 죽어야 한다. 그래야 새 생명이 태어난다. 모두가 돌아가기를 거부한다면 생명체가 태어날 수가 없다. 세상은 질량 보존의 법칙에 의해서 질서 지워져 있다. 다른 개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개체가, 혹은 수십억개의 개체가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모두들 자신을 고집 한다면 생명체는 태어날 수 없다. 그러나 자신도 영원히 존재할 수는 없다.
제후와 제왕은 다스리는 백성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 백성들을 소유하고 마음대로 하려 해서는 안된다. 백성들과 제후 제왕이 떨어져 있으면 분열되고 점점 갈라진다. 제후와 제왕이 백성들과 하나가 되는 것은 매우 쉽다. 높은 산을 올라가기는 어렵지만 내려가기는 쉬운 것과 마찬가지이다. 모든 사람이 정상에 서려 하기 때문에 내려가는 것은 더욱 쉽다. 올라가기는 길에는 경쟁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어렵지만 누가 내려가고자 한다면 서로 길을 비켜 준다. 왜냐하면 한 명이 내려가면 자신이 그 만큼 올라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제후와 제왕은 스스로 다른 사람의 디딤돌이 되고자 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노자의 꿈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나의 꿈이기도 하다. 그러나 수천년이 지났지만 인류는 아직도 노자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노자는 아직도 꿈만 꾸고 있을 뿐이다. 노자를 깨우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다.
제후와 제왕은 모든 것을 나게 하고 편안하게 하는 존재이어야 한다. 그것은 일자가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제후와 제왕은 고귀해져야 한다. 고귀해 지기 위해서는 천해져야 한다. 그래서 왕은 자신을 일컬어 과인-부족한 사람-이라고 하는 것이다. 제후와 제왕은 자신이 왕이라는 것을 드러내지 마라. 옥과 보석처럼 알려지기를 바라지 마라. 일자와 같이하라.
|
39.
옛날에 오직 하나인 도를 얻은 것들로서, 하늘은 도를 얻어서 맑고, 땅은 도를 얻어서 안정되고, 신은 도를 얻어서 영험스럽고, 골짜기는 도를 얻어서 가득 차며, 만물은 도를 얻어서 생장하고, 임금은 도를 얻어서 세상을 바르게 다스린다. 이들을 그렇게 만든 것은 오직 하나인 도이다. 하늘을 맑게 해주는 도가 없으면 땅은 장차 무너지고 말 것이다. 신을 영험스럽게 해주는 도가 없으면 신의 영험스러움은 그치게 되고 말 것이다. 골짜기를 가득 채워 주는 도가 없으면 골짜기는 장차 마를 것이다. 만물을 생성케 하는 도가 없으면 만물은 장차 절멸하고 말 것이다. 임금을 바르게 다스리도록 해주는 도가 없으면 그는 장차 몰락하고 말 것이다.그러므로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하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밑바탕으로 한다. 그러므로 임금은 자신을 고니, 과니, 불곡이니 하며 낮추어 말한다. 이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정말 그렇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최고의 영예는 찬양 받지 않는 것이다. 성인은 사물을 구슬처럼 귀하게 돌처럼 천하게도 보고자 하지 않는다.
주
하나 : 하나는 도를 가리킨 말임. 도는 천지 만물의 생성과 소멸의 근원이며 그것과 필적하게나 비교될 대상이 없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절대성과 항존성을 지닌 형이상학적 실체이다. 도는 짝없이 독립해 있는 영구 불멸의 존재이기도 하다. 노자의 우주론은 도에 대한 일원론으로 일관되어 있다. 그의 세계관은 영국의 시인 윌리엄 브레이크의 그것과 비교해 봄직하다. '하나는 전부요, 전부는 하나이다.'(One is all, Allis one) 영: 영험한 것, 신성스러운 것. 정: 정과 뜻이 같으며 바르게 하는 것임. 고: 옛날 군주들의 일인칭임,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어 하는 말임. 외롭다는 말로 작은 나라의 임금을 뜻함. 과: 군주가 자신을 낮추어 말하는 일인칭임, 덕이 부족한 사람이란 뜻임. 불곡: 군주의 일인칭임, 덜 익은 곡식처럼 인격적으로 미숙하고 부족한 점이 많다는 뜻임. 녹록: 옥돌의 아름다운 모양을 형용한 말임, 녹록으로 기술한 파본도 있음. 낙락: 돌이 굴러 흩어진 모양, 낙락으로도 표기함.
해
노자의 철학 체계는 도일원론으로 일관되어 잇다. 도는 천지 만물의 시원이며 그것에 필적할 만한 것이 없는 유일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하나인 것이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므로 언제나 변함이 없으며(항존성), 어디에나 있다(편존성). 도는 우주만물을 다스리는 법칙이기도 하다. 태양과 지구의 운행, 동식물의 생장, 춘하추동의 교체, 신의 영험스러움은 다 도의 이법에서 나온 것이다. 만일 도의 이법이 없다면 태양과 지구가 제위치를 지키는 것도, 동식물이 나고 자라는 것도, 봄과 여름의 바뀜도, 신의 영험스러움도 존속할 수 없을 것이다. 만백성의 으뜸인 임금은 도의 이법을 다스림의 근본으로 해야 한다. 임금의 도의 이법에서 벗어나고자 하면 이밈 그의 몰락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귀한 것도 알고 보면 천한 것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밑바탕으로 해야만 능히 그 높이를 이룰 수 있다. 진실로 높은 것, 존귀한 것은 언제나 교만을 모르고 스스로를 낮추어 아래에 처하기를 싫어하지 않는다. 백성들의 생사여탈권을 쥔 군주가 자신을 지칭하는 '나'라는 뜻의 말을 고니, 과인이니, 불곡이니 하는 표현으로 일컫는 것은 존귀함을 비천함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는 뜻이 아닐까. 군주의 존귀한 지위도 아래에 미천한 만백성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맹자에도 '백성이 귀하고, 사직(요즘 말로 국가 안보)이 그 다음이며, 임금은 가벼운 것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노자의 도는 형이상학적 실체이다. 우주의 삼라만상은 이 도의 눈에 보이지 않은 작용으로 존재하고 있다. 역경에는 역도가 있다. '천지화육의 일을 포괄하여 다스려도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모든 만물 하나 하나를 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성취시키면서도 어느 하나 빠뜨리는 것이 없으며, 교체 순환하는 밤낮의 법칙에 있어서도 두루 통하여 안다'. 독자들은 역경 속에 표현된 성인의 역도와 노자서의 무위자연의 도와는 정신적으로 밑바탕 위에 있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